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司請蚤(早)建太子曰 豫建太子는 所以重宗廟社稷하고 不忘天下也라
古者
에 殷, 周有國
에 治安
이 皆千餘歲
는 也
니이다
今子啓最長하고 純厚慈仁하니 請建以爲太子하노이다 乃許之하다
按景帝紀注하면 景帝年三十二에 卽位하니 然則文帝之元年은 景帝方十歲로되
者
는 蓋踐祚之始
에 懼不克勝
이니 所言
이 皆發於中心
이요 非好名也
니라
三月
에 詔曰 方春和時
에 草木群生之物
이 皆有以自樂
호되 而吾百姓
寡孤獨困窮之人
은 或阽(墊)於危亡 而莫之省憂
하니 爲民父母
하야 將何如
오
其議所以振貸
注+[頭註]振은 起也니 振救振贍義皆同이라 今俗作賑은 非也라之
하라
今歲首
注+[釋義]今歲首 句絶이라 春者는 歲之首라니 不時使人存問長老
注+[釋義]言不卽於此歲首라 時遣使者하야 存問年長老人이라호되 八十已上
은 賜米肉
하고 九十已上
은 賜帛各二匹, 絮三斤
하고 盡除收孥
注+[釋義]注見周顯王十年하니라相坐律
하라
○ 時
에 有獻千里馬者
어늘 帝曰 鸞旗
注+[釋義]師古曰 編以羽毛하야 列繫幢旁하고 載於車上을 謂之鸞旗니 車駕出이면 則陳於道而先行이라 鸞은 通作鑾이라 說文에 人君乘車는 駟馬鑣, 八鑾鈴하야 象鸞鳥聲하니 馬動則鑾鳴以應行節이라 崔氏云 에 衡上金雀者 朱鳥也니 口銜鈴이라하야 謂之鑾이라在前
하고 屬車
注+[釋義]王氏曰 古者諸侯貳車九乘이러니 秦滅九國하고 兼其車服이라 故大駕屬車八十〈一〉乘이요 法駕半之라 屬車는 皁蓋赤裏(木)[朱]轓戈矛弩箙을 尙書御史所載라 最後一車에 縣(懸)豹尾하니라 屬은 相連屬也라在後
하야
吉行은 日五十里요 師行은 三十里니 朕乘千里馬하고 獨先安之리오하고 下詔不受하다
朝而問右丞相勃曰 天下一歲決獄이 幾何오 勃이 謝不知어늘
又問 一歲錢穀出入이 幾何오 勃이 又謝不知하고 汗出沾背러라
上이 問左丞相平한대 平曰 有主者하니 陛下卽問決獄인대 責廷尉하시고 問錢穀인대 責治粟內史하소서
平이 謝曰 宰相은 上佐天子하야 理陰陽, 順四時하고 下遂萬物之宜하야
外鎭撫四夷諸侯하고 內親附百姓하며 使卿大夫로 各得任其職焉이니이다 帝稱善하다
於是에 絳侯自知其能이 不如平하고 乃謝病하고 請歸相印이어늘 上이 許之하니
平
이 專爲丞相
注+[頭註]惠帝五年에 始置二相이러니 至是하야 只置一相하니라하다
○ 上
이 聞河南守吳公治平
注+[釋義]吳는 姓이니 史失其名이라 故로 稱公이라 治平은 言其政治均平이라이 爲天下第一
하고 召以爲廷尉
러니
吳公이 薦洛陽人賈誼어늘 帝召以爲博士하니 是時에 賈生年二十餘라
賈生
이 請改正朔
注+[通鑑要解]如夏建寅爲正하고 平明爲朔하며 商建丑爲正하고 鷄鳴爲朔하며 周建子爲正하고 夜半爲朔이러니 至秦하야 始改用十月爲正하고 亥時爲朔하니라, 易服色
注+[附註]服은 謂如有虞氏深衣而養老하고 夏后氏燕衣而養老하고 殷人縞衣而養老하고 周人玄衣而養老라 色은 謂如夏后氏尙黑하고 殷人尙白하고 周人尙赤하고 秦尙黑이라, 定官名, 興禮樂
하야 以立漢制
하고 更秦法
하니 帝謙讓未遑也
러라
유사有司가 일찍 태자를 세울 것을 청하여 아뢰기를 “미리 태자를 세움은 종묘와 사직을 중히 여기고 천하를 잊지 않는 것입니다.
