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 忠信
은 所以進德
이니 終日乾乾
은 君子當終日對越在天也
注+欄外書曰 案乾은 天也니 對越在天은 釋乾乾之道니라니라 
                        		
                        		
                        		
	                     		
			                       	
			                       	
	                     		
	                     		
		                        
                        	
                        	
                        	
                        	
                        		
                        			
                        			
			                        
                        		
                        		
                        		
	                     		
			                       	
			                       	
	                     		
	                     		
		                        
                        	
                        	
                        	
                        	
                        		
                        			
                        			
			                        
			                        	發乎眞心之謂忠
注+按 朱子曰 發己自盡이 爲忠이라하시니 此語攧撲不破라 豈但以發乎眞心而已者로 爲忠乎아 程子曰 盡己之謂忠이요 以實之謂信이라하시니 盡乎實理면 則雖聖人之誠이라도 不過如此니라이요 盡乎實理之謂信
이니 忠信
은 乃進德之基
라 
                        		
                        		
                        		
	                     		
			                       	
			                       	
	                     		
	                     		
		                        
                        	
                        	
                        	
                        	
                        		
                        			
                        			
			                        
                        		
                        		
                        		
	                     		
			                       	
			                       	
	                     		
	                     		
		                        
                        	
                        	
                        	
                        	
                        		
                        			
                        			
			                        
			                        	君子一言一動에 守其忠信하야 常瞻對乎上帝하야 不敢有一毫欺慢之意也라
			                         
                        		
                        		
                        		
	                     		
			                       	
			                       	
	                     		
	                     		
		                        
                        	
                        	
                        	
                        	
                        		
                        			
                        			
			                        
                        		
                        		
                        		
	                     		
			                       	
			                       	
	                     		
	                     		
		                        
                        	
                        	
                        	
                        	
                        		
                        			
                        			
			                        
			                        	19-2 蓋上天之載 無聲無臭
하니 其體則謂之易
이요 其理則謂之道
요 其用則謂之神
注+問其體則謂之易을 如何看고 朱子曰 體는 是體質之體요 易者는 陰陽錯綜交換代易之謂라 寒暑晝夜闔闢往來而實理於是流行其間하니 非此면 則實理無所頓放이라 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 有此五者하야 而實理寓焉이라 故曰 其體則謂之易이라하니 言易爲此理之體質也라 其體則謂之易은 在人則心也요 其理則謂之道는 在人則性也요 其用則謂之神은 在人則情也니라이요 其命于人則謂之性
이요 率性則謂之道
요 修道則謂之敎
注+詩經大雅文王詩에 上天之載 無聲無臭라하니라 ○ 四書燃犀解云 載는 當理字하니 指天命之流行說이라 ○ 中庸曰 天命之謂性이요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라하니라 ○ 欄外書曰 朱子曰 體는 體質之體니 猶言骨子니 易爲此理之體質이라 又曰 修道는 與修道以仁之修道同하니 謂體道也요 戒懼愼獨은 則是修道之敎也니 程子之意亦或然이니라 又曰 終日乾乾은 卽是修道也라니라 
                        		
                        		
                        		
	                     		
			                       	
			                       	
	                     		
	                     		
		                        
                        	
                        	
                        	
                        	
                        		
                        			
                        			
			                        
                        		
                        		
                        		
	                     		
			                       	
			                       	
	                     		
	                     		
		                        
                        	
                        	
                        	
                        	
                        		
                        			
                        			
			                        
			                        	體
는 猶質也
니 陰陽變易
은 乃太極之體也
라 故其體謂之易
이요 其所以變易之理則謂之道
요 其變易之用則謂之神
注+按 只下用字는 似泛하니 必帶妙字之意라야 可也리라이니 此
는 以天道言也
며 天理賦於人
을 謂之性
이요 循性之自然
을 謂之道
요 因其自然者而修明之
를 謂之敎
니 此
는 以人道言也
라 
                        		
                        		
                        		
	                     		
			                       	
			                       	
	                     		
	                     		
		                        
                        	
                        	
                        	
                        	
                        		
                        			
                        			
			                        
                        		
                        		
                        		
	                     		
			                       	
			                       	
	                     		
	                     		
		                        
                        	
                        	
                        	
                        	
                        		
                        			
                        			
