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4-1 今且只將尊德性而道問學注+中庸本註曰 尊者 恭敬奉持之意 德性者 吾所受於天之正理라하니라爲心하야 日自求호되 於問學者 有所背否 於德性 有所懈否아하라
此義亦是博文約禮, 下學上達이니 以此警策一年이면 安得不長注+中庸曰 君子 尊德性而道問學이라하니라 ○ 論語子罕篇曰 博我以文이요 約我以禮라하고 同憲問篇曰 不怨天하며 不尤人이요 下學而上達이라하니라이리오
尊者 崇尙敬持之意 由也
由學問而惟恐背違하고 崇德性而惟恐懈怠하야 日以此自省하야 積之歲月이면 則內外兼進矣리라
尊德性 則是約禮上達之事 道問學 則是博文下學之事注+按 葉氏 以尊德性爲上達하고 道問學爲下學이라 然尊德性中에도 亦有下學上達하니 操存 是下學이요 極高明 是上達이라 道問學亦然하니 博學 雖是下學이나 盡精微而道中庸 亦是下學乎니라
94-2 每日 須求多少爲益이니 知所亡(無)하며 改得少不善注+欄外書曰 益字宜句絶이라 多少爲益 指下文言이요 知所亡 論語子夏語 知字重看이라 亡者 謂本體雖具 而未察識者注+論語註 無也 謂己之所未有 按 退溪答栗谷曰 須求多少爲益知所亡하며 改得少不善 此段文義果似未瑩이라 然其大義 只如葉註之說이라 註中 不知二字 貼所亡字하니 乃論語日知其所亡之意也 但其文嶢崎하야 令人難讀耳 改得少不善 謂有少不善이어든 輒改之也 非欠一多字라하니라 栗谷 釋求字 在善字下하야 與退溪釋으로 不同하니라 此德性上之益이며
學者日省其身호되 所以曾(增)益其不知者何如 所以改治其不善注+按 多少爲益之益 卽德性上益이요 問學上益之益 統言兩益字也 知所亡者 日知其所未知也 此非德性上事 乃學問上事也 必日知所亡하야 而改得少不善 乃屬德性上事矣 緣葉氏以增益其不知 改治其不善으로 分作兩脚說이라 故誤看此段文義者多하니 不可不辨이라 且葉氏增益其不知 文字有病하니 益字下 有知字라야 乃通이니라者何如오하야 以是存心이면 則德日新矣리라
[張伯行 註] 自此以下 示其求益工夫
言每日 旣以違背懈怠自警策하고 又須於德性問學上 實得求益工夫라야 方爲有用이라
如吾心中 有所未知어든 涵泳久而心體自瑩徹하야 便知其所亡하고 吾心中 未能滿其本然之善이어든 卽是不善이니 磨礪深而不善亦漸少
是謂改得少不善이니 此乃德性上之益而每日所當知者也
94-3 讀書 求義理하고 編書 須理會有所歸著이요 勿徒寫過하며 又多識前言往行 此問學上益也
讀書者 必窮其義理하고 不徒事章句訓詁之末하며 編書者 必求其旨歸하고 不徒務博洽紀錄之功하며 多識前哲之言行하야 以廣所知하면 則學日進矣리라
[張伯行 註] 聖賢之書 皆義理所寓 不徒文辭而已
讀聖賢書 必講求其義理하야 了然心目이요 不僅佔畢字句之習이라
古人之書 有關於日用倫常者 吾欲採錄而編輯之 則必理會其綱領條目 先後次序하야 使有所歸著이요 勿雜亂湊集하고 汎然寫過하야 以資博洽而已
又必多識前人之嘉言以廣其識하고 前人之善行以昭其鑑이니 此乃問學上之益而每日之所當知者也니라
94-4 勿使有俄頃閑度(渡)하야 逐日似此하면 三年 庶幾有進이리라
君子之學 一有間斷이면 則此心外馳하야 德性日하고 問學日廢矣리라


94-1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이제 우선 존덕성尊德性도문학道問學注+중용中庸》의 본주本註에 “은 공경하여 받들어 지킨다는 뜻이요, 덕성德性은 내가 하늘에서 받은 정리正理이다.” 하였다.만을 가지고 마음을 삼아 날마다 스스로 찾되 문학問學에 위배되는 바가 있는가, 덕성德性에 게으른 바가 있는가 하라.