옛날 은殷나라와 주周나라가 나라를 소유함에 다스려지고 편안함이 모두 천여 년이었던 것은 이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지금 아들 계啓가 가장 나이가 많고 순후純厚하고 인자仁慈하니, 세워서 태자로 삼을 것을 청합니다.” 하니, 이에 허락하였다.
“《한서漢書》 〈경제기景帝紀〉의 주注를 살펴보면 경제景帝가 32세에 즉위卽位하였으니, 그렇다면 문제文帝의 원년元年은 경제景帝가 막 10세가 되었을 때였다.
그런데 진평陳平과 주발周勃이 급히 태자太子를 세울 것을 청한 이유는 혜제惠帝가 계사繼嗣를 분명히 하지 않은 잘못을 징계하려 해서였다.
문제文帝가 굳이 사양한 이유는 즉위한 초기에 감당하지 못할까 두려워해서였으니, 말한 내용이 모두 진심에서 나온 것이고 명예를 좋아해서가 아니다.”
“3월에 조서詔書를 내리기를 ‘바야흐로 봄이 화창할 때여서 초목과 여러 생물들이 모두 스스로 즐거워함이 있으나, 우리 백성 중에 홀아비와 과부와 고아와 독신자와 곤궁한 사람은 혹 위태롭고 멸망함에 빠져도 보살피고 근심해 주는 이가 없으니, 백성의 부모가 되어서 장차 어찌하겠는가?
구휼할
注+[頭註]진振은 일어남이니, 진구振救와 진섬振贍은 뜻이 모두 같다. 지금 세속에서 진賑으로 씀은 잘못이다. 바를 의논하라.’ 하였다.
또 조서를 내리기를 ‘늙은 자는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고 고기가 아니면 배부르지 않다.
지금은
연초年初(新年의 초기)이니,
注+[釋義]금세수今歲首에서 구句를 뗀다. 봄은 한 해의 처음이다. 〈
연초年初뿐만 아니라〉 때없이 사람을 시켜
장로長老를 찾아가 안부를 묻되
注+[釋義]이 세수歲首뿐만 아니라 때로 사자使者를 보내어서 나이가 많은 노인을 존문存問함을 말한 것이다. 80세 이상은 쌀과 고기를 하사하고, 90세 이상은 비단 각 2필과 솜 3근을 하사하며, 처자식을 거두어
注+[釋義]수노收孥는 주注가 주현왕周顯王 10년조年條에 보인다. 서로 연좌하는 법률을 모두 제거하라.’ 하였다.”
이때에
천리마千里馬를 바치는 자가 있었는데, 황제가 말하기를 “
난기鸞旗는
注+[釋義]안사고顔師古가 말하였다. “깃털과 털을 엮어서 깃발 옆에 나열하여 매고 수레 위에 싣고 다니는 것을 난기鸞旗라 하니, 거가車駕가 출행하면 길에 늘어놓아 먼저 간다.” 하였다. 난鸞은 난鑾과 통용한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임금이 타는 수레는 말 재갈이 4개이고 방울이 8개여서 난새 소리를 형상하니, 말이 움직이면 방울이 울려 수레가 가는 절도節度에 응한다.” 하였고, 최씨崔氏(崔豹의 《고금주古今注》)가 말하기를 “오로五路의 멍에 위의 금참새가 주조朱鳥이니, 입에 방울을 물고 있다 하여 난鑾이라 이른다.” 하였다. 앞에 있고 뒤따르는 수레는
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옛날에 제후諸侯는 이거貳車(副車)가 9승乘이었는데, 진秦나라가 구국九國을 멸망시키고 수레와 복식服飾을 겸하였다. 그러므로 대가大駕는 촉거屬車가 81승乘이요 법가法駕는 그 반이었다. 촉거屬車는 검은 덮개에 속이 붉으며 붉은 가리개와 창과 쇠뇌와 화살통을 상서尙書와 어사御史가 싣고 간다. 가장 뒤에 있는 한 수레에 표미豹尾를 매달았다. 속屬은 서로 연속함이다.” 뒤에 있어서
길사吉事로 감은 하루에 50리를 가고 군대를 거느리고 감은 30리를 가니, 짐이 천리마를 타고 홀로 먼저 어디로 가겠는가?” 하고는 조서를 내려 받지 않았다.
