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君子之需時也 安靜自守하야 志雖有須 而恬然若將終身焉이라야 乃能用常也 雖不進而志動者 不能安其常也注+易需卦初九曰 需于郊 利用恒이니 无咎라한대 象曰 需于郊 不犯難行也 利用恒无咎 未失常也라하니라니라
需卦初九象傳이라
靜退以待時注+按 靜則豈至於失常이리오 恐下語有病이라로되 而終至於失常者 蓋其身雖退 而志則動也니라


2.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군자가 때를 기다림에 안정安靜하고 스스로 지켜, 뜻은 비록 기다림이 있으나 태연히 장차 그대로 종신終身할 듯이 여겨야 비로소 떳떳함을 쓰는 것이니, 비록 나아가지 않더라도 뜻이 동하는 자는 떳떳함을 편안히 여기지 못하는 것이다.”注+주역周易수괘需卦 초구효사初九爻辭에 “에서 기다림이다. 떳떳함을 씀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다.” 하였는데, 〈상전象傳〉에 “‘수우교需于郊’는 을 범하여 가지 않음이요, ‘이용항무구利用恒无咎’는 떳떳함을 잃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
수괘需卦 초구효사初九爻辭상전象傳〉의 이다.
고요히 물러나서 때를 기다리나注+살펴보건대 하면 어찌 떳떳함을 잃음에 이르겠는가. 말에 병폐가 있는 듯하다. 끝내 떳떳함을 잃음에 이르는 것은 몸은 비록 물러나 있으나 뜻이 동하기 때문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