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1 問 不遷怒, 不貳過注+論語雍也篇曰 哀公 問 弟子孰爲好學이닛고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하야 不遷怒하며 不貳過라하니라 何也잇가
語錄 有怒甲不遷乙之說하니 是否잇가 伊川先生曰 是니라
曰若此則甚易 何待顔子而後能이닛고 曰
只被說得粗了 諸君 便道易하나 此莫是最難이리오
須是理會得因何不遷怒니라
怒甲而不遷其怒於乙 槪而觀之
則稟性和平者 若皆可能이나
然以身驗其實而求其所以不遷怒之由
則非此心至虛至明하야 喜怒各因乎物하야 擧無一毫之私意者 殆未易勉强而能也니라
○ 朱子曰
顔子見得道理透 故怒於甲者 雖欲遷於乙이나 亦不可得而遷也니라
27-2 如舜之誅四凶注+書經舜典曰 流共工于幽州하시고 放驩兜于崇山하시고 竄三苗于三危하시고 殛鯀于羽山하사 四罪하신대 而天下咸服이라하니라 怒在四凶하니 舜何與焉이시리오
蓋因是人有可怒之事而怒之 聖人之心 本無怒也
譬如明鏡 好物來時 便見是好惡物來時 便見是惡이니 何嘗有好惡也리오
聖人之心 因事有當怒者而怒之하시니 怒因物而生이요 不自我而作也
又豈有之於己耶리오
譬明鏡照物 姸媸在物이요 鏡未嘗自有姸媸也니라
27-3 世之人 固有怒於室而色於市注+左傳昭公十九年 云 諺所謂室於怒하고 市於色者 楚之謂矣라하니라 ○ 明道定性書曰 聖人之喜 以物之當喜 聖人之怒 以物之當怒 是聖人之喜怒不繫於心而繫物也라하니라
且如怒一人하고 對那人說話 能無怒色否
有能怒一人而不怒別人者하니 能忍得如此라도 已是煞知義理어든 若聖人 因物而未嘗有怒하시니 此莫是甚難이리오
怒氣易發而難制
世固有怒於其室而作色於市人者하니 其遷怒也甚矣
有能自禁持하야 怒此人而不以餘怒 加辭色於他人者 已不易得이어든 況夫物各付物而喜怒不有於我者 豈非甚難者耶
27-4 君子 役物하고 小人 役於物하나니 今見可喜可怒之事하고 自家著一分陪奉他注+問 陪奉 猶陪隨奉持之意否 退溪曰 此說亦得이라 但奉持之持 當改作事라야 爲切이니라 此亦勞矣 聖人之心 如止水니라
役物者 我常定이요 役於物者 逐物而往이니 聖人之心 常湛然如止水하야 無有一毫作好作惡시니라
[張伯行 註] 由是而知君子小人之分矣
君子 以我御物하야 心有主而物聽命하니 役物者也 小人 逐物而往하야 心無主而爲物所引하니 役於物者也
夫喜怒原在事하고 不在己어늘 今人 客氣橫溢하고 胸中勞擾하야 見一可喜可怒之事하면 自家先著一分惉懘하니 是物爲主
我爲陪하야 往迎而奉之 不得活潑潑地하니
此段神情 亦見其勞矣 惟聖人之心 湛然如水之止하니 蓋止水 喩其靜이요 明鏡 喩其虛
虛故靜하고靜愈虛하야 二義相須
故本文 兩言之 聖人 乃自然而然者 顔子則由平日實致其克復之功하야 以至於此
學者涵養未深하고 理會未熟하니 正未可易視也니라


27-1 “노여움을 옮기지 않고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음注+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 애공哀公이 “제자 중에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하고 묻자, 공자孔子께서 대답하시기를 “안회顔回라는 자가 학문을 좋아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으며 허물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았다.” 하였다.은 어떤 것입니까?
어록語錄》에 ‘에게 노한 것을 에게 옮기지 않는다.’는 말씀이 있으니, 이것이 옳습니까?” 하고 묻자, 이천선생伊川先生은 “옳다.”고 대답하였다.
“이와 같다면 매우 쉬우니, 어찌 안자顔子를 기다린 뒤에야 능하겠습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다만 대강 설명하였기 때문에 제군諸君들이 쉽다고 말하나 이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 아니겠는가.
모름지기 무엇으로 인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는가를 이해하여야 한다.
에게 노하고는 그 노여움을 에게 옮기지 않는다.’는 것을 대강 살펴보면
화평和平한 성질을 받고 태어난 자는 누구나 다 가능할 듯하나
몸으로써 실제를 체험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면,
이 마음이 지극히 하고 지극히 밝아서 기뻐하고 노여워함이 각기 사물을 따라 털끝만큼이라도 사사로운 뜻이 없는 자가 아니면 자못 쉽게 힘써서 능할 수가 없는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안자顔子도리道理를 봄이 통투通透하였기 때문에 에게 노한 것을 비록 에게 옮기려고 하였으나 또한 옮길 수가 없었던 것이다.”
27-2 임금이 사흉四凶주벌誅罰할 적注+서경書經》 〈순전舜典〉에 “공공共工유주幽州로 유배보내시고 환도驩兜숭산崇山으로 추방하시고 삼묘三苗삼위三危로 귀양보내시고 우산羽山에 가두어서 네 사람을 처벌하시자 천하가 다 복종했다.” 하였다.에 노여워할 만함이 사흉四凶에게 있었으니, 임금의 감정이 무슨 관여함이 있었겠는가.
