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7. 義訓宜, 禮訓別, 智訓知어니와 仁當何訓
說者 謂訓覺訓人이라하니 皆非也
當合孔孟言仁處하야 大槪硏窮之 二三歲 得之라도 未晩也注+欄外書曰 仁者人也 義者宜也 中庸孟子 並言之하고 禮者履也 智者知也 亦古書往往見之하니 凡訓詁 不過姑借其近似者釋之 況於一字同音者 豈能盡其意乎 程子固不欲學者拘牽字義 故但曰 二三歲得之라도 未晩也라하시니 其意可見矣니라니라
訓者 以其字義難明故 又假一字하야 以訓解之
義者 天理之當然이니 所以裁制乎事物之宜 故訓宜 禮者 天理之節文이니 所以別親疎上下之分이라 故訓別이요 智者 天理之明睿注+按 洪範 思曰睿라한대 睿者 通乎微也라하니 睿當屬思 訓智 恐不穩이로다 所以知事物之是非 故訓知 仁道至大하야 包乎三者 故爲難訓이니
說者謂訓覺者 言不爲物欲所蔽하야 痒痾疾痛 觸之卽覺이니
夫仁者固無所不覺이나 然覺不足以盡仁之蘊也
訓人者 言天地生人 均氣同理하니 以人體之 則惻怛慈愛之意 自然無所間斷이니
夫仁者固以人爲體 然不可以訓仁也니라
○ 朱子曰
是愛之體 自是智之用이니 仁統四德이라 故仁則無不覺이나 然便以覺爲仁이면 則不可니라
或謂 仁 只是人心之生理 以生字訓之 何如닛고 朱子曰
不必須用一字訓이라
但要識得大意 通透耳니라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마땅함)라고 하고 는 분별이라고 훈하고 는 아는 것이라고 훈할 수 있으나 은 마땅히 무엇이라고 훈해야하는가?
해설하는 자들이 (깨달음)으로 훈하고 으로 훈해야 한다고 하는데, 모두 잘못이다.
마땅히 공자孔子맹자孟子을 말씀한 곳을 합하여 대개大槪를 연구하여야 하니, 2, 3년이 지난 뒤에 터득하더라도 늦지 않을 것이다.”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은 사람이고 는 마땅함이라는 것을 《중용中庸》과 《맹자孟子》에서 모두 말하였고, 는 이행함이고 는 아는 것이라는 것도 옛책에 왕왕 보이니, 모든 훈고訓詁는 우선 근사近似한 것을 빌어 해석함에 불과하다. 더구나 이 같은 한 글자에서 어찌 그 뜻을 다할 수 있겠는가. 정자程子는 진실로 배우는 자들이 글자의 뜻에 구애받지 않게 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다만 말씀하기를 ‘2, 3년이 지난 뒤에 알더라도 늦지 않다.’고 한 것이니 그 뜻을 볼 수 있다.”
은 글자의 뜻을 밝히기 어려우므로 또 한 글자를 빌어서 해석하는 것이다.
천리天理에 당연함이니 사물의 마땅함을 재제裁制하는 것이므로 하고, 천리天理절문節文이니 친소親疎상하上下의 구분을 통달하는 것이므로 이라 하고, 천리天理의 밝은 지혜이니注+살펴보건대 〈홍범洪範〉에 “생각함을 라 한다.” 하였는데, 에 “는 은미함을 통하는 것이다.” 하였으니, 는 마땅히 에 속하여야 한다. 라고 한 것은 온당치 못할 듯하다. 사물의 옳고 그름을 아는 것이므로 하고, 는 지극히 커서 세 가지를 포괄하므로 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해설하는 자들이 이라고 하는 것은 물욕物慾에 가리워지지 않아서 옴이 올라 가렵고 병이 들어 아픔에 닿으면 즉시 깨달음을 말한 것이다.
인자仁者는 진실로 깨닫지 않는 바가 없으나 깨달음으로는 에 내포된 많은 뜻을 다 표현할 수가 없다.
으로 하는 자는 천지天地가 사람을 낳을 적에 똑같은 기운과 이치를 부여하였으니, 사람을 로 삼으면 측달惻怛하고 자애慈愛하는 뜻이 자연 간단間斷하는 바가 없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
인자仁者는 진실로 사람을 로 삼으나 이것을 가지고 할 수는 없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은 사랑의 이고 은 본래 이니, 사덕四德(仁‧)을 통합하므로 하면 깨닫지 않음이 없으나 곧 이라고 한다면 불가하다.”
혹자가 말하기를 “은 다만 인심人心생리生理(낳는 이치)이니, 생자生字로 훈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하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굳이 한 글자를 가지고 훈할 필요가 없다.
다만 대의大意를 알기를 통투通透하게 할 뿐이다.”


동영상 재생
1 37. 의훈의, 예훈별…(1) 535
동영상 재생
2 37. 의훈의, 예훈별…(2) 421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