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6)

통감절요(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庚午] 〈梁太宗大寶元年이요 魏大統十六年이요 東魏武定八年이요 齊顯祖文宣帝高洋天保元年이라
○ 是歲 東魏亡하니 齊代하니라
東魏進太原公高洋位丞相, 齊郡王하고 下詔禪位於齊王注+[頭註] 使侍中張亮으로 逼東魏主以禪하고 封東魏主爲中山王하니라하니 卽皇帝位하다
[史略 史評]史斷曰
東魏之興 實自孝靜이라
于時 國政 盡出高氏하니 雖篤好文學하고 從容沈雅라도 何救敗亡이리오
是可慨也로다
○ 梁湘東王繹 以天子制於賊臣이라하야 不肯從大寶之號하고 猶稱太淸四年하다
丙午 下令하야 大擧討侯景할새 移檄遠近하다
○ 九月 進侯景位相國하고 封二十郡한대 하다
○ 魏丞相泰 始籍民之才力者爲府兵하야 身租, , 調注+[附註]有田則有租하고 有身則有庸하고 有戶則有調하니 凡受田之丁 歲輸粟 謂之租 用人之力호되 歲二十日하고 閏加二日하며 不役者 日出絹三尺 謂之庸이요 每丁隨鄕所出하야 歲輸絹綾絁繭布綿麻호되 非蠶鄕則歲輸銀 謂之調 調 去聲이라 一切하고 以農隙으로 講閱戰陳하고 馬畜粮備 六家供之하야 合爲百府하고 每府 一郞將主之하야 分屬二十四軍注+[頭註]凡十二將軍이니 每將軍 各統二人하고 開府各領一軍이라하니라


경오(550) - 나라 태종太宗대보大寶 원년元年이고, 나라 대통大統 16년이고, 동위東魏 무정武定 8년이고, 나라 현조顯祖 문선제文宣帝 고양高洋천보天保 원년元年이다.
○ 이해에 동위東魏가 망하니, 나라가 대신하였다. -
동위東魏에서 태원공太原公 고양高洋의 지위를 승상丞相제군왕齊郡王으로 승진시키고 조서를 내려 제왕齊王에게 양위讓位하니,注+[頭註]고양高洋시중侍中 장량張亮으로 하여금 동위주東魏主를 핍박하여 양위讓位하게 하고 동위주東魏主를 봉하여 중산왕中山王으로 삼았다. 제왕齊王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史略 사평史評]史斷에 말하였다.
동위東魏가 흥한 것은 실로 효정제孝靜帝(元善見)로부터이다.
이때에 국정國政이 모두 고씨高氏에게서 나왔으니, 효정제孝靜帝가 비록 문학文學을 독실히 좋아하였으며 조용하고 침착하고 고상하였으나 어찌 패망을 구원할 수 있었겠는가.
이것이 개탄할 만한 일이다.”
나라 상동왕湘東王 소역蕭繹천자天子적신賊臣후경侯景에게 제재를 받는다 하여 대보大寶라는 연호를 따르려 하지 않고 그대로 태청太淸 4년이라 칭하였다.
병오일丙午日(4월 27일)에 소역蕭繹이 명령을 내려 크게 군대를 일으켜 후경侯景을 토벌할 적에 원근遠近격문檄文을 보냈다.
○ 9월에 나라가 후경侯景의 지위를 상국相國으로 승진시키고 20개 을 봉해 주었는데, 후경侯景이 스스로 한왕漢王이라 칭하였다.
나라 승상丞相 우문태宇文泰가 처음으로 백성 중에 재주와 힘이 출중한 자를 장부에 올려 부병府兵을 만들어서 이들의 調注+[附註]전지田地가 있으면 가 있고, 몸이 있으면 이 있고, 가 있으면 調가 있으니, 무릇 전지田地를 받은 장정壯丁이 해마다 곡식을 바치는 것을 라 이르고, 백성들의 노동력을 동원하되 1년에 20일이고 윤달이 든 해에는 2일을 더하며 부역하지 않는 자에게는 하루에 비단 3을 내게 하는 것을 이라 이르며, 장정壯丁마다 그 지방에서 나는 토산물土産物에 따라 해마다 견릉絹綾과 고치와 삼베와 綿를 바치게 하되 누에 치는 고을이 아니면 해마다 을 바치게 하는 것을 調라 일렀다. 調거성去聲이다. 를 일체 면제해 주고, 〈장부에 올린 부병府兵들은〉 농한기에 전투하고 진 치는 법을 조련하고 사열하였으며, 〈부병府兵에게 필요한〉 마필馬匹과 양식과 꼴을 여섯 가호가 함께 공급하여 모두 100개의 군부軍府를 만들고 마다 낭장郞將 한 명이 주관하게 하여 24注+[頭註]24에는 모두 12장군이 있었으니, 매 장군마다 각각 개부開府 2인을 통솔하고 개부開府는 각각 1을 지휘하였다. 에 나누어 소속시켰다.


역주
역주1 自稱漢王 : 《資治通鑑》에는 “20개 郡을 봉해 주고 漢王으로 삼았다.[封二十郡 爲漢王]”라고 되어 있다.
역주2 : 견
역주3 開府 : 府兵의 통수권자로 府兵 24軍에 각각 1員을 두었는데, 약 2천 명 내외를 통솔하였다.

통감절요(6)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