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9. 多聞 不足以盡天下之故注+按 繫辭曰 感而遂通天下之故라하고 孟子曰 天下之言性也 則故而已라하니 故者 其已然之迹이니 若所謂天下之故者也 事物之理 雖若無形而難知 然其發見之已然 則必有迹而易見이라하니라 苟以多聞而待天下之變이면 則道足以酬其所嘗知 若劫之不測이면 則遂窮矣注+欄外書曰 天下之事 萬變無窮하야 固非聞見所盡이라 況復劫之以不測이면 死生禍福 變起倉卒하니 彼記問學者 其能不喪膽奪魂이리오 則窮矣 不測字 指事變이니 卽聞見不及處니라리라
〈橫渠孟子說下同〉
心通乎道 則能盡夫事理之所以然이라 故應變而不窮이어니와 不通乎道而徒事乎記問이면 則見聞有限而事變無涯 卒然臨之以所未嘗知 則窮矣리라


99.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다문多聞(見聞을 많이 함)으로는 천하天下소이연所以然을 다할 수 없으니, 注+살펴보건대 〈계사전繫辭傳〉에 “감동하여 마침내 천하天下를 통한다.” 하였고, 《맹자孟子》에 “천하天下을 말함은 일 뿐이다.” 하였는데, 집주集註에 “는 이미 그러한 자취이니, 〈계사전繫辭傳〉에 이른바 ‘천하天下’와 같다. 사물의 이치가 비록 형체가 없어서 알기 어려운 듯하나 그 발현함의 이미 그러함은 반드시 자취가 있어 보기가 쉽다.” 하였다.만일 다문多聞을 가지고 천하天下사변事變에 대응하려고 한다면 가 일찍이 알고 있던 것에만 수응酬應할 뿐이요, 만약 예측하지 못한 것을 갑자기 들이대면 지식知識이 마침내 궁해질 것이다.”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천하의 일이 만 가지로 변화하여 무궁하니, 진실로 보고 들어서 다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더구나 다시 예측할 수 없는 것으로 들이대면 사생死生화복禍福사변事變이 창졸간에 일어나니, 저 기문記問학자學者가 어찌 간담肝膽이 서늘해지고 을 빼앗기지 않겠는가. 이렇게 되면 곤궁해진다. 불측不測이라는 글자는 사변事變을 가리킨 것이니, 바로 보고 들음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다.”
〈《횡거선생맹자설橫渠先生孟子說》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소이연所以然이요注+살펴보건대 이는 《맹자孟子》의 와 같지 않으니, 《맹자집주孟子集註》의 뜻으로 보면 다문多聞이라는 글자에 가까울 듯하다.는 응함이다.
마음이 를 통달하면 사리事理소이연所以然을 다할 수 있으므로 사변事變에 대응하여 곤궁하지 않을 수 있지만, 를 통달하지 못하고 한갓 기문記問만 일삼으면 견문見聞이 한계가 있고 사변事變이 끝이 없어서 마침내 일찍이 알지 못한 것으로 임하면 지식知識이 곤궁해질 것이다.


역주
역주1 此與孟子註不同……爲襯 : 《孟子集註》의 뜻으로 보면 故는 ‘이미 그러한 자취’이니, 已然之迹을 많이 들어서 알면 天下의 事變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多聞과 故가 서로 부합함을 가리킨 것이다. 즉 ‘多聞足以盡天下之故’라 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