秦王
이 聞孟嘗君之賢
하고 使涇陽君
注+[頭註]名悝니 秦王同母弟라으로 爲質於齊
하고 以請
하니 孟嘗君
이 來入秦
이라 
                        		
                        		
                        		
	                     		
			                       	
			                       	
	                     		
	                     		
		                        
                        	
                        	
                        	
                        	
                        		
                        			
                        			
			                        
			                        	秦王이 以爲丞相한대 或謂秦王曰 孟嘗君이 相秦이면 必先齊而後秦하리니 秦其危哉리이다
			                         
                        		
                        		
                        		
	                     		
			                       	
			                       	
	                     		
	                     		
		                        
                        	
                        	
                        	
                        	
                        		
                        			
                        			
			                        
			                        	秦王이 乃以樓緩爲相하고 囚孟嘗君하야 欲殺之하다
			                         
                        		
                        		
                        		
	                     		
			                       	
			                       	
	                     		
	                     		
		                        
                        	
                        	
                        	
                        	
                        		
                        			
                        			
			                        
			                        	孟嘗君
이 使人
으로 求解於秦王幸姬
한대 姬曰 願得君狐白裘
注+[釋義]以狐之白毛爲裘라 謂集狐腋之毛니 言美而難得者라 說者謂此天子諸侯燕居之盛服이라하노라 
                        		
                        		
                        		
	                     		
			                       	
			                       	
	                     		
	                     		
		                        
                        	
                        	
                        	
                        	
                        		
                        			
                        			
			                        
			                        	孟嘗君이 有狐白裘러니 已獻之秦王하야 無以應姬求라
			                         
                        		
                        		
                        		
	                     		
			                       	
			                       	
	                     		
	                     		
		                        
                        	
                        	
                        	
                        	
                        		
                        			
                        			
			                        
			                        	客에 有善爲狗盜者하야 入秦藏中하야 盜狐白裘하야 以獻姬한대 姬乃爲之言於王而遣之러니 王이 後悔하야 使追之하다
			                         
                        		
                        		
                        		
	                     		
			                       	
			                       	
	                     		
	                     		
		                        
                        	
                        	
                        	
                        	
                        		
                        			
                        			
			                        
			                        	孟嘗君이 至關하니 關法에 鷄鳴이라야 而出客이라
			                         
                        		
                        		
                        		
	                     		
			                       	
			                       	
	                     		
	                     		
		                        
                        	
                        	
                        	
                        	
                        		
                        			
                        			
			                        
			                        	時尙早하고 追者將至러니 客에 有善爲鷄鳴者하야 野鷄聞之하고 皆鳴이어늘 孟嘗君이 乃得脫歸하다
			                         
                        		
                        		
                        		
	                     		
			                       	
			                       	
	                     		
	                     		
		                        
                        	
                        	
                        	
                        	
                        		
                        			
                        			
			                        
                        		
                        		
                        		
	                     		
			                       	
			                       	
	                     		
	                     		
		                        
                        	
                        	
                        	
                        	
                        		
                        			
                        			
			                        
			                        	世皆稱孟嘗君이 能得士라 士以故歸之하여 而卒賴其力하여 以脫於虎豹之秦이라하니 嗟乎라
			                         
                        		
                        		
                        		
	                     		
			                       	
			                       	
	                     		
	                     		
		                        
                        	
                        	
                        	
                        	
                        		
                        			
                        			
			                        
                        		
                        		
                        		
	                     		
			                       	
			                       	
	                     		
	                     		
		                        
                        	
                        	
                        	
                        	
                        		
                        			
                        			
			                        
                        		
                        		
                        		
	                     		
			                       	
			                       	
	                     		
	                     		
		                        
                        	
                        	
                        	
                        	
                        		
                        			
                        			
			                        
			                        	不然이면 擅齊之强하여 得一士焉이라도 宜可以南面而制秦이어니 尙取鷄鳴狗吠之力哉아
			                         
                        		
                        		
                        		
	                     		
			                       	
			                       	
	                     		
	                     		
		                        
                        	
                        	
                        	
                        	
                        		
                        			
                        			
			                        
                        		
                        		
                        		
	                     		
			                       	
			                       	
	                     		
	                     		
		                        
                        	
                        	
                        	
                        	
                        		
                        			
                        			
			                        
			                        	○ 趙王이 封其弟勝하야 爲平原君하니 平原君이 好士하야 食客이 常數千人이러라
			                         
                        		
                        		
                        		
	                     		
			                       	
			                       	
	                     		
	                     		
		                        
                        	
                        	
                        	
                        	
                   			
                        	
                        	
                        	
                        	
	                       	
	                       	
	                       	
	                       	
							                       	
	                        
	                        
	                        	
	                        
	                        	
	                        
	                        	
	                        
	                        	