			                        
			                        	19-3 孟子去其中
注+沙溪曰 去其中은 去는 猶就也요 其中은 指上文自上天之載로 至修道之敎也라하야 又發揮出浩然之氣
하시니 可謂盡矣
注+孟子公孫丑篇云 我善養吾浩然之氣라하니라 ○ 欄外書曰 去는 猶言脫出이요 又猶言一層이라 孟子所發揮浩然之氣는 蓋其所以終日乾乾在此라 氣之至大至剛하야 配義與道하니 乃天地之正氣也라 於是에 工夫無餘蘊이라 故曰 可謂盡矣라하니라 又曰 浩然之氣는 便是理氣合一이니라로다 
                        		
                        		
                        		
	                     		
			                       	
			                       	
	                     		
	                     		
		                        
                        	
                        	
                        	
                        	
                        		
                        			
                        			
			                        
			                        	浩然은 盛大流行之貌니 蓋天地正大之氣를 人得之以生하야 本浩然也라
			                         
                        		
                        		
                        		
	                     		
			                       	
			                       	
	                     		
	                     		
		                        
                        	
                        	
                        	
                        	
                        		
                        			
                        			
			                        
			                        	失養則餒而無以配夫道義之用
이요 得養則充而有以復其正大之體
注+按 體는 乃體段之體라 孟子本註曰 蓋天地之正氣而人得以生者其體段이 本如是也라하니라라 
                        		
                        		
                        		
	                     		
			                       	
			                       	
	                     		
	                     		
		                        
                        	
                        	
                        	
                        	
                        		
                        			
                        			
			                        
                        		
                        		
                        		
	                     		
			                       	
			                       	
	                     		
	                     		
		                        
                        	
                        	
                        	
                        	
                        		
                        			
                        			
			                        
                        		
                        		
                        		
	                     		
			                       	
			                       	
	                     		
	                     		
		                        
                        	
                        	
                        	
                        	
                        		
                        			
                        			
			                        
			                        	19-4 故說神호되 如在其上하고 如在其左右라하니
			                         
                        		
                        		
                        		
	                     		
			                       	
			                       	
	                     		
	                     		
		                        
                        	
                        	
                        	
                        	
                        		
                        			
                        			
			                        
			                        	 어늘 而只曰 誠之不可揜
이 如此夫
인저하니 徹上徹下 不過如此
注+中庸第十六章曰 使天下之人으로 齊明盛服하야 以承祭祀하고 洋洋乎如在其上하며 如在其左右라하니라 ○ 欄外書曰 大小大事는 俗語니 猶言極大事라 朱子以堯典克明俊德至變時雍句로 爲大小大하니 亦謂其極大也니라니라 
			                         
                        		
                        		
                        		
	                     		
			                       	
			                       	
	                     		
	                     		
		                        
                        	
                        	
                        	
                        	
                        		
                        			
                        			
			                        
                        		
                        		
                        		
	                     		
			                       	
			                       	
	                     		
	                     		
		                        
                        	
                        	
                        	
                        	
                        		
                        			
                        			
			                        
			                        	中庸
에 論鬼神如此其盛
하고 而卒曰 誠之不可揜
이라하니 誠者
는 實理
니 卽所謂忠信之體
注+按 此體字는 本體之體也라라 
                        		
                        		
                        		
	                     		
			                       	
			                       	
	                     		
	                     		
		                        
                        	
                        	
                        	
                        	
                        		
                        			
                        			
			                        
			                        	天人之間에 通此實理라 故君子忠信進德이 所以爲對越在天也니라
			                         
                        		
                        		
                        		
	                     		
			                       	
			                       	
	                     		
	                     		
		                        
                        	
                        	
                        	
                        	
                        		
                        			
                        			
			                        
                        		
                        		
                        		
	                     		
			                       	
			                       	
	                     		
	                     		
		                        
                        	
                        	
                        	
                        	
                        		
                        			
                        			
			                        
                        		
                        		
                        		
	                     		
			                       	
			                       	
	                     		
	                     		
		                        
                        	
                        	
                        	
                        	
                        		
                        			
                        			
			                        
			                        	 故子思論鬼神之盛에 至於如在〈其〉上하고 如在左右하야 流動充滿하니
			                         
                        		
                        		
                        		
	                     		
			                       	
			                       	
	                     		
	                     		
		                        
                        	
                        	
                        	
                        	
                        		
                        			
                        			
			                        
                        		
                        		
                        		
	                     		
			                       	
			                       	
	                     		
	                     		
		                        
                        	
                        	
                        	
                        	
                        		
                        			
                        			
			                        
			                        	 言天人之所以相通者 四方上下와 往古來今이 無少空隙하고 無少間斷이 不過此誠而已니
			                         
                        		
                        		