조회에서 우승상右丞相주발周勃에게 묻기를 “천하에 한 해 동안 옥사를 결단함이 몇 건이나 되는가?” 하자, 주발周勃이 알지 못한다고 사죄하였다.
또다시 “한 해 동안 돈과 곡식의 출입이 얼마나 되는가?” 하고 묻자, 주발周勃은 또다시 알지 못한다고 사죄하고 땀이 흘러 등을 적셨다.
상上이 좌승상左丞相진평陳平에게 묻자, 진평陳平이 대답하기를 “주관하는 자가 있으니, 폐하께서 만일 옥사를 결단함을 물으시려면 정위廷尉에게 요구하시고, 돈과 곡식의 출입을 물으시려면 치속내사治粟內史에게 물으소서.” 하였다.
상上이 말하기를 “그대가 주관하는 것은 무슨 일인가?” 하자,
진평陳平이 대답하기를 “재상은 위로는 천자天子를 보좌하여 음양陰陽을 다스리고 사시四時를 순조롭게 하며 아래로는 만물의 마땅함을 이루어서,
밖으로는 사방 오랑캐와 제후諸侯들을 진무鎭撫하고 안으로는 백성들을 친히 하여 따르게 하며 경대부卿大夫로 하여금 각각 그 직책을 맡을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하니, 황제가 옳다고 칭찬하였다.
이에 강후絳侯(周勃)가 자신의 재능이 진평陳平만 못하다는 것을 스스로 알고, 병으로 사직하고 정승의 인수印綬를 돌려줄 것을 청하자, 상上이 이를 허락하였다.
그리하여
진평陳平이 혼자서
승상丞相이 되었다.
注+[頭註]혜제惠帝 5년에 처음으로 두 승상丞相을 두었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오직 한 승상丞相만을 둔 것이다.
- 《사기史記》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에 나옴.
‘제칭선帝稱善’ 이하는 《한서漢書》의 글을 참고하여 쓴 것이다.
이때부터 오직 한 명의 승상丞相만을 두었다. -
상上은
하남수河南守오공吳公의 다스림이 공평함이
注+[釋義]오吳는 성姓이니, 역사책에 그 이름이 전해지지 않으므로 공公이라 칭한 것이다. 치평治平은 그의 정치가 균평均平함을 말한다. 천하에 제일이라는 말을 듣고 불러
정위廷尉로 삼았다.
오공吳公이 낙양 사람 가의賈誼를 천거하므로 황제가 불러 박사博士로 삼으니, 이때 가생賈生의 나이가 20여 세였다.
황제는 그의 문장과 해박한 지식을 사랑하여 1년 안에 차서次序를 뛰어넘어 승진시켜, 태중대부太中大夫에 이르렀다.
가생賈生이
정삭正朔을
注+[通鑑要解]예컨대 하夏나라는 건인월建寅月을 정월正月로 삼고 평명平明을 삭朔으로 삼았으며, 상商나라는 건축월建丑月을 정월正月로 삼고 닭이 울 때를 삭朔으로 삼았으며, 주周나라는 건자월建子月을 정월正月로 삼고 야반夜半(12시)을 삭朔으로 삼았는데, 진秦나라 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10월(建亥月)을 정월正月로 삼고 해시亥時를 삭朔으로 삼았다. 고치고
복식服飾의 색깔을 바꾸며
注+[附註]복服은 유우씨有虞氏는 심의深衣를 입고 노인을 봉양하고, 하후씨夏后氏는 연의燕衣를 입고 노인을 봉양하고, 은殷나라 사람은 호의縞衣를 입고 노인을 봉양하고, 주周나라 사람은 현의玄衣를 입고 노인을 봉양한 것과 같음을 이른다. 색色은 하후씨夏后氏는 흑색을 숭상하고, 은殷나라 사람은 백색을 숭상하고, 주周나라 사람은 적색을 숭상하고 진秦나라 사람은 흑색을 숭상한 것과 같음을 이른다. 관명官名을 정하고
예악禮樂을 일으켜서,
한漢나라 제도를 확립하고
진秦나라 법을 바꿀 것을 청하였으나 황제가 겸양하여 그렇게 할 겨를이 없다고 하였다.
1
[임술] 원년
2
[임술] 원년
146
3
[임술] 원년
321
4
[임술] 원년
87
5
[임술] 원년
380
6
[임술] 원년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