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1 忠信 所以進德이니 終日乾乾 君子當終日對越在天也注+欄外書曰 案乾 天也 對越在天 釋乾乾之道니라니라
說見乾卦九三文言이라
發乎眞心之謂忠注+按 朱子曰 發己自盡 爲忠이라하시니 此語攧撲不破 豈但以發乎眞心而已者 爲忠乎 程子曰 盡己之謂忠이요 以實之謂信이라하시니 盡乎實理 則雖聖人之誠이라도 不過如此니라이요 盡乎實理之謂信이니 忠信 乃進德之基
終日乾乾者 謂終日對越在天也 於也
君子一言一動 守其忠信하야 常瞻對乎上帝하야 不敢有一毫欺慢之意也
以下 皆發明所以對越在天之義하니라
19-2 蓋上天之載 無聲無臭하니 其體則謂之易이요 其理則謂之道 其用則謂之神注+問其體則謂之易 如何看 朱子曰 體 是體質之體 易者 陰陽錯綜交換代易之謂 寒暑晝夜闔闢往來而實理於是流行其間하니 非此 則實理無所頓放이라 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 有此五者하야 而實理寓焉이라 故曰 其體則謂之易이라하니 言易爲此理之體質也 其體則謂之易 在人則心也 其理則謂之道 在人則性也 其用則謂之神 在人則情也니라이요 其命于人則謂之性이요 率性則謂之道 修道則謂之敎注+詩經大雅文王詩 上天之載 無聲無臭라하니라 ○ 四書燃犀解云 載 當理字하니 指天命之流行說이라 ○ 中庸曰 天命之謂性이요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라하니라 ○ 欄外書曰 朱子曰 體 體質之體 猶言骨子 易爲此理之體質이라 又曰 修道 與修道以仁之修道同하니 謂體道也 戒懼愼獨 則是修道之敎也 程子之意亦或然이니라 又曰 終日乾乾 卽是修道也니라
上天之載 無聲無臭 所謂太極本無極也
猶質也 陰陽變易 乃太極之體也 故其體謂之易이요 其所以變易之理則謂之道 其變易之用則謂之神注+按 只下用字 似泛하니 必帶妙字之意라야 可也리라이니 以天道言也 天理賦於人 謂之性이요 循性之自然 謂之道 因其自然者而修明之 謂之敎 以人道言也
惟其天人之理一이라 所以終日對越在天者也니라
19-3 孟子去其中注+沙溪曰 去其中 猶就也 其中 指上文自上天之載 至修道之敎也하야 又發揮出浩然之氣하시니 可謂盡矣注+孟子公孫丑篇云 我善養吾浩然之氣라하니라 ○ 欄外書曰 去 猶言脫出이요 又猶言一層이라 孟子所發揮浩然之氣 蓋其所以終日乾乾在此 氣之至大至剛하야 配義與道하니 乃天地之正氣也 於是 工夫無餘蘊이라 故曰 可謂盡矣라하니라 又曰 浩然之氣 便是理氣合一이니라로다
浩然 盛大流行之貌 蓋天地正大之氣 人得之以生하야 本浩然也
失養則餒而無以配夫道義之用이요 得養則充而有以復其正大之體注+按 體 乃體段之體 孟子本註曰 蓋天地之正氣而人得以生者其體段 本如是也라하니라
盡矣 謂無餘事也
言天人之氣一이라 所以終日對越在天者也니라
19-4 故說神호되 如在其上하고 如在其左右라하니
어늘 而只曰 誠之不可揜 如此夫인저하니 徹上徹下 不過如此注+中庸第十六章曰 使天下之人으로 齊明盛服하야 以承祭祀하고 洋洋乎如在其上하며 如在其左右라하니라 ○ 欄外書曰 大小大事 俗語 猶言極大事 朱子以堯典克明俊德至變時雍句 爲大小大하니 亦謂其極大也니라니라
大小 猶多少也
中庸 論鬼神如此其盛하고 而卒曰 誠之不可揜이라하니 誠者 實理 卽所謂忠信之體注+按 此體字 本體之體也
天人之間 通此實理 故君子忠信進德 所以爲對越在天也니라
[張伯行 註]大小猶多少也
理也氣也天人無間 卽誠也 卽忠信之實體也
故子思論鬼神之盛 至於如在〈其〉上하고 如在左右하야 流動充滿하니
多少大事로되 而卒曰誠之不可揜이라하시니
言天人之所以相通者 四方上下 往古來今 無少空隙하고 無少間斷 不過此誠而已
則君子忠信以立誠이라 安得不乾乾對越哉
19-5 形而上爲道 形而下爲器 須著如此說이나 器亦道 道亦器注+問伊川云 形而上謂道 形而下謂器 須著如此說이라하시니이다 曰 這是伊川見得分明故 云須著如此說이라 形而上者 是理 形而下者 是物이니 如此開說이라야 方見得分明이라 如此了라야 方說得道不離乎器 器不違乎道處니라 又曰 理 只在器上하니 理與器未嘗相離니라 ○ 按 此實明道語어늘 而以伊川爲問答하니 可疑로다니라
說見繫辭
道者 指事物之理 故曰形而上이요 器者 指事物之體 故曰形而下
其實 道寓於器하야 本不相離也
蓋言日用之間 無非天理之流行이니 所謂終日對越在天者 亦敬循乎此理而已니라
19-6 但得道在 不繫今與後, 己與人이니라
不繫 猶不拘也
