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3)

근사록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 曾子 傳聖人學이라
其德 後來不可測이니 安知其不至聖人이리오
如言吾得正而斃라하시니 且休理會文字하고 只看他氣象極好 被他所見處大
後人 雖有好言語 只被氣象卑하야 終不類道니라
曾子悟一貫之旨注+論語里仁篇 子曰 參乎 吾道 一以貫之니라 曾子曰 唯라하니라하야 已傳聖人之學矣 至其 吾何求哉리오
吾得正而斃焉이면 斯可矣라하시니 自非樂善不倦하야 安行天理하고 一息尙存이라도 必歸于正이면 夫豈一時之所能勉强哉리오
○ 遺書 又曰 曾子疾病 只要以正하고 不慮死하시니 與武王殺一不辜, 行一不義 得天下不爲 同心이니라


3.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말씀하였다.〉
증자曾子성인聖人학문學問을 전하셨다.
을 뒤에 측량할 수 없었으니, 성인聖人의 경지에 이르지 않았음을 어찌 알겠는가.
예컨대 ‘내 바름을 얻고 죽는다.’고 말씀하셨으니, 우선 문자文字를 이해하려 하지 말고 다만 그 기상氣象이 지극히 좋은 것을 보아야 하니, 이는 그 보신 것이 크기 때문이다.
후세사람들은 비록 좋은 언어言語가 있으나 다만 기상氣象이 낮아서 끝내 가 있는 자와 유사類似하지 못한 것이다.”
증자曾子일관一貫의 뜻을 깨달아注+논어論語》〈이인편里仁篇〉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증삼曾參아! 우리의 는 한 이치가 만사萬事를 꿰었다.” 하시니, 증자曾子는 “예 그렇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이미 성인聖人학문學問을 전하였고, 역책易簀할 때의 말씀에 ‘내 무엇을 구하겠는가.
내 바름을 얻고 죽으면 하다.’ 하시고 말씀하였으니, 만일 을 좋아하여 게을리 하지 않아서 천리天理를 편안히 행하고 한 숨이 아직 붙어 있더라도 반드시 바름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자가 아니라면 어찌 한때 억지로 힘써서 될 수 있겠는가.
○ 《유서遺書》에 또 이르기를 “증자曾子가 병환이 계실 적에 다만 바르게 하려고 하셨고 죽는 것을 염려하지 않으셨으니, 무왕武王의 ‘한 명의 무고無辜(無罪)한 사람을 죽이고 한 가지 불의不義의 일을 행하면 천하天下를 얻을 수 있더라도 행하지 않겠다.’는 것과 똑같은 마음이시다.” 하였다.


역주
역주1 易簀之言 : 簀은 깔자리로 易簀은 깔자리를 바꿈을 이른다. 曾子가 병환이 위독하실 적에 大夫가 사용하는 화려한 깔자리를 깔아드렸는데, 曾子는 이것을 아시고 “내 무엇을 구하겠는가. 내 바름을 얻고 죽으면 可하다.” 하시고 기어이 깔자리를 바꾸게 하셨는데, 그런 뒤에 別世하셨다. 이 내용은 《禮記》〈檀弓 上〉에 보이는 바, 후세에는 스승의 죽음을 易簀이라 하기도 한다.

근사록집해(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