이 뜻이 또한 박문博文약례約禮하학下學상달上達이니, 이것으로 일년동안 경계하고 채찍질한다면 학문學問이 어찌 진전되지 않겠는가.注+중용中庸》에 “군자는 덕성德性을 높이면서 문학問學으로 말미암는다.” 하였다.
○ 《논어論語》〈子罕篇〉에 “나를 으로써 넓히시고 나를 로써 묶어 주셨다.” 하였으며, 같은 책 〈헌문편憲問篇〉에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고 아래로 사람의 일을 배워 위로 천리天理를 통달한다.” 하였다.
은 높이고 공경히 잡는 뜻이요 는 말미암음이다.
학문學問으로 말미암되 행여 위배될까 두려워하고 덕성德性을 높이되 행여 게으를까 두려워하여, 날마다 이것으로써 스스로 살펴서 세월歲月이 쌓이면 내외內外가 겸하여 진전될 것이다.
존덕성尊德性약례約禮상달上達의 일이요, 도문학道問學박문博文하학下學의 일이다. 注+살펴보건대 섭씨葉氏존덕성尊德性상달上達로, 도문학道問學하학下學으로 삼았다. 그러나 존덕성尊德性 가운데에도 또한 하학下學상달上達이 있으니, 조존操存은 바로 하학下學이고 극고명極高明은 바로 상달上達이다. 도문학道問學 또한 그러하니, 박학博學이 비록 하학下學이나 정미함을 극진히 하고 중용中庸을 말미암는 것도 하학下學이라 할 수 있겠는가.
매일 모름지기 다소多少의 유익함을 구하여야 하니, 없는 바(알지 못하는 것)를 알며 조그마한 불선不善이라도 고치는 것 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익자益字에서 마땅히 를 떼어야 한다. 다소위익多少爲益은 아랫글을 가리켜 말한 것이요, 지소망知所亡는 《논어論語》에 있는 자하子夏의 말이니 지자知字를 중요하게 보아야 한다. 라는 것은 본체에 비록 갖추어져 있으나 살펴 알지 못함을 이른다.” 注+논어論語》의 에 “는 없음이니, 자기가 아직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이른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퇴계退溪율곡栗谷에게 답한 글에 “‘수구다소위익須求多少爲益 지소망知所亡 개득소불선改得少不善’은 이 단락의 글뜻이 과연 분명치 못한 듯하다. 그러나 그 대의大義는 다만 섭씨葉氏 의 내용과 같을 뿐이다. 가운데에 ‘부지不知’ 두 글자는 소망所亡라는 글자에 해당되니, 바로 《논어論語》에 ‘일지기소망日知其所亡’의 뜻이다. 다만 문장文章이 까다로워 사람으로 하여금 읽기가 어렵게 할 뿐이다. ‘개득소불선改得少不善’은 ‘작은 불선不善이라도 있으면 곧 고침’을 이른 것이니, 한 다자多字가 빠져 있는 것이 아니다.” 하였다. 율곡栗谷구자求字선자善字의 아래에 해석하여 퇴계退溪의 해석과 다르다.이것은 덕성상德性上의 유익함이며
배우는 자가 날마다 자기 몸을 살피되 알지 못하는 것을 더 앎이 어떠하며 불선不善을 고치고 다스림이注+살펴보건대 다소위익多少爲益은 바로 덕성상德性上의 유익함이요, 문학상問學上 유익함의 은 두 익자益字를 통합하여 말씀한 것이다. ‘지소망知所亡’는 날마다 그 알지 못했던 것을 아는 것이니, 이는 덕성상德性上의 일이 아니고 바로 학문상學問上의 일이며, 반드시 날마다 없는 바를 알고 작은 불선不善이라도 고치는 것이 바로 덕성상德性上의 일에 속한다. 그런데 섭씨葉氏가 ‘증익기부지增益其不知’와 ‘개치기불선改治其不善’을 두 갈래로 나누어 해석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 단락의 뜻을 잘못 풀이하는 자가 많으니, 분변하지 않을 수 없다. 또 섭씨葉氏의 ‘증익기부지增益其不知’는 문자文字에 병통이 있으니, 익자益字 아래에 지자知字가 있어야 뜻이 비로소 통한다. 어떠한가 살펴서 이것을 마음속에 둔다면 이 날로 새로워질 것이다.
