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4-1 人敎小童 亦可取益이니 絆己不出入 一益也
取益 謂有益於己
牽繫也
[張伯行 註] 此 言敎小童之有益이니 猶書所謂斅學半也
蓋人嘗以敎小童으로 爲有妨於己功이라하니 不知敎學之中 在己亦可取益이라
凡敎小童이면 則必日與之同在學中하리니 是爲絆繫己身하야 使不得時常出入이라
不出入이면 則少外物之誘하니 是自己得寧靜之道 一益也니라
64-2 授人數數 己亦了此文義 二益也
數數 猶頻數也
曉徹也
[張伯行 註] 敎小童者 必授之以書 且授之 不是一時便休하야 至數數然不已하니 則在己 亦必了然於此書之文義矣
夫書貴習熟이니 以授小童之故 而使書理常在目前하고 在己 又得時習之功하니 是二益也니라
64-3 對之 必正衣冠하고 尊瞻視 三益也 常以因己而壞人之才爲憂하면 則不敢墮 四益也니라
〈語錄〉
此段 疑當在十一卷之末이니라
[張伯行 註] 且在我之威儀必謹 亦學問要緊工夫也
而敎小童이면 則必正其衣冠하야 使子弟有所嚴憚하고 尊其瞻視하야 使子弟有所取法하니 是得小童以攝自己之威儀也 非三益乎
抑凡人之志氣 最患其有頹墮委靡之病이니 敎小童이면 則受人敎育之託하야 常恐因己敎壞人之才質이라
以此爲憂 則必自求其有可敎人之本하야 而不敢自墮其所學하리니 豈非四益乎


64-1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사람들이 어린 아이를 가르치는 일에도 또한 유익함을 취할 수 있으니, 자기를 옭아매어 출입出入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첫 번째 유익함이요,
취익取益은 자신에게 유익함이 있음을 이른다.
은 옭아매는 것이다.
[張伯行 註] 이는 어린 동자童子를 가르침에 유익함을 말하였으니, 《서경書經》〈說命〉에 이른바 ‘가르침은 학문의 반’ 이라는 말과 같다.
사람들이 일찍이 어린 동자들을 가르치는 것을 자신의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말하니, 어린 동자들을 가르치는 가운데에 자신도 유익함을 취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언제나 어린 동자들을 가르치면 반드시 날마다 그들과 함께 학궁學宮 가운데에 있게 되니, 이는 자기 몸을 속박하여 때로 항상 출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출입하지 않으면 외물外物의 유혹이 적어지니, 이는 자기가 편안하고 고요함을 얻을 수 있는 방도로 첫 번째 유익함이다.
64-2 사람을 여러 번 가르침에 자신도 글뜻을 분명하게 아는 것이 두 번째 유익함이요,
삭삭數數빈삭頻數과 같다.
는 밝게 통하는 것이다.
[張伯行 註]동자童子들을 가르치는 자는 반드시 책을 가르쳐주고, 또 책을 가르쳐줄 적에는 한 때에 곧바로 끝나지 아니하여 여러 번 가르치고 그치지 않으니, 이렇게 되면 자신에게 있어서도 이 책의 글뜻을 분명히 알게 된다.
책은 익숙히 익히는 것을 소중히 여기니, 어린 동자를 가르치는 까닭에 책의 이치가 항상 목전目前에 있게 되고 자신에게 있어 또 때로 익히는 공부를 얻을 수 있으니, 이것이 두 번째 유익함이다.
64-3 아이들을 대할 적에 반드시 의관衣冠을 바르게 하고 시선視線을 공경하게 하는 것이 세 번째 유익함이요, 항상 자신으로 인해 남의 인재人才를 파괴함을 근심한다면 감히 게을리 하지 못할 것이니, 이것이 네 번째 유익함이다.”
〈《횡거선생어록橫渠先生語錄》에 보인다.〉
이 단락은 마땅히 11의 끝에 있어야 할 듯하다.
[張伯行 註] 또 자신에게 있는 위의威儀를 반드시 삼가는 것도 또한 학문에 요긴한 공부이다.
어린 동자童子를 가르치게 되면 또한 반드시 의관衣冠을 바로하여 자제子弟들로 하여금 무서워하고 공경하는 바가 있게 하고, 보는 것을 공경하여 자제子弟들로 하여금 취하여 본받는 바가 있게 하니, 이는 동자童子를 얻어 자신의 위의威儀를 조심하는 것이니, 세 번째 유익함이 아니겠는가.
대체로 사람의 지기志氣는 타락하고 해이해지는 병통을 가장 걱정하니, 어린 동자를 가르치게 되면 자식을 교육敎育시켜 달라는 남의 부탁을 받아 항상 자기로 인해 남의 재질才質을 파괴시킬까 두려워하게 된다.
이것을 걱정하면 반드시 스스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근본을 구하여 감히 스스로 배운 바를 실추하지 않을 것이니, 어찌 네 번째 유익함이 아니겠는가.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