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1 伊川先生 答朱長文書曰
聖賢之言 不得已也
蓋有是言則是理明하고 無是言則天下之理有闕焉하니 如彼陶冶之器 一不制 則生人之道有不足矣
聖賢之言 雖欲已 得乎
然其包涵 盡天下之理호되 亦甚約也니라
耒之首爲耜 耜之柄爲耒 範土曰陶 鑄金曰冶
聖人之言 本非得已也
蓋將發明天理하야 以覺斯民하시니 猶民生日用之具하야 不可闕也
然其言寡而理無不該하고 亦不以多言爲貴也니라
5-2 後之人 始執卷이면 則以文章爲先하야 平生所爲 動多於聖人注+沙溪曰 動 動輒之意하나 然有之無所補 無之靡所闕하니 乃無用之贅言也
不止贅而已 旣不得其要 則離眞失正하야 反害於道 必矣니라
後人 徒志於爲文而不足以明理하니 則非徒無益而已
蓋不得其本이면 未免流於邪僞 反害於道矣니라
5-3 來書所謂 欲使後人으로 見其不忘乎善 此乃世人之私心也
夫子疾沒世而名不稱焉者 疾沒身無善可稱云爾 非謂疾無名也
名者 可以厲中人이니 君子所存 非所汲汲이니라注+朱長文書中云 欲使後人으로 見其不忘乎善이라하니라 ○ 論語衛靈公篇曰 君子 疾沒世而名不稱焉이라하니라
君子學以爲己 苟求人知 則是私心而已니라


5-1 이천선생伊川先生주장문朱長文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성현聖賢의 말씀은 부득이해서 하신 것이다.
이 말씀이 있으면 이 이치가 밝아지고 이 말씀이 없으면 천하天下의 이치가 빠진 부분이 있게 되니, 마치 저 뇌사耒耜(쟁기의 자루와 보습)와 도야陶冶의 기구를 한 번 만들지 않으면 생민生民가 부족함이 있는 것과 같다.
그러하니 성현聖賢께서 말씀을 비록 그만두려고 하시나 될 수 있겠는가.
그러나 포함하는 것이 천하天下의 이치를 다하면서도 또한 심히 요약되었다.
의 머리를 보습이라 하고 보습의 자루를 라 하며 흙으로 빚는 것을 라 하고 쇠를 주조하는 것을 라 한다.
성인聖人의 말씀은 본래 그만둘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장차 천리天理를 발명하여 이 백성들을 깨우치려 하셨으니, 민생民生이 날로 쓰는 기구와 같아서 빠뜨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말씀이 적으면서도 이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 없고, 또한 말을 많이 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5-2 후세後世 사람들은 처음 책을 잡으면 문장文章을 우선으로 여겨서 평생에 하는 바가 번번이 성인聖人보다 많으나 注+사계沙溪가 말씀하였다. “동첩動輒(언제나)의 뜻이다.”있어도 도움되는 바가 없고 없어도 부족한 바가 없으니, 바로 쓸데없는 군더더기의 말이다.
군더더기의 말일 뿐만 아니라 이미 요점을 얻지 못하였으면 진리眞理이반離叛하고 정도正道를 잃어서 도리어 를 해칠 것이 틀림없다.
후세 사람들은 한갓 문장文章을 짓는 데에 뜻을 두어 이치를 밝히지 못하니, 그렇다면 한갓 무익無益할 뿐만이 아니다.
그 근본을 얻지 못하면 간사함과 거짓에 빠짐을 면하지 못하니, 도리어 를 해치게 된다.
5-3 보내온 편지에 이른바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선행善行을 잊지 않음을 보여주고자 한다’는 것은 바로 후세 사람들의 사사로운 마음이다.
부자夫子(孔子)께서 종신토록 이름(명예)이 일컬어지지 않음을 싫어하셨던 것은 종신토록 칭찬할 만한 선행善行이 없음을 미워하셨을 뿐이요, 이름이 없음을 싫어하신 것이 아니다.
이름은 중인中人을 힘쓰게 할 수 있는 것이니, 군자君子가 마음에 두는 바는 급급해 하는 것이 아니다.”注+주장문朱長文의 편지 가운데에 이르기를 “후인後人들로 하여금 선행善行을 잊지 않아야 함을 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하였다.
○ 《논어論語》〈衛靈公篇〉에 이르기를 “군자君子는 종신토록 이름이 일컬어지지(알려지지) 않음을 싫어한다.” 하였다.
군자君子는 배워서 자신을 위하니, 만일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다면 이는 사심私心일 뿐이다.


역주
역주1 耒耜 : 뇌사
동영상 재생
1 5. 이천선생이 답주…(1) 540
동영상 재생
2 5. 이천선생이 답주…(2) 256
동영상 재생
3 5. 이천선생이 답주…(3) 530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