	                        
	                        	
	                        
	                        	
	                        
	                        	
	                        
	                        	
	                        
	                        	
	                        
	                        	
	                        
	                        	
	                        
	                        	
	                        
	                        	
	                        
	                        	
	                        
	                        	
	                        
	                        	
	                        
	                        	
	                        
	                        	
	                        
	                        	
	                        
	                        	
	                        
	                        	
	                        
	                        	
	                        
	                        	
	                        
	                        	
	                        
	                        	
	                        
	                        	
	                        
	                        	
	                        
	                        	
	                        
	                        	
	                        
	                        	
	                        
	                        	
	                        
	                        	
	                        
	                        
	                        
                        	
		                        
		                        
		                        
		                        
                        		
                        	
		                        
		                        
		                        
		                        	
		                        	
		                        
		                        
                        		
                        		
                        			
			                             
                        			
                        		
                        		
	                     		
			                       	
			                       	
	                     		
		                        
                        	
		                        
		                        
		                        
		                        
                        		
                        	
		                        
		                        
		                        
		                        	
		                        	
		                        
		                        
                        		
                        		
                        			
			                        
			                        	진왕秦王은 
맹상군孟嘗君이 어질다는 말을 듣고 
경양군涇陽君注+[頭註]경양군涇陽君은 이름이 회悝이니, 진왕秦王의 동모제同母弟이다. 으로 하여금 
제齊나라에 인질이 되게 하고 
맹상군孟嘗君을 청하니, 
맹상군孟嘗君이 
진秦나라로 들어갔다. 
 
			                              
                        			
                        		
                        		
	                     		
			                       	
			                       	
	                     		
		                        
                        	
		                        
		                        
		                        
		                        
                        		
                        	
		                        
		                        
		                        
		                        	
		                        	
		                        
		                        
                        		
                        		
                        			
			                        
			                        	진왕秦王이 맹상군孟嘗君을 승상丞相으로 삼자, 혹자가 진왕秦王에게 이르기를 “맹상군孟嘗君이 진秦나라의 정승이 되면 반드시 제齊나라를 먼저 하고 진秦나라를 뒤로 할 것이니, 진秦나라가 위태로울 것입니다.” 하였다. 
			                              
                        			
                        		
                        		
	                     		
			                       	
			                       	
	                     		
		                        
                        	
		                        
		                        
		                        
		                        
                        		
                        	
		                        
		                        
		                        
		                        	
		                        	
		                        
		                        
                        		
                        		
                        			
			                        
			                        	진왕秦王이 마침내 누완樓緩을 정승으로 삼고 맹상군孟嘗君을 가두어 죽이려 하였다.
			                              
                        			
                        		
                        		
	                     		
			                       	
			                       	
	                     		
		                        
                        	
		                        
		                        
		                        
		                        
                        		
                        	
		                        
		                        
		                        
		                        	
		                        	
		                        
		                        
                        		
                        		
                        			
			                        
			                        	맹상군孟嘗君이 사람을 시켜 
진왕秦王의 
행희幸姬(총애하는 애첩)에게 풀어줄 것을 요구하니, “
군君의 
호백구狐白裘注+[釋義]호백구狐白裘는 여우의 흰 털로 갖옷을 만든 것이다. 여우의 겨드랑이에 있는 흰 털을 모은 것을 이르는 바, 아름다워 얻기가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해설하는 자가 이르기를 “이것은 천자와 제후가 편안히 거처할 때에 입는 성대한 복장이다.” 하였다. 를 얻기를 원한다.” 하였다. 
 
			                              
                        			
                        		
                        		
	                     		
			                       	
			                       	
	                     		
		                        
                        	
		                        
		                        
		                        
		                        
                        		
                        	
		                        
		                        
		                        
		                        	
		                        	
		                        
		                        
                        		
                        		
                        			
			                        
			                        	맹상군孟嘗君이 호백구狐白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미 진왕秦王에게 바쳐 행희幸姬의 요구에 응할 수가 없었다.
			                              
                        			
                        		
                        		
	                     		
			                       	
			                       	
	                     		
		                        
                        	
		                        
		                        
		                        
		                        
                        		
                        	
		                        
		                        
		                        
		                        	
		                        	
		                        
		                        
                        		
                        		
                        			
			                        
			                        	따라온 문객門客 중에 개처럼 도둑질을 잘하는 자가 있어서 진秦나라의 창고 안에 들어가 호백구狐白裘를 훔쳐 행희幸姬에게 바치니, 행희幸姬가 마침내 그를 위하여 왕王에게 말하여 보내주었는데, 왕이 후회하여 그를 뒤쫓게 하였다. 
			                              
