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7. 竊嘗病孔孟旣沒 諸儒囂然하야 不知反約窮源하고 勇於苟作하야 持不逮之資而急知後世
明者一覽 如見肺肝然이니 多見其不知量注+論語本註 與祗同하니 適也 不知量 謂不自知其分量也 漢儒註釋에도 亦曰 適自見其不知量也라하니라
方且創艾(刈)其弊하야 黙養吾誠이니 顧所患 日力不足而未果他爲也注+論語子張篇曰 多見其不知量이라하니라 ○ 欄外書曰 未果他爲也 猶言未暇他及이라니라
不知反約窮源이라 故浮淺而無實이니 黙養吾誠 則反約窮源之事也니라


107.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내 일찍이 이 별세하신 뒤에 여러 유자儒者들이 시끄럽게 떠들어서 요약要約함으로 돌아와 근원根源을 궁구할 줄을 모르고 구차히 일함에 용감하여, 미치지 못하는 자질資質을 가지고 후세後世에 알려지는 것을 급하게 여김을 병폐로 여겼다.
현명한 자가 한 번 보면 폐간肺肝을 들여다 보듯 환하게 알 것이니, 다만〔多〕 자신의 분량分量(분수)을 알지 못함을 나타낼 뿐이다.注+논어論語》의 본주本註에 “와 같으니 다만이다. 부지량不知量은 스스로 그 분량分量을 알지 못함을 이른다.” 하였으며, 한유漢儒들의 주석에도 “다만 스스로 그 분량分量을 알지 못함을 볼 뿐이다.” 하였다.
바야흐로 장차 이 병폐를 징계하여 묵묵히 자신의 을 길러야 하니, 다만 염려되는 것은 날짜가 부족하여 이것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注+논어論語》〈자장편子張篇〉에 이르기를 “다만 그 분량分量(分數)를 알지 못함을 나타낼 뿐이다.” 하였다.
○ 《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딴 것을 할 수가 없다〔未果他爲〕’는 것은 딴 일에 미칠 겨를이 없다는 말과 같다.”
요약要約함으로 돌아와 근원根源을 궁구할 줄 모르므로 들뜨고 얕아서 실제가 없는 것이니, 묵묵히 자신의 을 기름은 요약要約함으로 돌아와 근원根源을 궁구하는 일이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