                        		
	                     		
			                       	
			                       	
	                     		
	                     		
		                        
                        	
                        	
                        	
                        	
                        		
                        			
                        			
			                        
                        		
                        		
                        		
	                     		
			                       	
			                       	
	                     		
	                     		
		                        
                        	
                        	
                        	
                        	
                        		
                        			
                        			
			                        
			                        	19-5 形而上爲道
요 形而下爲器
니 須著如此說
이나 器亦道
요 道亦器
注+問伊川云 形而上謂道요 形而下謂器니 須著如此說이라하시니이다 曰 這是伊川見得分明故로 云須著如此說이라 形而上者는 是理요 形而下者는 是物이니 如此開說이라야 方見得分明이라 如此了라야 方說得道不離乎器요 器不違乎道處니라 又曰 理는 只在器上하니 理與器未嘗相離니라 ○ 按 此實明道語어늘 而以伊川爲問答하니 可疑로다니라 
                        		
                        		
                        		
	                     		
			                       	
			                       	
	                     		
	                     		
		                        
                        	
                        	
                        	
                        	
                        		
                        			
                        			
			                        
                        		
                        		
                        		
	                     		
			                       	
			                       	
	                     		
	                     		
		                        
                        	
                        	
                        	
                        	
                        		
                        			
                        			
			                        
			                        	道者는 指事物之理라 故曰形而上이요 器者는 指事物之體라 故曰形而下나
			                         
                        		
                        		
                        		
	                     		
			                       	
			                       	
	                     		
	                     		
		                        
                        	
                        	
                        	
                        	
                        		
                        			
                        			
			                        
                        		
                        		
                        		
	                     		
			                       	
			                       	
	                     		
	                     		
		                        
                        	
                        	
                        	
                        	
                        		
                        			
                        			
			                        
			                        	蓋言日用之間에 無非天理之流行이니 所謂終日對越在天者 亦敬循乎此理而已니라
			                         
                        		
                        		
                        		
	                     		
			                       	
			                       	
	                     		
	                     		
		                        
                        	
                        	
                        	
                        	
                        		
                        			
                        			
			                        
                        		
                        		
                        		
	                     		
			                       	
			                       	
	                     		
	                     		
		                        
                        	
                        	
                        	
                        	
                        		
                        			
                        			
			                        
                        		
                        		
                        		
	                     		
			                       	
			                       	
	                     		
	                     		
		                        
                        	
                        	
                        	
                        	
                        		
                        			
                        			
			                        
			                        	言人能體道而不違면 則道在我矣니 不拘人己古今하고 無往而不合이니 蓋道本無間然也니라
			                         
                        		
                        		
                        		
	                     		
			                       	
			                       	
	                     		
	                     		
		                        
                        	
                        	
                        	
                        	
                   			
                        	
                        	
                        	
                        	
	                       	
	                       	
	                       	
	                       	
							                       	
	                        
	                        
	                        	
	                        
	                        	
	                        
	                        	
	                        
	                        	
	                        
	                        	
	                        
	                        	
	                        
	                        	
	                        
	                        	
	                        
	                        	
	                        
	                        	
	                        
	                        	
	                        
	                        	
	                        
	                        	
	                        
	                        	
	                        
	                        	
	                        
	                        	
	                        
	                        	
	                        
	                        	
	                        
	                        	
	                        
	                        	
	                        
	                        	
	                        
	                        	
	                        
	                        	
	                        
	                        	
	                        
	                        	
	                        
	                        	
	                        
	                        	
	                        
	                        	
	                        
	                        	
	                        
	                        	
	                        
	                        	
	                        
	                        	
	                        
	                        	
	                        
	                        	
	                        
	                        	
	                        
	                        	
	                        
	                        	
	                        
	                        	
	                        
	                        	
	                        
	                        	
	                        
	                        	
	                        
	                        	
	                        
	                        	
	                        
	                        	
	                        
	                        	
	                        
	                        	
	                        
	                        	
	                        
	                        	
	                        
	                        	
	                        
	                        	
	                        
	                        	
	                        
	                        	
	                        
	                        	
	                        
	                        	
	                        
	                        	
	                        
	                        	
	                        
	                        	
	                        
	                        	
	                        
	                        	
	                        
	                        	
	                        
	                        	
	                        
	                        	
	                        
	                        	
	                        
	                        	
	                        
	                        	
	                        
	                        	
	                        
	                        	
	                        
	                        	
	                        
	                        
	                        
                        	
		                        
		                        
		                        
		                        
                        		
                        	
		                        
		                        
		                        
		                        	
		                        	
		                        
		                        
                        		
                        		
                        			
			                        
			                        	19-1 〈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말씀하였다.〉
“
충신忠信은 
덕德을 진전시키는 것이니,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씀은 
군자君子가 마땅히 종일토록 하늘을 대하는 것이다.
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살펴보건대 건乾은 하늘이니, ‘대월재천對越在天’은 건건乾乾의 도道를 해석한 것이다.”      
                        			
