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李抱眞
으로 爲澤潞節度副使
注+[釋義]澤潞는 卽昭義藩鎭也라 有州五하니 曰彬, 汾, 晉, 澤, 潞라 하다 
                        		
                        		
                        		
	                     		
			                       	
			                       	
	                     		
	                     		
		                        
                        	
                        	
                        	
                        	
                        		
                        			
                        			
			                        
			                        	抱眞以山東有變하고 上黨爲兵衝이어늘 而荒亂之餘에 土瘠民困하야 無以贍軍이라하야
			                         
                        		
                        		
                        		
	                     		
			                       	
			                       	
	                     		
	                     		
		                        
                        	
                        	
                        	
                        	
                        		
                        			
                        			
			                        
			                        	乃籍民三丁
하고 選一壯者
하야 免其租徭
하고 給弓矢
하야 使農隙習射
하고 歲暮都試
注+[釋義]都試는 謂總閱試習武備也라 하야 行其賞罰
하니 比三年
에 得精兵二萬
이라 
                        		
                        		
                        		
	                     		
			                       	
			                       	
	                     		
	                     		
		                        
                        	
                        	
                        	
                        	
                        		
                        			
                        			
			                        
			                        	旣不費廩給하고 府庫充實하야 遂雄視山東하니 由是로 天下稱澤潞步兵하야 爲諸道最하니라
			                         
                        		
                        		
                        		
	                     		
			                       	
			                       	
	                     		
	                     		
		                        
                        	
                        	
                        	
                        	
                        		
                        			
                        			
			                        
			                        	○ 吐蕃
이 遣使請和어늘 詔元載, 杜鴻漸
注+[頭註]兵部侍郞이라 하야 與盟於興唐寺
하다 
                        		
                        		
                        		
	                     		
			                       	
			                       	
	                     		
	                     		
		                        
                        	
                        	
                        	
                        	
                        		
                        			
                        			
			                        
			                        	上
이 問郭子儀
호되 吐蕃
이 請盟
하니 何如
오 對曰 吐蕃
이 利我不虞
注+[釋義]利는 幸이요 虞는 也니 不虞는 猶言不意也라 我不虞度이면 則彼之利라 하니 若不虞而來
면 國不可守矣
리이다 
                        		
                        		
                        		
	                     		
			                       	
			                       	
	                     		
	                     		
		                        
                        	
                        	
                        	
                        	
                        		
                        			
                        			
			                        
			                        	乃相繼遣河中兵하야 戍奉天하고 又遣兵巡涇原하야 以覘之하다
			                         
                        		
                        		
                        		
	                     		
			                       	
			                       	
	                     		
	                     		
		                        
                        	
                        	
                        	
                        	
                        		
                        			
                        			
			                        
			                        	○ 時
에 成德節度使李寶臣
과 魏博節度使田承嗣
와 相衛節度使薛嵩
과 盧龍節度使李懷仙
이 收安史餘黨
하야 各擁勁卒數萬
하야 治兵完城하고 自署文武將吏
注+[頭註]署는 謂署置之也라 하고 不供貢賦
호되 朝廷
이 專事姑息하야 不能復制
하니 雖名藩臣
이나 羇縻
注+[頭註]羇는 馬絡頭也요 縻는 繫也라 而已
러라 
                        		
                        		
                        		
	                     		
			                       	
			                       	
	                     		
	                     		
		                        
                        	
                        	
                        	
                        	
                        		
                        			
                        			
			                        
			                        	○ 九月
에 僕固懷恩
이 誘回紇, 吐蕃, 吐
渾, 党項, 奴
注+[頭註]剌音이니 卽渾剌奴也라 吐谷渾이 自稱渾王이라 故로 以渾奴剌名之하니라數十萬衆
하야 俱入寇
하고 懷恩
이 又以朔方兵繼之
어늘 
                        		
                        		
                        		
	                     		
			                       	
			                       	
	                     		
	                     		
		                        
                        	
                        	
                        	
                        	
                        		
                        			
                        			
			                        
			                        	郭子儀使諸道節度使로 各出兵하야 以扼其衝要하니 上이 從之하다
			                         
                        		
                        		
                        		
	                     		
			                       	
			                       	
	                     		
	                     		
		                        
                        	
                        	
                        	
                        	
                        		
                        			
                        			
			                        
			                        	懷恩
이 中途
에 遇暴疾而歸
라가 死於鳴沙
하니 范志誠
注+[頭註]懷恩之將이라 이 領其衆
하니라 
                        		
                        		
                        		
	                     		
			                       	
			                       	
	                     		
	                     		
		                        
                        	
                        	
                        	
                        	
                        		
                        			
                        			
			                        
			                        	○ 懷恩이 拒命三年에 再引胡寇하야 爲國大患호되 上이 猶爲之隱하야 前後制勅에 未嘗言其反이러니
			                         
                        		
                        		
                        		
	                     		
			                       	
			                       	
	                     		
	                     		
		                        
                        	
                        	
                        	
                        	
                        		
                        			
                        			
			                        
			                        	 及聞其死하고 憫然曰 懷恩이 不反이요 爲左右所誤耳라하니라
			                         
                        		
                        		
                        		
	                     		
			                       	
			                       	
	                     		
	                     		
		                        
                        	
                        	
                        	
                        	
                        		
                        			
                        			
			                        
			                        	○ 丙寅에 回紇, 吐蕃이 合兵圍涇陽이어늘 子儀命諸將하야 嚴設守備而不戰하다
			                         
                        		
                        		