言人能體道而不違 則道在我矣 不拘人己古今하고 無往而不合이니 蓋道本無間然也니라


19-1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말씀하였다.〉
충신忠信을 진전시키는 것이니,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씀은 군자君子가 마땅히 종일토록 하늘을 대하는 것이다.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살펴보건대 은 하늘이니, ‘대월재천對越在天’은 건건乾乾를 해석한 것이다.”
해설이 건괘乾卦 구삼효九三爻문언전文言傳〉의 에 보인다.
진심眞心에서 발함을 이라 이르고注+살펴보건대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자기를 발하여 스스로 다하는 것이 이다.” 하였으니, 이 말씀은 확고하여 아무리 쳐도 깨뜨릴 수가 없다. 어찌 다만 진심眞心에서 발한 것만을 이라 할 수 있겠는가. 정자程子가 말씀하기를 “자신을 다함을 이라 하고 진실되게 함을 이라 한다.” 하였으니, 진실한 이치를 다하면 비록 성인聖人이라도 이와 같음에 지나지 않는다.실리實理를 다함을 이라 이르니, 충신忠信은 바로 진덕進德의 기초이다.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쓴다는 것은 종일토록 하늘을 대함을 이르니, (이에)이다.
군자君子는 한 마디 말과 한 가지 행동에 충신忠信을 지켜서 항상 상제上帝를 바라보고 대하여 감히 일호一毫라도 속이고 태만히 하는 생각을 두지 않는다.
이하는 모두 하늘을 대하는 뜻을 발명한 것이다.
19-2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으니, 그 이라 이르고 그 이치를 라 이르고 그 이라 이르며,注+“그 이라 한 것을 어떻게 보아야 합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체질體質이고, 음양陰陽이 번갈아 교환하고 대역代易함을 이른다. 춥고 덥고 낮이 되고 밤이 되고 닫히고 열리고 가고 오는데 진실한 이치가 이에 그 사이에 유행하니, 이것(易)이 아니면 진실한 이치가 머물 곳이 없다. 이는 마치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장유長幼붕우朋友 이 다섯 가지가 있어 진실한 이치가 붙어 있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그 이라 이른다.’ 하였으니, 이 이 이치의 체질體質이 됨을 말한 것이다. ‘그 이라 이른다.’ 한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마음이고, ‘그 이치를 라 이른다.’는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이며, ‘그 이라 이른다.’는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이다.” 사람에게 명하면 이라 이르고 을 따르면 라 이르고 품절品節하면 라 이른다.注+시경詩經》 〈대아大雅 문왕文王〉詩에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 하였다.
○ 《사서연서해四書燃犀解》에 이르기를 “이자理字에 해당하니, 천명天命유행流行함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하였다.
○ 《중용中庸》에 이르기를 “하늘이 명한 것을 이라 이르고 을 따름을 라 이르고 품절品節한 것을 라 이른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체질體質이니 골자骨子라는 말과 같으니, 은 이 이치의 체질體質이 되는 것이다.’ 하였고, 또 말씀하기를 ‘수도修道는 〈《중용中庸》의〉 수도이인修道以仁수도修道와 같으니 를 체행함을 이르고, 계구戒懼신독愼獨품절品節한 가르침이니, 정자程子의 뜻도 혹 이러한 듯하다.’ 하였고, 또 말씀하기를 ‘종일건건終日乾乾은 바로 품절品節하는 것이다.’ 하였다.”