                        		
                        		
	                     		
			                       	
			                       	
	                     		
		                        
                        	
		                        
		                        
		                        
		                        
                        		
                        	
		                        
		                        
		                        
		                        	
		                        	
		                        
		                        
                        		
                        		
                        			
			                        
			                        	해설이 건괘乾卦 구삼효九三爻 〈문언전文言傳〉의 전傳에 보인다.
			                              
                        			
                        		
                        		
	                     		
			                       	
			                       	
	                     		
		                        
                        	
		                        
		                        
		                        
		                        
                        		
                        	
		                        
		                        
		                        
		                        	
		                        	
		                        
		                        
                        		
                        		
                        			
			                        
			                        	진심眞心에서 발함을 
충忠이라 이르고
注+살펴보건대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자기를 발하여 스스로 다하는 것이 충忠이다.” 하였으니, 이 말씀은 확고하여 아무리 쳐도 깨뜨릴 수가 없다. 어찌 다만 진심眞心에서 발한 것만을 충忠이라 할 수 있겠는가. 정자程子가 말씀하기를 “자신을 다함을 충忠이라 하고 진실되게 함을 신信이라 한다.” 하였으니, 진실한 이치를 다하면 비록 성인聖人의 성誠이라도 이와 같음에 지나지 않는다.실리實理를 다함을 
신信이라 이르니, 
충신忠信은 바로 
진덕進德의 기초이다.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쓴다는 것은 종일토록 하늘을 대함을 이르니, 월越은 어於(이에)이다. 
			                              
                        			
                        		
                        		
	                     		
			                       	
			                       	
	                     		
		                        
                        	
		                        
		                        
		                        
		                        
                        		
                        	
		                        
		                        
		                        
		                        	
		                        	
		                        
		                        
                        		
                        		
                        			
			                        
			                        	군자君子는 한 마디 말과 한 가지 행동에 충신忠信을 지켜서 항상 상제上帝를 바라보고 대하여 감히 일호一毫라도 속이고 태만히 하는 생각을 두지 않는다.
			                              
                        			
                        		
                        		
	                     		
			                       	
			                       	
	                     		
		                        
                        	
		                        
		                        
		                        
		                        
                        		
                        	
		                        
		                        
		                        
		                        	
		                        	
		                        
		                        
                        		
                        		
                        			
			                        
			                        	이하는 모두 하늘을 대하는 뜻을 발명한 것이다.
			                              
                        			
                        		
                        		
	                     		
			                       	
			                       	
	                     		
		                        
                        	
		                        
		                        
		                        
		                        
                        		
                        	
		                        
		                        
		                        
		                        	
		                        	
		                        
		                        
                        		
                        		
                        			
			                        
			                        	19-2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으니, 그 
체體를 
역易이라 이르고 그 이치를 
도道라 이르고 그 
용用을 
신神이라 이르며,
注+“그 체體를 역易이라 한 것을 어떻게 보아야 합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체體는 체질體質의 체體이고, 역易은 음양陰陽이 번갈아 교환하고 대역代易함을 이른다. 춥고 덥고 낮이 되고 밤이 되고 닫히고 열리고 가고 오는데 진실한 이치가 이에 그 사이에 유행하니, 이것(易)이 아니면 진실한 이치가 머물 곳이 없다. 이는 마치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장유長幼‧붕우朋友 이 다섯 가지가 있어 진실한 이치가 붙어 있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그 체體를 역易이라 이른다.’ 하였으니, 역易이 이 이치의 체질體質이 됨을 말한 것이다. ‘그 체體를 역易이라 이른다.’ 한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마음이고, ‘그 이치를 도道라 이른다.’는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성性이며, ‘그 용用을 신神이라 이른다.’는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정情이다.” 사람에게 명하면 
성性이라 이르고 
성性을 따르면 
도道라 이르고 
도道를 
품절品節하면 
교敎라 이른다.
注+《시경詩經》 〈대아大雅 문왕文王〉詩에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 하였다. 
 ○ 《사서연서해四書燃犀解》에 이르기를 “재載는 이자理字에 해당하니, 천명天命이 유행流行함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하였다. 
 ○ 《중용中庸》에 이르기를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이르고 성性을 따름을 도道라 이르고 도道를 품절品節한 것을 교敎라 이른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체體는 체질體質의 체體이니 골자骨子라는 말과 같으니, 역易은 이 이치의 체질體質이 되는 것이다.’ 하였고, 또 말씀하기를 ‘수도修道는 〈《중용中庸》의〉 수도이인修道以仁의 수도修道와 같으니 도道를 체행함을 이르고, 계구戒懼와 신독愼獨은 도道를 품절品節한 가르침이니, 정자程子의 뜻도 혹 이러한 듯하다.’ 하였고, 또 말씀하기를 ‘종일건건終日乾乾은 바로 도道를 품절品節하는 것이다.’ 하였다.”      
                        			
