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 人之處家 在骨肉父子之間하야 大率以情勝禮하고 以恩奪義하나니 惟剛立之人 則能不以私愛失其正理
故家人卦大要以剛爲善注+六二曰 无攸遂 在中饋하야 貞吉이라하니라 ○ 以剛爲善之下文曰 初三 是也 六二以陰柔之才而居柔하야 不能治於家者也 故无攸遂라하니 无所爲而可也云云이라이니라
家人卦六二傳이라
相親附 猶骨之於肉이니라
[張伯行 註] 此 見處家之道 不可無剛方之意也
人之處家 所與朝夕者 無非至親之人이라
其在骨肉父子之間 大抵動於情之不能已하야 而禮法之嚴 在所不拘하니 以情勝禮也 出於恩之不忍薄하야 而義理之正 或所不計하니 以恩奪義也
惟剛方卓立之人 自能至公無私하야 不以一偏之愛 失其至正之理
故家人一卦之爻 大要以剛陽爲善하니 觀聖人所繫辭하면 可見矣리라


6.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사람이 집안에 거처함에 골육간骨肉間부자간父子間에 있어서는 대체로 를 이기고 은혜가 를 빼앗는데, 오직 하게 서는 사람은 사사로운 사랑으로 바른 이치를 잃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인괘家人卦대요大要함을 으로 여긴다.”注+가인괘家人卦 육이효사六二爻辭에 “이루는 바가 없다. 규중閨中에 있으면서 음식을 장만하여 하여 하다.” 하였다.
○ ‘이강위선以剛爲善’의 아랫글에 “이 바로 강위剛位이다. 육이六二음유陰柔의 재질로 유위柔位에 거하여 집안을 다스리지 못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이루는 바가 없는 것이니, 하는 바마다 함이 없는 것이다.” 하였다.
가인괘家人卦 육이효사六二爻辭이다.
서로 친하여 붙음이 뼈가 살에 있어서와 같은 것이다.
[張伯行 註] 이는 집안에서 거처하는 강직剛直하고 방정方正함이 없을 수 없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사람이 집에 거처할 때에 아침저녁으로 대하는 자는 모두 지극히 친한 사람들이다.
골육간骨肉間부자간父子間에 있어 대체로 이 그만둘 수 없음에 동하여 예법禮法의 엄격함에 구애받지 않는 바가 있으니 이는 으로 를 이기는 것이며, 은혜가 차마 박하게 할 수 없음에서 나와 의리의 바름을 혹 따지지 않으니 이는 은혜로 의리義理를 빼앗는 것이다.
오직 강직剛直하고 방정方正하여 드높게 확립한 사람은 자연히 지공무사至公無私하여 일편一偏의 사랑으로 지극히 바른 이치를 잃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한 가인괘家人卦가 대체로 양강陽剛을 선하게 여기니, 성인聖人이 여기에 달아 놓으신 괘사卦辭효사爻辭를 보면 알 수 있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