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韓信
의 多多益辦
注+前漢書列傳四韓信傳에 上問曰 如我는 能將幾何오 信曰 陛下不過能將十萬이니이다 上曰 如公何如오 如臣은 多多益辦耳라하니라은 只是分數明
이니라 
                        		
                        		
                        		
	                     		
			                       	
			                       	
	                     		
	                     		
		                        
                        	
                        	
                        	
                        	
                        		
                        			
                        			
			                        
			                        	分者
는 管轄
注+按 字會에 管은 主掌也요 又鍵也라 轄은 韻會에 轄以鍵輪이라階級之分
이요 數者
는 行伍多寡之數
니 分數明則上下相臨
하야 統紀不紊
이라 
                        		
                        		
                        		
	                     		
			                       	
			                       	
	                     		
	                     		
		                        
                        	
                        	
                        	
                        	
                        		
                        			
                        			
			                        
                        		
                        		
                        		
	                     		
			                       	
			                       	
	                     		
	                     		
		                        
                        	
                        	
                        	
                        	
                   			
                        	
                        	
                        	
                        	
	                       	
	                       	
	                       	
	                       	
							                       	
	                        
	                        
	                        	
	                        
	                        	
	                        
	                        	
	                        
	                        	
	                        
	                        	
	                        
	                        	
	                        
	                        
	                        
                        	
		                        
		                        
		                        
		                        
                        		
                        	
		                        
		                        
		                        
		                        	
		                        	
		                        
		                        
                        		
                        		
                        			
			                        
			                        	10. 〈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
한신韓信이 ‘군사가 많을수록 더욱 잘 다스림’
注+《전한서前漢書》〈열전列傳 사四 한신전韓信傳〉에 상上(高祖)이 “나와 같은 자는 몇 명을 거느릴 수 있는가?” 하고 묻자, 한신韓信이 대답하기를 “폐하陛下는 10만 명을 거느리는 데 불과합니다.” 하였다. 상上이 말하기를 “공公과 같은 사람은 어떠한가?” 하자, 대답하기를 “신臣과 같은 자는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잘 다스립니다.” 하였다.은 다만 
분수分數가 밝기 때문이다.”
      
                        			
                        		
                        		
	                     		
			                       	
			                       	
	                     		
		                        
                        	
		                        
		                        
		                        
		                        
                        		
                        	
		                        
		                        
		                        
		                        	
		                        	
		                        
		                        
                        		
                        		
                        			
			                        
			                        	분分은 
관할管轄(통솔)
注+살펴보건대 《자회字會》에 “관管은 주관함이요, 또 관건關鍵이다.” 하였다. 할轄은 《운회韻會》에 “걸쇠로 바퀴를 잠그는 것이다.” 하였다.하는 
계급階級의 구분이요, 
수數는 
항오行伍의 많고 적은 수자이니, 
분수分數가 밝으면 
상하上下가 서로 임하여 
통솔統率하는 
기강紀綱이 문란하지 않다.
 
			                              
                        			
                        		
                        		
	                     		
			                       	
			                       	
	                     		
		                        
                        	
		                        
		                        
		                        
		                        
                        		
                        	
		                        
		                        
		                        
		                        	
		                        	
		                        
		                        
                        		
                        		
                        			
			                        
			                        	다스리는 자가 더욱 많을수록 잡는 것은 항상 적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