[張伯行 註] 이 이하는 유익함을 구하는 공부를 보인 것이다.
매일 도리道理에 위배되는가 게으른가를 이미 스스로 경계하고, 또 모름지기 존덕성尊德性도문학道問學 상에서 실제로 유익함을 구하는 공부를 얻어야 비로소 유용하다.
만일 내마음 속에 알지 못하는 바가 있으면, 오랫동안 함영涵泳하면 마음의 가 저절로 밝아져서 곧 알지 못하던 바를 알게 될 것이요, 내마음 속에 본연本然을 충만하게 하지 못하였으면 곧 이것이 불선不善이니, 갈고 닦기를 깊이 하면 불선不善함이 또한 점점 적어진다.
이것을 일러 적은 불선不善도 고친다고 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존덕성尊德性 상의 유익함으로서 매일 마땅히 알아야 할 것들이다.
책을 읽을 적에 의리義理를 찾고, 책을 엮을 적에 모름지기 귀착歸着할 곳이 있음을 이해理解하고 한갓 써 내려가지 말며, 또 선철先哲들의 훌륭한 말씀과 행실을 많이 아는 것 이것은 문학상問學上에 유익함이니,
책을 읽는 자는 반드시 그 의리義理를 연구하고 한갓 장구章句훈고訓詁의 지엽적인 것을 일삼지 말며, 책을 엮는 자는 반드시 그 뜻의 귀결되는 바를 찾고 한갓 박흡博洽(박학)과 기록紀錄(기억)하는 공부功夫를 힘쓰지 말며, 선철先哲들의 훌륭한 말씀과 행실을 많이 알아서 아는 바를 넓힌다면 학문學問이 날로 진전될 것이다.
[張伯行 註]성현聖賢의 책은 모두 의리義理가 담겨져 있으니, 한갓 문장일 뿐만이 아니다.
성현聖賢의 책을 읽을 때에 반드시 그 의리義理강구講求하여 마음과 눈에 분명하게 해야 하고, 단지 자구字句를 읽어 익힐 뿐만이 아니다.
옛사람의 책 중에 일상생활하는 윤리倫理에 관계되는 것을 자신이 채록採錄하여 편집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그 강령綱領조목條目, 선후先後의 차례를 이해하여 귀착歸着하는 곳이 있게 할 것이요, 잡란雜亂하게 모으고 범연汎然히 기록해서 문견을 넓히고 지식을 흡족히 하는 데에 이용할 뿐이서는 안 된다.
또 반드시 옛사람의 훌륭한 말씀을 많이 기억하여 지식을 넓히고, 옛사람의 훌륭한 행실을 많이 알아 밝게 비추어 살필 것이니, 이것이 바로 도문학道問學 상의 유익함으로 매일 마땅히 알아야 할 것들이다.
잠시동안이라도 한가히 보내지 말아, 날마다 이와 같이 하면 3년이면 거의 진전됨이 있을 것이다.”
군자君子학문學問이 조금이라도 간단間斷함이 있으면 이 마음이 밖으로 달려서 덕성德性이 날로 무너지고 문학問學이 날로 폐해질 것이다.


역주
역주1 : 휴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