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 凡觀書 不可以相類泥其義 不爾 則字字相梗이라
當觀其文勢上下之意 如充實之謂美注+出于孟子盡心下浩生不害問樂正子之處 朱註曰 力行其善하야 至於充滿而積實이면 則美在其中하야 而無待於外矣라하니라 與詩之美 不同이니라
充實之美 在己 詩之稱美 在人하니 如此之類 豈可泥爲一義리오
[張伯行 註] 學固以類而推
然有不類而實類者하고 有相類而實不類者하야 義各有所指耳 安可徒以相類之故 而泥爲一義리오
如泥爲一義하야 不知變通이면 則字字相梗矣리라
惟當觀其文勢上下之義 意別則義自別이요 義別則文之類者亦不類
如充實之美 說在己 詩稱美刺 說在人이니 同一美字 非同一解 卽此可見이라
竊怪今人解書 借彼影此하야 徒知掠字句之形似하야 模糊那撮하고 反於本處意指하니 急當以是正之니라


27.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언제나 책을 볼 때에는 서로 유사하다 하여 그 뜻에 집착해서는 안 되니, 이렇게 하지 않으면 글자마다 서로 막힌다.
마땅히 그 문세文勢의 위아래의 뜻을 보아야 하니, 예컨대 《맹자孟子》의 ‘충실充實함을 라 이른다.’注+맹자孟子》〈진심盡心 〉에 호생불해浩生不害악정자樂正子에 대해서 물은 부분에 나온다. 주자朱子에 “을 힘써 행해서 충만하여 가득히 채워짐에 이르면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 있어서 밖에 기다릴 것이 없다.” 하였다.는 《시경詩經》의 와는 같지 않은 것이다.”
충실充實함의 아름다움은 자신에게 있고, 《시경詩經》에서 아름다움을 칭찬한 것은 남(물건이나 타인)에게 있으니, 이러한 를 어찌 집착하여 한 뜻으로 삼을 수 있겠는가.
[張伯行 註]학문學問은 진실로 같은 종류끼리 미루어 나가야 한다.
그러나 서로 같지 않으면서도 실제는 같은 것이 있고, 서로 같으면서도 실제는 같지 않은 것이 있어서 뜻이 각기 가리키는 바가 있으니, 어찌 한갓 서로 비슷하다는 이유로 집착하여 한 뜻으로 삼겠는가.
만일 집착하여 한 뜻으로 삼아서 변통할 줄 모르면 글자마다 서로 막히게 될 것이다.
오직 위아래 문세文勢의 뜻을 살펴보아야 하니, 의미가 다르면 뜻이 절로 다르고 뜻이 다르면 비슷한 문장도 또한 비슷하지 않게 된다.
예컨대 충실充實는 아름다움이 자신에게 있음을 말하였고, 《시경詩經》에서 말한 미자美刺(讚美와 풍자諷刺)의 는 아름다움이 남에게 있음을 말하였으니, 똑같은 미자美字이지만 동일한 해석이 아님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지금 사람들은 글을 해석할 적에 저것을 빌어다 이것을 어림짐작하여, 한갓 비슷한 자구字句를 취해서 모호하게 설명할 줄만 알고, 도리어 본래 글뜻에 있어서는 풍마우風馬牛와 같이 서로 미치지 못하니, 급히 이로써 바로잡아야 한다.


역주
역주1 風馬牛 : 風馬牛不相及을 축약한 것으로 즉 거리가 멀어 발정하여 바람난 말과 소가 서로 미칠 수 없음을 이른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