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1 內積忠信 所以進德也 擇言篤志 所以居業也注+易乾九三文言曰 君子進德修業하나니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誠 所以居業也 知至至之 可與幾也 知終終之 可與存義也라하니라
乾九三文言傳이라
朱子曰
內積忠信 是實心이요 擇言篤志 是實事니라
又曰
忠信者 如惡惡臭하고 如好好色하야 表裏 無一毫之不實이라
擇言 謂修辭 篤志 謂立誠이니 立誠 卽上文忠信이라
又曰
內有忠信이라야 方能修辭니라
以心言이요 業者 德之事
德要日新又新이라 故曰進이요 業要存而不失이라 故曰居 如日知其所亡 如月無忘其所能注+論語本註 無也 謂己之所未有 新安陳氏曰 爲學 當日有所進而知其所未得이요 月有所守而不忘其所已得이니 知其所無 則識愈長而日新이요 保其所有 則得愈堅而不失이니라이니 進德修業 只是一事니라
6-2 知至至之 致知也 求知所至而後至之
知之在先이라 故可與幾 所謂始條理者智之事也注+孟子萬章下曰 集大成也者 金聲而玉振之也 金聲也者 始條理也 玉振之也者 終條理也 始條理者 智之事也 終條理者 聖之事也라한대 朱註曰 條理 猶言脈絡이니 指衆音而言也 智者 知之所及이요 聖者 德之所就也라하니라
謂至善之地也 求知至善之地而後 至其所知
所重者在知 故曰可與幾 蓋幾者 動之微, 事之先見者也
致知以正其始注+按 至善之至 至極之至也 知至之至 乃至處也어늘 葉註語欠曲折이라 若曰 至 至處 卽至善之地云이라하면 則似勝이라 所重者在知故 曰可與幾者 亦未瑩하니 必若朱子所謂未做到那裏 先知得如此 所以說可與幾者 然後 語意痛快니라 且正其始, 成其終云者 下語種種有病하니라 則能得乎事之幾微矣리라
智者 知之至明也
6-3 知終終之力行也 旣知所終이면 則力進而終之
守之在後故可與存義 所謂終條理者聖之事也 此學之始終也注+朱子曰 知至至之 主知 知終終之 主行이니 蓋上句則以知〔至〕爲重而至之二字爲輕이요 下句則以知終爲輕而終之二字爲重이라 又曰 知至知終이면 則又詳其始終工夫之序如此 忠信 心也 修業 事也 然蘊於心者 所以見於事 修於事者 所以養其心이니 此聖人之學 所以爲內外兩進하야 而非判然二事也니라注+易乾卦文言 子曰 君子進德修業하나니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誠 所以居業也 知至至之 可與幾也 知終終之 可與存義也라한대 程子曰 知至至之 主知 知終終之 主終이라 知至至之 如今學者且先知有至處라야 便從此至之 是可與幾也 非知幾 安能先識至處리오 知終終之 知學之終處而終之 然後 可以守義니라 ○ 孟子本註 始之也 終之也 條理 猶言脈絡이니 指衆音而言也 知者 知之所及이요 聖者 德之所就也 本文作智하니라
〈易傳下同〉
卽至善之盡處也 旣知所終則力行而終之
所重在行이라 故曰可與存義
蓋義者 當然之則이요 存者 守而勿失也 力行以成其終이면 斯能立乎事之則義矣리라
聖者 行之至盡也
始終條理之說 詳見孟子하니라


6-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안에 충신忠信을 쌓음은 을 진전하는 것이요, 말을 가려서 하고 뜻을 독실히 함은 을 쌓는 것이다.注+주역周易건괘乾卦 구삼효九三爻문언전文言傳〉에 이르기를 “군자君子을 진전시키고 을 닦나니, 충신忠信을 진전시키는 것이요 말을 닦고 성실함을 세움은 을 쌓는 것이다. 이를 데를 알아 이르므로 더불어 기미幾微를 알 수 있으며, 을 알아 끝마치므로 더불어 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였다.
건괘乾卦 구삼효九三爻문언전文言傳〉의 (伊川先生의 《역전易傳》)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안에 충신忠信을 쌓음은 진실한 마음이요, 말을 가려서 하고 뜻을 독실히 함은 진실한 일이다.”
또 말씀하였다.
충신忠信이란 악취惡臭를 미워하듯이 하고 호색好色을 좋아하듯이 하여 겉과 속에 털끝만큼이라도 진실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말을 가려서 한다는 것은 수사修辭(말을 진실하게 함)를 이르고, 뜻을 독실히 한다는 것은 성실함을 세움을 이르니, 성실함을 세운다는 것은 곧 윗글의 충신忠信이다.”
또 말씀하였다.
“안에 충신忠信이 있어야 비로소 말을 진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은 마음으로 말하였고, 의 일이다.
은 날로 새롭고 또 새로워져야 하므로 이라 말하였고, 은 보존하고 잃지 않아야 하므로 라 말하였으니, 은 ‘날마다 없는 바를 안다’는 것과 같고, 는 ‘달마다 능한 바를 잊지 말라’는 것과 같으니,注+논어論語본주本註에 “는 없음이니 자신이 아직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이른다.” 하였다. 신안진씨新安陳氏가 말하였다. “학문을 할 적에 마땅히 날마다 진전하는 바가 있어서 미처 알지 못했던 것을 알아야 하고, 달마다 지키는 바가 있어서 이미 안 것을 잊지 않아야 하니, 없던 것을 새로 알면 지식이 점점 자라서 날마다 새로워지고, 알고 있는 것을 지키면 그 앎이 더욱 견고해져서 잃지 않는다.”을 진전하고 을 쌓음은 다만 한 가지 일이다.”