                        		
                        		
	                     		
			                       	
			                       	
	                     		
		                        
                        	
		                        
		                        
		                        
		                        
                        		
                        	
		                        
		                        
		                        
		                        	
		                        	
		                        
		                        
                        		
                        		
                        			
			                        
			                        	상천上天의 일이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는 것은 이른바 ‘태극太極은 본래 무극無極’이란 것이다. 
			                              
                        			
                        		
                        		
	                     		
			                       	
			                       	
	                     		
		                        
                        	
		                        
		                        
		                        
		                        
                        		
                        	
		                        
		                        
		                        
		                        	
		                        	
		                        
		                        
                        		
                        		
                        			
			                        
			                        	체體는 
질質과 같으니, 
음양陰陽의 
변역變易은 바로 
태극太極의 
체體이므로 그 
체體를 
역易이라 이르고, 
변역變易하는 
소이所以의 이치는 
도道라 이르고 
변역變易하는 
용用은 
신神이라 이르니,
注+살펴보건대 다만 용자用字를 놓은 것은 범연泛然한 듯하니, 반드시 묘자妙字의 뜻이 들어가야 할 것이다. 이는 
천도天道를 가지고 말한 것이며, 
천리天理를 사람에게 부여한 것을 
성性이라 이르고 
성性의 
자연自然을 따른 것을 
도道라 이르고 
자연自然스러운 것을 인하여 닦고 밝힌 것을 
교敎라 이르니, 이는 
인도人道를 가지고 말한 것이다.
 
			                              
                        			
                        		
                        		
	                     		
			                       	
			                       	
	                     		
		                        
                        	
		                        
		                        
		                        
		                        
                        		
                        	
		                        
		                        
		                        
		                        	
		                        	
		                        
		                        
                        		
                        		
                        			
			                        
			                        	하늘과 인간의 이치가 똑같기 때문에 종일토록 하늘을 대하는 것이다.
			                              
                        			
                        		
                        		
	                     		
			                       	
			                       	
	                     		
		                        
                        	
		                        
		                        
		                        
		                        
                        		
                        	
		                        
		                        
		                        
		                        	
		                        	
		                        
		                        
                        		
                        		
                        			
			                        
			                        	19-3 
맹자孟子는 이 가운데에 나아가서
注+사계沙溪가 말씀하였다. “거기중去其中의 거去는 취就(나아감)와 같고 기중其中은 윗글의 상천지재上天之載부터 수도지교修道之敎까지를 가리킨다.” 또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발휘해 내셨으니, 극진하다고 이를 만하다.
注+《맹자孟子》 〈공손추편公孫丑篇〉에 이르기를 “나는 나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잘 기른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거去는 탈출脫出이라는 말과 같고 또 일층一層이라는 말과 같다. 맹자孟子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발휘發揮하신 것은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써서 여기에 있게 하려는 것이다.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剛하여 의義와 도道에 배합하니, 이것이 바로 천지天地의 바른 기운이다. 이에 공부할 것이 남은 것이 없으므로 ‘극진하다고 이를 만하다.’고 말씀한 것이다.” 또 말하였다.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바로 이理와 기氣가 하나로 합한 것이다.”      
                        			
                        		
                        		
	                     		
			                       	
			                       	
	                     		
		                        
                        	
		                        
		                        
		                        
		                        
                        		
                        	
		                        
		                        
		                        
		                        	
		                        	
		                        
		                        
                        		
                        		
                        			
			                        
			                        	호연浩然은 성대하게 유행流行하는 모양이니, 천지天地의 정대正大한 기운을 사람이 얻어 태어나서 본래 호연浩然한 것이다.
			                              