                        			
                        		
                        		
	                     		
			                       	
			                       	
	                     		
		                        
                        	
		                        
		                        
		                        
		                        
                        		
                        	
		                        
		                        
		                        
		                        	
		                        	
		                        
		                        
                        		
                        		
                        			
			                        
			                        	맹상군孟嘗君이 관문關門에 이르니 관문關門의 법에 닭이 울어야 객을 내보냈다.
			                              
                        			
                        		
                        		
	                     		
			                       	
			                       	
	                     		
		                        
                        	
		                        
		                        
		                        
		                        
                        		
                        	
		                        
		                        
		                        
		                        	
		                        	
		                        
		                        
                        		
                        		
                        			
			                        
			                        	때는 아직 이르고 추격하는 자는 장차 이르게 되었는데, 문객門客 중에 닭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자가 있어서 들의 닭들이 이 소리를 듣고 모두 울었으므로 맹상군孟嘗君이 마침내 탈출하여 돌아올 수 있었다.
			                              
                        			
                        		
                        		
	                     		
			                       	
			                       	
	                     		
		                        
                        	
		                        
		                        
		                        
		                        
                        		
                        	
		                        
		                        
		                        
		                        	
		                        	
		                        
		                        
                        		
                        		
                        			
			                             
                        			
                        		
                        		
	                     		
			                       	
			                       	
	                     		
		                        
                        	
		                        
		                        
		                        
		                        
                        		
                        	
		                        
		                        
		                        
		                        	
		                        	
		                        
		                        
                        		
                        		
                        			
			                        
			                        	“세상에서 모두 칭하기를 ‘맹상군孟嘗君이 선비를 얻었으므로 선비들이 이 때문에 그에게 귀의하여 맹상군孟嘗君이 마침내 그 힘을 의뢰하여 호랑이와 표범과 같은 진秦나라에서 벗어났다’ 하니, 아! 슬프다. 
			                              
                        			
                        		
                        		
	                     		
			                       	
			                       	
	                     		
		                        
                        	
		                        
		                        
		                        
		                        
                        		
                        	
		                        
		                        
		                        
		                        	
		                        	
		                        
		                        
                        		
                        		
                        			
			                        
			                        	맹상군孟嘗君은 다만 닭울음소리와 개 짖는 소리를 흉내 내는 자들의 우두머리일 뿐이다.
			                              
                        			
                        		
                        		
	                     		
			                       	
			                       	
	                     		
		                        
                        	
		                        
		                        
		                        
		                        
                        		
                        	
		                        
		                        
		                        
		                        	
		                        	
		                        
		                        
                        		
                        		
                        			
			                             
                        			
                        		
                        		
	                     		
			                       	
			                       	
	                     		
		                        
                        	
		                        
		                        
		                        
		                        
                        		
                        	
		                        
		                        
		                        
		                        	
		                        	
		                        
		                        
                        		
                        		
                        			
			                        
			                        	그렇지 않다면 제齊나라의 강성함을 독차지해서 한 선비만 얻어도 남면南面하여 진秦나라를 제압할 수 있었을 것이니, 오히려 닭울음소리와 개 짖는 소리를 흉내 내는 자의 힘을 취할 것이 있겠는가?
			                              
                        			
                        		
                        		
	                     		
			                       	
			                       	
	                     		
		                        
                        	
		                        
		                        
		                        
		                        
                        		
                        	
		                        
		                        
		                        
		                        	
		                        	
		                        
		                        
                        		
                        		
                        			
			                        
			                        	닭울음소리와 개 짖는 소리를 흉내 내는 자가 그 문하門下에서 나왔으니, 이것이 훌륭한 선비들이 이르지 않은 이유이다.”
			                              
                        			
                        		
                        		
	                     		
			                       	
			                       	
	                     		
		                        
                        	
		                        
		                        
		                        
		                        
                        		
                        	
		                        
		                        
		                        
		                        	
		                        	
		                        
		                        
                        		
                        		
                        			
			                        
			                        	조왕趙王이 그의 아우 승勝을 봉하여 평원군平原君을 삼으니, 평원군平原君이 선비를 좋아하여 식객食客이 항상 수천 명이었다.
			                              
                        			
                        		
                        		
	                     		
			                       	
			                       	
	                     		
		                        
                        	
                        	
                   			
                   			
                   			
	                        
	                        
	                        
	                        
	                        
	                        
	                        
	                        
	                        
	                        
	                        
	                        	
				                        
			                        		
			                        		
			                        		
			                        		
			                        		
			                                     
	                                           	
			                                    
			                                    	
			                                    
			                                    
			                                    	1
			                                        [계해] 17년
			                                        
													
													438
			                                        
			                                    
			                                 
			                        	
			                        		
			                        		
			                        		
			                        		
			                        		
			                                     
	                                           	
			                                    
			                                    	
			                                    
			                                    
			                                    	2
			                                        [계해] 17년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