6-2 이를 데를 알아 이름은 치지致知이니, 이를 데를 알기를 구한 뒤에 이른다.
아는 것이 앞에 있으므로 기미幾微를 알 수 있는 것이니, 이른바 ‘조리條理를 시작함은 의 일’이라는 것이다.注+맹자孟子》 〈만장萬章 〉에 이르기를 “집대성集大成이란 〈음악을 연주할 적에〉 으로 소리를 퍼뜨리고 으로 거두는 것이다. 으로 소리를 퍼뜨린다는 것은 조리條理를 시작함이요 으로 거둔다는 것은 조리條理를 끝마치는 것이니, 조리條理를 시작하는 것은 의 일이요 조리條理를 끝마치는 것은 의 일이다.” 하였다. 주자朱子에 이르기를 “조리條理맥락脈絡이란 말과 같으니, 여러 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는 앎이 미치는 것이요, 이 이루어진 것이다.” 하였다.
지선至善의 곳에 이름을 이르니, 지선至善의 곳을 알기를 구한 뒤에 아는 바에 그친다.
중히 여기는 바가 앎에 있으므로 더불어 기미幾微를 안다고 말하였으니, 는 동함의 은미함으로 일에 먼저 나타나는 것이다.
지식을 지극히 하여 시작을 바르게 하면注+살펴보건대 지선至善지극至極이고 지지知至는 바로 지극한 곳인데, 섭씨葉氏는 이러한 곡절曲折이 부족하다. 만약 ‘는 지극한 곳이니 바로 지선至善의 자리’ 라고 말한다면 좋을 듯하다. ‘중히 여기는 바가 앎에 있으므로 더불어 기미幾微를 안다’고 말했다는 것도 분명치 못하니, 반드시 주자朱子의 이른바 ‘이 속에 이르지 않았을 적에 먼저 이와 같음을 안다. 이 때문에 더불어 기미幾微를 안다고 말한 것이다’ 라는 것과 같이 하여야 하니, 이렇게 한 뒤에야 말뜻이 통쾌하다. 또 ‘그 시작을 바루고 그 을 이룬다’고 한 것도 말에 종종 병통이 있다. 일의 기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는 앎이 지극히 밝은 것이다.
6-3 마칠 데를 알아 마치는 것은 역행力行이니, 이미 마칠 데를 알았으면 힘써 나아가 마치는 것이다.
지킴은 뒤에 있으므로 더불어 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니, 이른바 조리條理를 끝냄은 의 일이라는 것으로, 이는 학문學問의 시작과 끝이다.”注+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지지지지知至至之지공부知工夫를 주장하였고 지종종지知終終之행공부行工夫를 주장하였으니, 윗구는 지지知至를 중하게 여겨 지지至之 두 글자가 가벼움이 되고, 아랫구는 지종知終을 가볍게 여겨 종지終之 두 글자가 중함이 된다.” 또 말씀하였다. “이를 데를 알고 마침을 알면 또 그 시종始終 공부工夫의 순서를 자세히 앎이 이와 같은 것이다. 충신忠信은 마음이요 수업修業은 일이다. 그러나 마음에 쌓는 것은 일에 드러내기 위한 것이요, 일을 닦는 것은 그 마음을 기르기 위한 것이니, 이는 성인聖人의 학문이 내외內外가 모두 진전되어 판연判然히 두 가지 일이 아닌 것이다.”注+주역周易건괘乾卦문언전文言傳〉에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군자君子을 진전하고 을 닦으니, 충신忠信을 진전시키는 것이고 말을 잘하여 성실함을 세움은 을 쌓는 것이다. 이를 데를 알아 이르기 때문에 더불어 기미幾微를 알 수 있으며, 그칠 데를 알아 그치기 때문에 를 보존할 수 있다.” 하였다. 이에 대하여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이를 데를 알아 이름은 앎을 위주로 하고, 마칠 데를 알아 마침은 마침을 위주로 한 것이다. 이를 데를 알아 이른다는 것은 지금 배우는 자가 우선 먼저 이를 곳이 있음을 알아야 곧 이로부터 이르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기미를 알 수 있는 것이다. 기미幾微를 아는 자가 아니라면 어찌 먼저 지극한 곳을 알겠는가. 마칠 데를 알아 마침은 학문의 마칠 곳을 알아 마치는 것이니, 이렇게 한 뒤에야 를 지킬 수 있다.”
○ 《맹자孟子》의 본주本註에 “는 시작함이요 은 끝마침이다. 조리條理맥락脈絡이란 말과 같으니, 여러 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는 지혜가 미치는 것이요, 이 성취된 것이다.” 하였다. 본문本文로 되어 있다.
〈《역전易傳》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은 바로 지선至善의 극진한 곳이니, 이미 마칠 데를 알았으면 힘써 행하여 마치는 것이다.
중한 바가 에 있으므로 더불어 를 보존한다고 말한 것이다.
는 당연한 법칙이요 은 지키고 잃지 않는 것이니, 힘써 행하여 끝마침을 이루면 일의 법칙法則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은 행실이 지극하고 다한 것이다.
조리條理를 시작하고 끝마침은 《맹자孟子》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
역주1 : 무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