                        			
                        		
                        		
	                     		
			                       	
			                       	
	                     		
		                        
                        	
		                        
		                        
		                        
		                        
                        		
                        	
		                        
		                        
		                        
		                        	
		                        	
		                        
		                        
                        		
                        		
                        			
			                        
			                        	기름을 잃으면 굶주려 
도의道義의 
용用에 배합될 수가 없고 기름을 얻으면 
충만充滿하여 
정대正大한 
체體를 회복할 수 있다.
注+살펴보건대 체體는 바로 체단體段의 체體이다. 《맹자孟子》의 본주本註(集註)에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천지天地의 바른 기운으로서 사람이 얻어서 태어난 것이 그 체단體段이 본래 이와 같다.” 하였다.      
                        			
                        		
                        		
	                     		
			                       	
			                       	
	                     		
		                        
                        	
		                        
		                        
		                        
		                        
                        		
                        	
		                        
		                        
		                        
		                        	
		                        	
		                        
		                        
                        		
                        		
                        			
			                             
                        			
                        		
                        		
	                     		
			                       	
			                       	
	                     		
		                        
                        	
		                        
		                        
		                        
		                        
                        		
                        	
		                        
		                        
		                        
		                        	
		                        	
		                        
		                        
                        		
                        		
                        			
			                        
			                        	이는 하늘과 사람의 기운이 하나이기 때문에 종일토록 하늘을 대함을 말한 것이다.
			                              
                        			
                        		
                        		
	                     		
			                       	
			                       	
	                     		
		                        
                        	
		                        
		                        
		                        
		                        
                        		
                        	
		                        
		                        
		                        
		                        	
		                        	
		                        
		                        
                        		
                        		
                        			
			                        
			                        	19-4 그러므로 신神을 말하면서 위에 있는 듯하고 좌우에 있는 듯하다고 한 것이다.
			                              
                        			
                        		
                        		
	                     		
			                       	
			                       	
	                     		
		                        
                        	
		                        
		                        
		                        
		                        
                        		
                        	
		                        
		                        
		                        
		                        	
		                        	
		                        
		                        
                        		
                        		
                        			
			                        
			                        	이 얼마나 큰 일인데 다만 ‘
성誠을 가릴 수 없음이 이와 같다.’고 말하였으니, 
상하上下를 통함이 이와 같음에 불과하다.
注+《중용中庸》의 제第16章에 이르기를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재계齋戒하고 깨끗이 하며 성복盛服을 입고서 제사를 받들게 하고는 양양洋洋하게 그 위에 있는 듯하며 그 좌우左右에 있는 듯하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대소대사大小大事는 세속의 말이니, 극대사極大事라는 말과 같다. 주자朱子는 ‘《서경書經》 〈요전堯典〉의 「능히 큰 덕을 밝혔다.〔克明俊德〕」는 것으로부터 「黎民들이 아! 변하여 화和함에 이르렀다.〔於變時雍〕」는 것까지를 대소대大小大’라고 하였으니, 또한 그 지극히 큼을 이른 것이다.”       
                        			
                        		
                        		
	                     		
			                       	
			                       	
	                     		
		                        
                        	
		                        
		                        
		                        
		                        
                        		
                        	
		                        
		                        
		                        
		                        	
		                        	
		                        
		                        
                        		
                        		
                        			
			                             
                        			
                        		
                        		
	                     		
			                       	
			                       	
	                     		
		                        
                        	
		                        
		                        
		                        
		                        
                        		
                        	
		                        
		                        
		                        
		                        	
		                        	
		                        
		                        
                        		
                        		
                        			
			                        
			                        	《
중용中庸》에 
귀신鬼神이 이와 같이 성함을 논하고 마침내 말하기를 “
성誠을 가릴 수 없다.” 하였으니, 
성誠은 
실리實理이니 곧 이른바 
충신忠信의 
체體라는 것이다.
注+살펴보건대 이 체자體字는 본체本體의 체體이다.      
                        			
                        		
                        		
	                     		
			                       	
			                       	
	                     		
		                        
                        	
		                        
		                        
		                        
		                        
                        		
                        	
		                        
		                        
		                        
		                        	
		                        	
		                        
		                        
                        		
                        		
                        			
			                        
			                        	 하늘과 인간의 사이에 이 실리實理가 통하므로 군자君子가 충신忠信하여 덕德을 진전시킴이 하늘을 대함이 되는 것이다.
			                              
