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濂溪先生曰
孟子曰 養心 莫善於寡欲注+孟子盡心下 孟子曰 養心 莫善於寡欲하니 其爲人也寡欲이면 雖有不存焉者라도 寡矣라하니라이라하시니 予謂養心 不止於寡而存耳 蓋寡焉以至於無
無則誠立明通하리니 誠立 賢也 明通 聖也니라
〈遺文〉
朱子曰
誠立 謂實體安固 明通 則實用流行注+問 於聖 獨言用而不及於體하고 於賢 偏言體而不及於用하니 如何 退溪曰 好看了라야 始得이니 非賢止於誠立而不能明通이요 聖止於明通而本無誠立이라 但聖賢之間 不能無誠立明通之高下精粗而已니라이니 如三十而立注+語爲政篇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이라하니라之立이요 니라
○ 或問 孟子與周子之言 果有以異乎잇가
孟子所謂欲者 以耳目口鼻四肢之欲이니 人所不能無 然多而無節이면 則爲心害 周子則指心之流於慾者 是則不可有也
所指有淺深之不同이나 然由孟子之寡欲이면 則可以盡周子之無欲矣리라


2. 염계선생濂溪先生이 말씀하였다.
맹자孟子가 말씀하시기를 ‘마음을 기름은 욕심(욕망)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注+맹자孟子》〈진심盡心 〉에 맹자孟子가 말씀하시기를 “마음을 기르는 것은 욕망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니, 사람됨이 욕망이 적으면 비록 보존되지 않음이 있더라도 적다.” 하였다. 하셨는데, 내가 생각하건대 마음을 기름은 욕심을 적게 하여 욕심이 남아 있는 데에 그칠 뿐만 아니라, 욕심을 적게 하여 욕심이 없음에 이르러야 한다.
욕심이 없으면 (성실함)이 서고 밝게 통할 것이니, 이 섬은 이고 밝게 통함은 이다.”
〈《유문遺文》에 보인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성립誠立실체實體가 편안하고 견고한 것이요, 명통明通실용實用이 유행하는 것이니,注+성인聖人에 대해서는 오직 만 말씀하고 를 언급하지 않고, 현인賢人에 대해서는 오직 만 말하고 을 말씀하지 않았으니, 어떻습니까?” 하자, 퇴계退溪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잘 보아야 비로소 알 수 있으니, 성립誠立에만 그쳐 명통明通하지 못하고 명통明通에만 그쳐 본래 성립誠立이 없는 것이 아니다. 다만 사이에 성립誠立명통明通고하高下정조精粗가 없지 못할 뿐이다.”은 ‘삼십三十에 섰다.’注+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나는 15세에 학문에 뜻하였고 30세에 섰다.” 하였다.과 같으며 은 혹하지 않고 천명天命을 알아 이순耳順으로 향하는 것이다.”
○ 혹자가 “맹자孟子주자周子의 말씀이 과연 차이가 있습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맹자孟子의 이른바 이목구비耳目口鼻사지四肢의 욕망이니, 사람이 없을 수 없는 것이나 많이 하고 절제함이 없으면 마음의 해가 되며, 주자周子는 마음이 욕심으로 흘러간 것을 가리켰으니 이것은 있어서는 안 된다.
가리킨 것이 천심淺深의 차이가 있으나 맹자孟子의 ‘욕망을 적게 함’을 말미암으면 주자周子의 ‘욕심이 없음’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通則不惑知命而鄕乎耳順矣 : 앞의 三十而立을 이어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을 차례로 인용한 것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