상천上天의 일이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는 것은 이른바 ‘태극太極은 본래 무극無極’이란 것이다.
과 같으니, 음양陰陽변역變易은 바로 태극太極이므로 그 이라 이르고, 변역變易하는 소이所以의 이치는 라 이르고 변역變易하는 이라 이르니,注+살펴보건대 다만 용자用字를 놓은 것은 범연泛然한 듯하니, 반드시 묘자妙字의 뜻이 들어가야 할 것이다. 이는 천도天道를 가지고 말한 것이며, 천리天理를 사람에게 부여한 것을 이라 이르고 자연自然을 따른 것을 라 이르고 자연自然스러운 것을 인하여 닦고 밝힌 것을 라 이르니, 이는 인도人道를 가지고 말한 것이다.
하늘과 인간의 이치가 똑같기 때문에 종일토록 하늘을 대하는 것이다.
19-3 맹자孟子는 이 가운데에 나아가서注+사계沙溪가 말씀하였다. “거기중去其中(나아감)와 같고 기중其中은 윗글의 상천지재上天之載부터 수도지교修道之敎까지를 가리킨다.”호연지기浩然之氣를 발휘해 내셨으니, 극진하다고 이를 만하다.注+맹자孟子》 〈공손추편公孫丑篇〉에 이르기를 “나는 나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잘 기른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탈출脫出이라는 말과 같고 또 일층一層이라는 말과 같다. 맹자孟子호연지기浩然之氣발휘發揮하신 것은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써서 여기에 있게 하려는 것이다.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지극히 크고 지극히 하여 에 배합하니, 이것이 바로 천지天地의 바른 기운이다. 이에 공부할 것이 남은 것이 없으므로 ‘극진하다고 이를 만하다.’고 말씀한 것이다.” 또 말하였다.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바로 가 하나로 합한 것이다.”
호연浩然은 성대하게 유행流行하는 모양이니, 천지天地정대正大한 기운을 사람이 얻어 태어나서 본래 호연浩然한 것이다.
기름을 잃으면 굶주려 도의道義에 배합될 수가 없고 기름을 얻으면 충만充滿하여 정대正大를 회복할 수 있다.注+살펴보건대 는 바로 체단體段이다. 《맹자孟子》의 본주本註(集註)에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천지天地의 바른 기운으로서 사람이 얻어서 태어난 것이 그 체단體段이 본래 이와 같다.” 하였다.
진의盡矣는 남은 일이 없음을 이른다.
이는 하늘과 사람의 기운이 하나이기 때문에 종일토록 하늘을 대함을 말한 것이다.
19-4 그러므로 을 말하면서 위에 있는 듯하고 좌우에 있는 듯하다고 한 것이다.
이 얼마나 큰 일인데 다만 ‘을 가릴 수 없음이 이와 같다.’고 말하였으니, 상하上下를 통함이 이와 같음에 불과하다.注+중용中庸》의 16章에 이르기를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재계齋戒하고 깨끗이 하며 성복盛服을 입고서 제사를 받들게 하고는 양양洋洋하게 그 위에 있는 듯하며 그 좌우左右에 있는 듯하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대소대사大小大事는 세속의 말이니, 극대사極大事라는 말과 같다. 주자朱子는 ‘《서경書經》 〈요전堯典〉의 「능히 큰 덕을 밝혔다.〔克明俊德〕」는 것으로부터 「黎民들이 아! 변하여 함에 이르렀다.〔於變時雍〕」는 것까지를 대소대大小大’라고 하였으니, 또한 그 지극히 큼을 이른 것이다.”
대소大小다소多少라는 말과 같다.
중용中庸》에 귀신鬼神이 이와 같이 성함을 논하고 마침내 말하기를 “을 가릴 수 없다.” 하였으니, 실리實理이니 곧 이른바 충신忠信라는 것이다.注+살펴보건대 이 체자體字본체本體이다.
하늘과 인간의 사이에 이 실리實理가 통하므로 군자君子충신忠信하여 을 진전시킴이 하늘을 대함이 되는 것이다.