                        			
                        		
                        		
	                     		
			                       	
			                       	
	                     		
		                        
                        	
		                        
		                        
		                        
		                        
                        		
                        	
		                        
		                        
		                        
		                        	
		                        	
		                        
		                        
                        		
                        		
                        			
			                             
                        			
                        		
                        		
	                     		
			                       	
			                       	
	                     		
		                        
                        	
		                        
		                        
		                        
		                        
                        		
                        	
		                        
		                        
		                        
		                        	
		                        	
		                        
		                        
                        		
                        		
                        			
			                        
			                        	하늘과 인간 사이에 이理와 기氣가 간격이 없는 것이 바로 성誠이니, 곧 충신忠信의 실체이다.
			                              
                        			
                        		
                        		
	                     		
			                       	
			                       	
	                     		
		                        
                        	
		                        
		                        
		                        
		                        
                        		
                        	
		                        
		                        
		                        
		                        	
		                        	
		                        
		                        
                        		
                        		
                        			
			                        
			                        	그러므로 자사子思가 귀신의 성대함을 논하면서 ‘그 위에 있는 듯하고 좌우에 있는 듯하여 유동流動하고 충만充滿하다.’고 하기까지 하였으니,
			                              
                        			
                        		
                        		
	                     		
			                       	
			                       	
	                     		
		                        
                        	
		                        
		                        
		                        
		                        
                        		
                        	
		                        
		                        
		                        
		                        	
		                        	
		                        
		                        
                        		
                        		
                        			
			                        
			                        	 이는 매우 큰 일인데도 마침내 ‘성誠을 가릴 수 없다.’고 말씀하였는 바,
			                              
                        			
                        		
                        		
	                     		
			                       	
			                       	
	                     		
		                        
                        	
		                        
		                        
		                        
		                        
                        		
                        	
		                        
		                        
		                        
		                        	
		                        	
		                        
		                        
                        		
                        		
                        			
			                        
			                        	 이는 하늘과 인간이 서로 통하는 것이 사방四方과 상하上下, 왕고往古와 내금來今에 조금의 빈틈도 없고 조금의 간단間斷도 없는 것이 이 성誠에 불과할 뿐임을 말씀한 것이다.
			                              
                        			
                        		
                        		
	                     		
			                       	
			                       	
	                     		
		                        
                        	
		                        
		                        
		                        
		                        
                        		
                        	
		                        
		                        
		                        
		                        	
		                        	
		                        
		                        
                        		
                        		
                        			
			                        
			                        	그렇다면 군자가 충신忠信으로써 성誠을 세우는 것이니, 어찌 부지런히 힘써서 하늘을 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19-5 
형이상形而上을 
도道라 하고 
형이하形而下를 
기器라 하니,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하나 
기器도 또한 
도道이고 
도道도 또한 
기器인 것이다.
注+“이천伊川이 ‘형이상形而上을 도道라 이르고 형이하形而下를 기器라 이르니,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한다.’고 말씀했습니다.”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것은 이천伊川이 분명히 보셨기 때문에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한다고 말씀한 것이다. 형이상形而上은 바로 이理이고 형이하形而下는 바로 물物이니, 이와 같이 말하여야 비로소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야 비로소 도道가 기器를 떠나지 않고 기器가 도道를 떠날 수 없음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말씀하였다. “이理는 다만 기器 위에 있으니, 이理와 기器가 일찍이 서로 떨어져 있지 않다.” 
 ○ 살펴보건대 이는 실로 명도明道의 말씀인데 이천伊川과 문답했다고 하였으니, 의심할 만하다.      
                        			
                        		
                        		
	                     		
			                       	
			                       	
	                     		
		                        
                        	
		                        
		                        
		                        
		                        
                        		
                        	
		                        
		                        
		                        
		                        	
		                        	
		                        
		                        
                        		
                        		
                        			
			                             
                        			
                        		
                        		
	                     		
			                       	
			                       	
	                     		
		                        
                        	
		                        
		                        
		                        
		                        
                        		
                        	
		                        
		                        
		                        
		                        	
		                        	
		                        
		                        
                        		
                        		
                        			
			                        
			                        	도道는 사물의 이치를 가리키므로 형이상形而上이라 말하고, 기器는 사물의 형체를 가리키므로 형이하形而下라 말하였다.
			                              
