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2-1 詩書 載道之文이요 春秋 聖人之用이니 詩書 如藥方이요 春秋 如用藥治病이라
聖人之用 全在此書하니 所謂不如載之行事深切著明者也注+史記太史公自序傳 子曰 我欲載之空言이나 不如見之於行事之深切著明也라하시니라 ○ 索隱云 案孔子之言 見春秋緯
道無非用이요 用無非道 然詩書 卽道而推於用注+按 詩書 載二帝三王所行之道 恐非卽道而推於用也하니 主道而言故 曰載道之文이요 春秋 卽用以明道하니 主用而言故 曰聖人之用이라
詩書 如藥方하야 固可以治病이요 春秋 如因病用藥하야 是非得失 尤爲深切著明注+按 本文之意 則曰與其載之空言 不如載之行事之深切著明者也 非謂是非得失之深切著明也 且因病用藥之下 卽以是非得失 袞說了하니 文義亦不分曉니라者也니라
62-2 有重疊言者하니 如征伐盟會之類注+益軒曰 或謂征伐盟會之類 數數出之하니 雖非一時之事 非各有異義 又非言以征伐二字分之爲重疊也니라
蓋欲成書인댄 勢須如此 不可事事各求異義
但一字有異어나 或上下文異 則義須別이니라
〈遺書 下同〉
[張伯行 註] 春秋之義 有要分別觀之者하고 亦有不必分別觀之者
其間言之重하고 詞之複하야 如記盟會征伐之類 或詳擧列國君大夫하고 或贅衍年月日時與其地其事하니 蓋欲成書以便後人之觀覽이면 其勢不得不如此 必欲各求異義 則鑿矣
至於字法之有異及上下文之有異者하야는 予奪褒貶義例存焉하니 則須分別看耳
是在學者神而明之也니라


62-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은 를 실은 글이요, 《춘추春秋》는 성인聖人의 운용이니,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은 약방문藥方文과 같고 《춘추春秋》는 약을 써서 병을 치료하는 것과 같다.
성인聖人의 쓰임이 완전히 이 책에 들어 있으니, 이른바 ‘행사行事기재記載함이 깊고 간절하여 드러나고 분명한 것만 못하다.’는 것이다.注+사기史記》〈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의 에 말하였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빈말에 기재하고자 하였으나 행사行事에 나타내는 것이 깊고 간절하여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만 못하다.’ 하였다.”
○ 《색은索隱》에 이르기를 “공자孔子의 말씀은 《춘추위春秋緯》에 보인다.” 하였다.
아님이 없고 아님이 없으나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은 에 나아가 을 미루었으니注+살펴보건대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은 이제二帝삼왕三王이 행한 를 기재하였으니, 에 나아가서 에 미루는 것이 아닐 듯하다.를 위주하여 말하였으므로 를 실은 글이라 하였고, 《춘추春秋》는 에 나아가 를 밝혔으니 을 위주하여 말하였으므로 성인聖人이라 한 것이다.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은 약방문藥方文과 같아서 진실로 병을 다스릴 수 있고, 《춘추春秋》는 병에 따라 약을 쓰는 것과 같아서 시비是非득실得失이 더욱 깊고 간절하여 분명하게 드러난다.注+살펴보건대 본문本文의 뜻은 빈말에 기재하는 것이, 행사行事에 기재하는 것이 깊고 간절하여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만 못하다는 것이요, 시비是非득실得失이 깊고 간절하여 저명著明함을 말한 것이 아니다. 또 을 인하여 을 쓴다는 내용 아래에 곧바로 시비득실是非得失을 뒤섞어 말하였으니, 문장의 뜻이 또한 분명치 못하다.
62-2 중첩하여 말한 것이 있으니, 정벌征伐회맹會盟 같은 따위이다.注+익헌益軒이 말하였다. “혹은 정벌征伐하고 회맹會盟하는 가 자주자주 보임을 말한 것이니, 비록 한 때의 일이 아니지만 각기 다른 의의意義가 있는 것이 아니요, 또 정벌征伐 두 글자를 가지고 나누어 중첩한 것도 아니다.”
책을 이루고자 한다면 형편상 모름지기 이와 같이 하여야 하니, 일마다 각각 다른 뜻을 찾아서는 안 된다.
다만 한 글자라도 다름이 있거나 혹 상하上下의 글이 다르면 뜻도 모름지기 달라야 한다.”
〈《정씨유서程氏遺書》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張伯行 註] 《춘추春秋》의 뜻은 분별하여 보아야 할 것이 있고, 또한 굳이 분별하여 볼 필요가 없는 것이 있다.
그 사이에 말이 중복되고 글자가 중복되어서 회맹會盟정벌征伐을 기록한 따위에 혹은 열국列國군주君主대부大夫들을 자세히 열거하고 혹은 연월일시年月日時지역地域과 일을 부연설명하기도 하였는데, 책을 이루어 후인後人들이 보기에 편리하게 하려고 하면 형편상 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어서이니, 굳이 각기 다른 의미를 찾으려 한다면 천착穿鑿하는 것이다.
그리고 글자를 놓는 법에 차이가 있고 상하上下문장文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말하면 하는 의례義例가 내포되어 있으니, 모름지기 분별해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배우는 자가 신묘하게 하여 밝힘에 달려 있을 뿐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