이 사람에게 노여워할 만한 일이 있으므로 인하여 노여워하신 것이니, 성인聖人의 마음에는 본래 노여움이 없다.
비유하면 밝은 거울이 아름다운 물건이 올 때에는 곧 아룸다움을 나타내고 추악한 물건이 올 때에는 곧 추악함을 나타내는 것과 같으니, 거울이 어찌 일찍이 아름다움과 추악함이 있겠는가.
성인聖人의 마음은 일에 마땅히 노여워해야 할 것이 있음으로 인하여 노여워하시니, 이는 노여움이 사물로 인하여 생긴 것이요 자신으로부터 일어난 것이 아니다.
또 어찌 자기 몸에 노여움을 두겠는가.
비유하면 밝은 거울이 물건을 비출 적에 예쁘고 미움이 물건에 달려 있고, 거울에는 일찍이 예쁘고 미움이 있지 않은 것과 같다.
27-3 세상사람들은 진실로 자기 집에서 하고는 시장에서도 노여운 기색을 짓는 자가 있다.注+좌전左傳소공昭公 19년조年條에 “속담에 이른바 ‘집에서 하고 시장에서 노여운 기색을 띤다.’는 것은 나라를 두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명도明道의 《정성서定性書》에 “성인聖人의 기쁨은 사물이 마땅히 기뻐할 만 해서이고 성인聖人의 노함은 사물이 마땅히 노여워할 만 해서이니, 이는 성인聖人의 기쁨과 노여움이 마음에 매여 있지 않고 사물에 매여 있는 것이다.” 하였다.
우선 예컨대 한 사람에게 노여워하고 다른 사람을 대하여 말할 적에 노여워하는 기색이 없을 수 있겠는가?
한 사람에게 노여워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노여워하지 않는 자가 있으니, 참기를 이와 같이 하더라도 이미 의리義理를 크게 아는 것인데, 성인聖人으로 말하면 사물에 하고 일찍이 노여워하는 마음이 있지 않으시니, 이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니겠는가.
노기怒氣는 발하기 쉽고 재제하기 어렵다.
세상에는 진실로 자기 집에서 노하고는 시장사람에게까지 노여워하는 기색을 짓는 자가 있으니, 노여움을 옮김이 심한 것이다.
스스로 금하고 잡아서 이 사람에게만 노여워하고 남은 노여움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노여워하는 말과 노여워하는 기색을 가하지 않는 자도 이미 쉽게 얻을 수가 없는데, 하물며 사물을 각각 사물에 맡겨두어 기뻐하고 노여워하는 마음을 자신에게 두지 않는 자는 어찌 심히 어려운 것이 아니겠는가.
27-4 군자君子는 물건을 사역하고(부리고) 소인小人은 물건에게 사역당하니, 이제 기뻐할 만하고 노여워할 만한 일을 보고는 자신이 일분一分이라도 그에 끌려가서 모시고 받들려는 생각을 가진다면注+배봉陪奉은 모시고 따르며 봉지奉持(받들어 잡음)한다는 뜻과 같습니까?” 하고 묻자, 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이 말도 또한 된다. 다만 봉지奉持를 마땅히 (섬김)字로 고쳐야만 간절하다.” 이 또한 수고로우니, 성인聖人의 마음은 잔잔한 물과 같다.
물건을 사역하는 자는 자신이 항상 정해져 있고 물건에게 사역당하는 자는 물건을 따라 가니, 성인聖人의 마음은 항상 담연湛然하여 잔잔한 물과 같아서 털끝만큼이라도 좋아함을 일으키고 미워함을 일으키는 마음이 없으시다.
[張伯行 註] 이로 말미암아 군자君子소인小人의 구분을 알 수 있다.
군자君子는 자신으로 물건을 어거하여 마음에 주장이 있어 물건이 명령을 따르니 물건을 사역하는 자이고, 소인小人은 물건을 쫓아 가서 마음에 주장이 없어 물건에게 끌려가니 물건에게 사역당하는 자이다.
희로喜怒는 원래 일에 있고 자신에게 있지 않은데, 지금 사람들은 객기客氣가 멋대로 넘치고 가슴속이 수고롭고 소요하여, 한 번 기쁠 만하고 노여워할 만한 일을 보면 자신이 먼저 일분一分의 온화하지 못한 마음을 갖게 되니, 이는 물건이 주인이 되고
내가 모시는 사람이 되어서 가서 맞이하여 받들어 활발발活潑潑한 경지를 얻지 못한 것으로
이때의 정신과 마음이 또한 그 수고로움을 당하게 된다. 오직 성인聖人의 마음은 담담하기가 물이 멈춰 있는 것과 같으니, 멈춰있는 물은 고요함을 비유한 것이고 밝은 거울은 비어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비어 있기 때문에 고요하고 고요하면 더욱 비워져서 두 뜻이 서로 연관된다.
그러므로 본문本文에 두 가지를 말한 것이다. 성인聖人은 바로 자연히 그렇게 되는 자이고, 안자顔子는 평소에 극기복례克己復禮의 공부를 지극히 함으로 말미암아 이러한 경지에 이른 것이다.
배우는 자는 함양涵養 공부가 깊지 못하고 이해함이 익숙하지 못하니, 바로 쉽게 볼 수 없는 것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