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1 人多思慮하야 不能自寧 只是做他心主不定이라
要作得心主定인댄 惟是止於事 爲人君止於仁之類
如舜之誅四凶 四凶已作惡이어늘 舜從而誅之하시니 舜何與焉注+退溪曰 如姸媸自形於鏡而鏡不爲姸媸所動이요 但隨其形而應之而已 如舜之誅四凶하고 擧十六相 亦如此하니 乃物各付物也 故孔子曰 老者安之하고 朋友信之하고 少者懷之라하시니라이리오
止者 事物當然之則注+按 以止於仁言之하면 則仁乃事物當然之則이니 不可以止字 爲當然之則이라 然則至善 不爲事物當然之則이요 而止於之止 爲當然之則耶이니 如大學爲人君止於仁之類
人之應事 能止所當止 則亦無思慮紛擾之患矣리니 舜誅四凶 惡在四凶이라 自應竄殛이니 舜何預哉시리오
27-2 人不止於事 只是攬他事하야 不能使物各付物이니 이면 則是役物이요 爲物所役이면 則是役於物이라
有物必有則注+詩大雅烝民篇之語 ○ 孟子告子篇 詩曰 天生烝民하시니 有物有則이로다 民之秉夷(彛) 好是懿德이라하니 孔子曰 爲此詩者 其知道乎云云이라이니 須是止於事니라
〈以上幷伊川語〉
應事而不止其所當止 以一己私智注+按 似非本文意 攬他事而不能物各付物者也
所謂物各付物者 物來而應하야 不過其則하고 物往而化하야 不滯其迹이니 是則役物而不爲物所役이니라


27-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사람들이 사려思慮가 많아서 스스로 편안하지 못한 것은 다만 이 마음의 주장(主宰)이 정해지지 못해서이다.
마음의 주장이 정해지기를 바란다면 오직 사물에 그쳐야 하니, 임금이 되어서는 에 그치는 따위이다.
예컨대 임금이 사흉四凶을 주벌할 적에 사흉四凶이 이미 악행惡行을 하였으므로 임금이 따라서 주벌하신 것이니, 임금이 어찌 관여하였겠는가.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사람의 예쁘고 추악함이 스스로 거울에 나타나, 거울이 예쁘고 추악함에 동요당하지 않고 다만 그 형체를 따라 응하는 것과 같을 뿐이다. 예컨대 임금이 사흉四凶을 처벌하고 십육상十六相을 천거한 것도 이와 같으니, 이것이 바로 사물을 각기 사물에 맡겨두는 것〔物各付物〕이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늙은 자를 편안히 해주고 붕우朋友를 믿게 하고 젊은 자를 품어준다.’고 하신 것이다.”
(그쳐야 할 곳)는 사물事物의 당연한 법칙法則이니,注+살펴보건대 지어인止於仁으로 말하면 이 바로 사물의 당연한 법칙이니 지자止字를 당연한 법칙이라고 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註의 해석과 같다면) 지선至善이 사물의 당연한 법칙이 되지 않고 지어지선止於至善가 당연한 법칙이 된단 말인가. 예컨대 《대학大學》에 “임금이 되어서는 에 그친다.”는 따위와 같은 것이다.
사람이 사물에 응할 적에 마땅히 그쳐야 할 곳에 그치면 또한 사려思慮분요紛擾한 병통이 없을 것이니, 임금이 사흉四凶을 주벌할 적에 사흉四凶에게 있으므로 자연 응당 귀양보낸 것이니, 임금의 감정이 어찌 관여하였겠는가.
27-2 사람들이 사물에 그치지 못하는 것은 다만 사람들이 저 사물을 잡고 있어 사물을 각기 사물에 맡겨두지 못해서이니, 사물을 각기 사물에 맡겨두면 이는 사물을 사역하는 것이요, 사물에게 부려지면 사물에게 사역당하는 것이다.
사물이 있으면 반드시 법칙이 있으니,注+유물필유칙有物必有則은 《시경詩經》〈대아大雅 증민편烝民篇〉의 말이다.
○ 《맹자孟子》〈告子篇〉에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하늘이 여러 백성을 내시니 사물이 있으면 법칙法則이 있네. 백성들이 떳떳한 성품을 간직하고 있어 이 아름다운 을 좋아한다.’ 하였는데,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 를 지은 자는 그 를 알 것이다.’ 라고 했다.” 하였다.
모름지기 사물에 그쳐야 한다.”
〈이상은 모두 이천선생伊川先生의 말씀이다.〉
사물에 응하되 마땅히 그쳐야 할 곳에 그치지 못하면 이는 자신의 사사로운 지혜注+살펴보건대 일기사지一己私智본문本文의 뜻이 아닌 듯하다.로써 저 사물을 잡고 있어 사물을 각기 사물에 맡겨두지 못하는 것이다.
이른바 사물을 각기 사물에 맡겨둔다는 것은 사물이 오면 응하여 그 법칙을 넘지 않게 하고 사물이 지나가면 하여 그 자취에 막히지 않는 것이니, 이는 사물을 사역하고 사물에게 사역당하지 않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物各付物 : 사물이 지니고 있는 原則대로 그 사물에 대처함을 이르는 바, 나쁜 사람에게는 그대로 벌을 주고 좋은 사람에게는 그대로 상을 주며, 가난하면 가난한 대로 살아가고 부유하면 부유한 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