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1 人苟有朝聞道夕死可矣之志 則不肯一日安於所不安也 何止一日이리오
須臾 不能이니 如曾子易簀 須要如此라야 乃安이니라
朱子曰
道者 事物當然之理 苟得聞之하야 無復遺恨矣리라
25-2 人不能若此者 只爲不見實理 實理者 實見得是하고 實見得非
朱子曰
實理與實見 不同하니 恐記錄漏字
愚謂 本以人心見處而言하니 惟實見是非之理然後 爲實理
蓋理無不實이언마는 但見未有實耳니라
25-3 凡實理 得之於心이면 自別이라
若耳聞口道者 心實不見이니 若見得이면 必不肯安於所不安이라
人之一身 儘有所不肯爲로되 及至他事하야는 又不然하나니 若士者 雖殺之使爲穿窬라도 必不爲로되 其他事 未必然이라
至如執卷者 莫不知說禮義하며 又如王公大人 皆能言外物이로되 及其臨利害하야는 則不知就義理하고 却就富貴하나니 如此者 只是說得이요 不實見이라
及其蹈水火하야는 則人皆避之하나니 是實見得이라
須是有見不善如探湯之心注+論語季氏篇 孔子曰 見善如不及하며 見不善如探湯이라하니라이면 則自然別이니라
昔〈有〉曾經傷於虎者러니 他人語虎 則雖三尺童子라도 皆知虎之可畏 終不似曾經傷者 神色懾懼하야 至誠畏之하니 是實見得也니라
此一節 反覆推明實見之理 最爲親切하니 學者要亦察理之明하고 立志之剛하야 知行幷進하야 豁然有悟然後 所見 爲實見이니 充其所見하면 死生利害 皆不足以移之矣리라
25-4 得之於心 是謂有德이니 不待勉强이어니와 然學者則須勉强이라
古人 有捐軀隕命者하니 若不實見得이면 則烏能如此리오
須是實見得生不重於義하고 生不安於死也
故有殺身成仁注+論語衛靈公篇 子曰 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이요 有殺身以成仁이라하니라하니 只是成就一箇是而已니라
心有實見而後 謂之有德이니 此則不待勉强이어니와 學者實見 有所未盡이면 則亦勉而行之可也니라


25-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사람이 진실로 아침에 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괜찮다는 뜻을 간직한다면 단 하루도 편안하지 않은 일에 편안하지 않을 것이니, 어찌 다만 하루뿐이겠는가.
잠시도 편안하지 못할 것이니, 증자曾子역책易簀과 같은 것은 모름지기 이와 같이 하여야 편안한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는 사물의 당연한 이치이니, 만일 이것을 얻어 듣는다면 살아서는 순하고 죽어서는 편안하여 다시 유한遺恨이 없을 것이다.”
25-2 사람들이 이와 같이 하지 못하는 것은 다만 진실한 이치를 보지 못하였기 때문이니, 진실한 이치를 본다는 것은 옳음을 실제로 보고 그름을 실제로 보는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실리實理실견實見이 같지 않으니, 기록에 글자가 누락된 듯하다.”
내가 생각하건대 본래 인심人心의 보는 곳을 가지고 말씀하였으니, 옳고 그른 이치를 실제로 본 뒤에야 진실한 이치가 되는 것이다.
이치는 진실하지 않음이 없지만 다만 봄이 진실하지 못함이 있을 뿐이다.
25-3 언제나 진실한 이치를 마음속에 얻으면 스스로 달라진다.
만약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기만 하는 자는 마음속에 실제로 보지 못한 것이니, 만일 보았다면 반드시 편안하지 못한 곳에 편안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사람의 한 몸이 참으로 즐겨 하지 않는 것이 있으나 다른 일에 이르러서는 또 그렇지 못하니, 예컨대 선비는 비록 죽인다고 위협하면서 담을 뚫거나 담을 넘어가 도둑질을 하게 하더라도 반드시 하지 않을 것이나 다른 일에는 반드시 이렇게 하지 못한다.
그리고 책을 잡고 글을 읽는 자가 예의禮義를 말할 줄 모르는 이가 없으며 또 왕공대인王公大人(고관대작)들이 모두 헌면軒冕(富貴)은 외물外物이라고 말하나 이해利害를 당하면 의리義理로 나아갈 줄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부귀富貴로 나아가니, 이와 같은 자는 다만 말만 하고 실제로는 보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수화水火를 밟음에 이르러서는 사람들이 모두 피하니, 이는 실제로 본 것이다.
모름지기 불선不善을 보거든 끓는 물에 손을 넣는 것처럼 여기는 마음이 있어야 하니,注+논어論語》〈계씨편季氏篇〉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을 보면 미치지 못할 듯이 하고 불선不善을 보면 끓는 물에 손을 넣어 더듬는 것처럼 해야 한다.” 하였다. 그러면 자연 달라질 것이다.
옛날에 일찍이 범에게 부상당한 자가 있었는데, 딴사람들은 범을 말할 때에 비록 삼척동자三尺童子라도 모두 범이 두려울 만한 것인 줄 알았으나 끝내 일찍이 범에게 부상당한 경험이 있는 자의 정신과 얼굴빛이 두려워하여 지성至誠으로 두려워하는 것과는 같지 않았으니, 이것이 실제로 본 것이다.
이 한 은 반복하여 실제로 보는 이치를 미루어 밝힘이 가장 친절하니, 배우는 자가 또한 이치를 살피기를 밝게 하고 뜻을 세우기를 강하게 하여 지행知行병진竝進해서 활연豁然히 깨달음이 있은 뒤에야 보는 바가 실제로 봄이 될 것이니, 그 본 바를 채우면 사생死生이해利害가 모두 마음(지조)을 바꾸지 못할 것이다.
25-4 이것을 마음에 얻은 것을 이 있다고 이르니, 〈이 있는 자는〉 억지로 힘쓸 필요가 없거니와 배우는 자는 모름지기 억지로 힘써야 한다.
옛사람 중에는 몸을 버리고 생명을 바친 자가 있으니, 만약 실제로 보지 않았다면 어찌 이와 같이 할 수 있겠는가.
모름지기 사는 것이 보다 중하지 못하고 사는 것이 죽음보다 편안하지 못함을 실제로 보았다.
그러므로 몸을 죽여 을 이루는注+논어論語》〈위영공편衛靈公篇〉에 공자孔子가 말씀하시기를 “지사志士인인仁人은 삶을 구하여 을 해침이 없고, 몸을 죽여 을 이룸은 있다.” 하셨다. 경우가 있는 것이니, 다만 하나의 옳음을 성취할 뿐이다.”
마음에 실제로 봄이 있은 뒤에 이 있다고 이르는 것이니 이는 억지로 힘쓸 필요가 없거니와, 배우는 자는 실제로 봄이 미진한 바가 있으면 또한 힘써서 행해야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生順死安 : 살아서는 하늘을 순히 섬기고 죽어서는 편안한 것으로 張橫渠의 〈西銘〉에 “存吾順事 沒吾寧也”와 같은 뜻이다.
역주2 軒冕 : 軒은 大夫가 타는 수레이고 冕은 관리가 입는 官服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