                        			
                        		
                        		
	                     		
			                       	
			                       	
	                     		
		                        
                        	
		                        
		                        
		                        
		                        
                        		
                        	
		                        
		                        
		                        
		                        	
		                        	
		                        
		                        
                        		
                        		
                        			
			                        
			                        	그러나 실제는 도道가 기器에 붙어 있어서 본래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는 일상생활하는 사이에 천리天理의 유행 아님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종일토록 하늘을 대한다.’는 것 또한 이 이치를 공경히 따를 뿐인 것이다.
			                              
                        			
                        		
                        		
	                     		
			                       	
			                       	
	                     		
		                        
                        	
		                        
		                        
		                        
		                        
                        		
                        	
		                        
		                        
		                        
		                        	
		                        	
		                        
		                        
                        		
                        		
                        			
			                        
			                        	19-6 다만 도道가 있게 하면 지금과 후세, 자기와 남을 관계하지 않는다.”
			                              
                        			
                        		
                        		
	                     		
			                       	
			                       	
	                     		
		                        
                        	
		                        
		                        
		                        
		                        
                        		
                        	
		                        
		                        
		                        
		                        	
		                        	
		                        
		                        
                        		
                        		
                        			
			                             
                        			
                        		
                        		
	                     		
			                       	
			                       	
	                     		
		                        
                        	
		                        
		                        
		                        
		                        
                        		
                        	
		                        
		                        
		                        
		                        	
		                        	
		                        
		                        
                        		
                        		
                        			
			                        
			                        	사람이 도道를 체행體行하여 어기지 않으면 도道가 나에게 있으니, 남과 나, 예와 지금을 불구하고 가는 곳마다 부합하지 않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도道가 본래 간격이 없는 것이다.
			                              
                        			
                        		
                        		
	                     		
			                       	
			                       	
	                     		
		                        
                        	
                        	
                   			
                   			
                   			
	                        
	                        
	                        	
	                        
	                        
	                        
	                        
	                        
	                        
	                        
	                        
	                        
	                        
	                        	
				                        
			                        		
			                        		
			                        		
			                        		
			                        		
			                                     
	                                           	
			                                    
			                                    	
			                                    
			                                    
			                                    	1
			                                        19. 충신은 소이진 …(1)
			                                        
													
													797
			                                        
			                                    
			                                 
			                        	
			                        		
			                        		
			                        		
			                        		
			                        		
			                                     
	                                           	
			                                    
			                                    	
			                                    
			                                    
			                                    	2
			                                        19. 충신은 소이진 …(2)
			                                        
													
													494
			                                        
			                                    
			                                 
			                        	
			                        		
			                        		
			                        		
			                        		
			                        		
			                                     
	                                           	
			                                    
			                                    	
			                                    
			                                    
			                                    	3
			                                        19. 충신은 소이진 …(3)
			                                        
													
													639
			                                        
			                                    
			                                 
			                        	
			                        		
			                        		
			                        		
			                        		
			                        		
			                                     
	                                           	
			                                    
			                                    	
			                                    
			                                    
			                                    	4
			                                        19. 충신은 소이진 …(4)
			                                        
													
													222
			                                        
			                                    
			                                 
			                        	
			                        		
			                        		
			                        		
			                        		
			                        		
			                                     
	                                           	
			                                    
			                                    	
			                                    
			                                    
			                                    	5
			                                        19. 충신은 소이진 …(5)
			                                        
													
													439
			                                        
			                                    
			                                 
			                        	
			                        		
			                        		
			                        		
			                        		
			                        		
			                                     
	                                           	
			                                    
			                                    	
			                                    
			                                    
			                                    	6
			                                        19. 충신은 소이진 …(6)
			                                        
													
													808
			                                        
			                                    
			                                 
			                        	
			                        		
			                        		
			                        		
			                        		
			                        		
			                                     
	                                           	
			                                    
			                                    	
			                                    
			                                    
			                                    	7
			                                        19. 충신은 소이진 …(7)
			                                        
													
													399
			                                        
			                                    
			                                 
			                        	
			                        		
			                        		
			                        		
			                        		
			                        		
			                                     
	                                           	
			                                    
			                                    	
			                                    
			                                    
			                                    	8
			                                        19. 충신은 소이진 …(8)
			                                        
													
													810
			                                        
			                                    
			                                 
			                        	
			                        		
			                        		
			                        		
			                        		
			                        		
			                                     
	                                           	
			                                    
			                                    	
			                                    
			                                    
			                                    	9
			                                        19. 충신은 소이진 …(9)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