대소大小다소多少라는 말과 같다.
하늘과 인간 사이에 가 간격이 없는 것이 바로 이니, 곧 충신忠信의 실체이다.
그러므로 자사子思가 귀신의 성대함을 논하면서 ‘그 위에 있는 듯하고 좌우에 있는 듯하여 유동流動하고 충만充滿하다.’고 하기까지 하였으니,
이는 매우 큰 일인데도 마침내 ‘을 가릴 수 없다.’고 말씀하였는 바,
이는 하늘과 인간이 서로 통하는 것이 사방四方상하上下, 왕고往古내금來今에 조금의 빈틈도 없고 조금의 간단間斷도 없는 것이 이 에 불과할 뿐임을 말씀한 것이다.
그렇다면 군자가 충신忠信으로써 을 세우는 것이니, 어찌 부지런히 힘써서 하늘을 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19-5 형이상形而上라 하고 형이하形而下라 하니,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하나 도 또한 이고 도 또한 인 것이다.注+이천伊川이 ‘형이상形而上라 이르고 형이하形而下라 이르니,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한다.’고 말씀했습니다.”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것은 이천伊川이 분명히 보셨기 때문에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한다고 말씀한 것이다. 형이상形而上은 바로 이고 형이하形而下는 바로 이니, 이와 같이 말하여야 비로소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야 비로소 를 떠나지 않고 를 떠날 수 없음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말씀하였다. “는 다만 위에 있으니, 가 일찍이 서로 떨어져 있지 않다.”
○ 살펴보건대 이는 실로 명도明道의 말씀인데 이천伊川과 문답했다고 하였으니, 의심할 만하다.
해설이 〈계사전繫辭傳〉에 보인다.
는 사물의 이치를 가리키므로 형이상形而上이라 말하고, 는 사물의 형체를 가리키므로 형이하形而下라 말하였다.
그러나 실제는 에 붙어 있어서 본래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는 일상생활하는 사이에 천리天理의 유행 아님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종일토록 하늘을 대한다.’는 것 또한 이 이치를 공경히 따를 뿐인 것이다.
19-6 다만 가 있게 하면 지금과 후세, 자기와 남을 관계하지 않는다.”
불계不繫불구不拘와 같다.
사람이 체행體行하여 어기지 않으면 가 나에게 있으니, 남과 나, 예와 지금을 불구하고 가는 곳마다 부합하지 않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가 본래 간격이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大小大事 : 大小를 葉采 註에는 多少라고 해석하였는 바, 多少는 많은 것과 적은 것을 모두 말하나 여기서는 매우 많음(매우 큼)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心經釋疑》에도 牛山之木章의 大小大直截을 해석하면서 大小를 多少와 같다고 풀이하였다. 張伯行 역시 이를 그대로 따랐으며, 아래 13권의 大小大快活에서는 ‘一切大小事極大快活’로 풀이하였다. 그리고 《中文大辭典》에는 《朱子語類》의 大小大了를 예로 들면서 猶如此這般(이와 같이)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江永의 《近思錄集註》에는 大小大快活을 猶許多快活이라 하여 매우 快活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欄外書》에는 大小大를 한 單語로 보아 極大事로 해석하였는 바, 이것이 가장 타당한 풀이로 보인다. 즉 大小大事는 매우 큰 일이고, 大小大快活은 매우 快活함이고, 大小大直截은 매우 直截(간단하고 분명함)함이고, 大小大了는 매우 크다는 뜻으로, 때로는 얼마나 큰 일인가, 얼마나 快活한가, 얼마나 直截한가, 얼마나 큰가로 풀이하여도 무방할 듯하다.
역주2 : 오
동영상 재생
1 19. 충신은 소이진 …(1) 797
동영상 재생
2 19. 충신은 소이진 …(2) 494
동영상 재생
3 19. 충신은 소이진 …(3) 639
동영상 재생
4 19. 충신은 소이진 …(4) 222
동영상 재생
5 19. 충신은 소이진 …(5) 439
동영상 재생
6 19. 충신은 소이진 …(6) 808
동영상 재생
7 19. 충신은 소이진 …(7) 399
동영상 재생
8 19. 충신은 소이진 …(8) 810
동영상 재생
9 19. 충신은 소이진 …(9) 378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