                        		
	                     		
			                       	
			                       	
	                     		
	                     		
		                        
                        	
                        	
                        	
                        	
                        		
                        			
                        			
			                        
			                        	是時에 回紇, 吐蕃이 聞僕固懷恩死하고 爭長不相睦하야 分營而居하니 子儀知之라
			                         
                        		
                        		
                        		
	                     		
			                       	
			                       	
	                     		
	                     		
		                        
                        	
                        	
                        	
                        	
                        		
                        			
                        			
			                        
			                        	回紇
이 在城西
어늘 子儀使牙將
注+[頭註]牙는 見二十六卷註하니라 李光瓚等
으로 往說之
하야 欲與之共擊吐蕃
이러니 回紇
이 不信
하고 曰 郭公
이 固在此乎
아 
                        		
                        		
                        		
	                     		
			                       	
			                       	
	                     		
	                     		
		                        
                        	
                        	
                        	
                        	
                        		
                        			
                        			
			                        
                        		
                        		
                        		
	                     		
			                       	
			                       	
	                     		
	                     		
		                        
                        	
                        	
                        	
                        	
                        		
                        			
                        			
			                        
                        		
                        		
                        		
	                     		
			                       	
			                       	
	                     		
	                     		
		                        
                        	
                        	
                        	
                        	
                        		
                        			
                        			
			                        
			                        	光瓚이 還報한대 子儀曰 今에 衆寡不敵하니 難以力勝이라
			                         
                        		
                        		
                        		
	                     		
			                       	
			                       	
	                     		
	                     		
		                        
                        	
                        	
                        	
                        	
                        		
                        			
                        			
			                        
			                        	昔
에 與回紇
로 契約甚厚
하니 不若
挺身注+[頭註]挺은 直也요 特也라 往說之
니 
                        		
                        		
                        		
	                     		
			                       	
			                       	
	                     		
	                     		
		                        
                        	
                        	
                        	
                        	
                        		
                        			
                        			
			                        
			                        	可不戰而下也라하고 遂與數騎로 開門而出하야 使人傳呼曰 令公來라하니 回紇이 大驚이러라
			                         
                        		
                        		
                        		
	                     		
			                       	
			                       	
	                     		
	                     		
		                        
                        	
                        	
                        	
                        	
                        		
                        			
                        			
			                        
                        		
                        		
                        		
	                     		
			                       	
			                       	
	                     		
	                     		
		                        
                        	
                        	
                        	
                        	
                        		
                        			
                        			
			                        
			                        	 執弓注矢하고 立於陳前이어늘 子儀免冑釋甲하고 投槍而進하니 回紇諸酋長이 相顧曰 是也라하고 皆下馬羅拜라
			                         
                        		
                        		
                        		
	                     		
			                       	
			                       	
	                     		
	                     		
		                        
                        	
                        	
                        	
                        	
                        		
                        			
                        			
			                        
			                        	子儀亦下馬
하야 前執藥葛羅手
注+[頭註]前은 進也라 하고 讓之
注+[頭註]讓은 責也라 曰
 
                        		
                        		
                        		
	                     		
			                       	
			                       	
	                     		
	                     		
		                        
                        	
                        	
                        	
                        	
                        		
                        			
                        			
			                        
			                        	 汝回紇
이 有大功於唐
注+[頭註]大功於唐은 謂擧兵助唐하야 平安史也라 하고 唐之報汝
도 亦不薄
이어늘 
                        		
                        		
                        		
	                     		
			                       	
			                       	
	                     		
	                     		
		                        
                        	
                        	
                        	
                        	
                        		
                        			
                        			
			                        
			                        	 奈何負約
하고 深入吾地
하야 (浸)[侵]逼
하야 棄前功
하고 結怨仇
하야 背恩德而助叛臣
하니 何其愚也오 
                        		
                        		
                        		
	                     		
			                       	
			                       	
	                     		
	                     		
		                        
                        	
                        	
                        	
                        	
                        		
                        			
                        			
			                        
			                        	且懷恩
이 叛君棄母注+[通鑑要解]謂懷恩阻兵汾州러니 旣而요 叛歸靈武하야 棄母於汾州也라 하니 於汝國
에 何有
리오 
                        		
                        		
                        		
	                     		
			                       	
			                       	
	                     		
	                     		
		                        
                        	
                        	
                        	
                        	
                        		
                        			
                        			
			                        
			                        	今吾挺身而來하야 聽汝執我而殺之하노니 我之將士必致死하야 與汝戰矣리라
			                         
                        		
                        		
                        		
	                     		
			                       	
			                       	
	                     		
	                     		
		                        
                        	
                        	
                        	
                        	
                        		
                        			
                        			
			                        
			                        	藥葛羅曰 懷恩
이 欺我
하야 言天可汗
注+[頭註]見三十四卷하니 太宗因四夷之請하야 稱天可汗하니라 이 已晏駕
하고 令公
이 亦捐館
注+[頭註]不欲斥言死故로 託云捐館하니 館은 舍라 하야 中國無主
라하야늘 我是以
로 敢與之來
러니 
                        		
                        		
                        		
	                     		
			                       	
			                       	
	                     		
	                     		
		                        
                        	
                        	
                        	
                        	
                        		
                        			
                        			
			                        
			                        	 今知天可汗在上都하시고 令公이 復摠兵於此하고 懷恩이 又爲天所殺하니 我曹豈肯與令公戰乎잇가
			                         
                        		
                        		
                        		
	                     		
			                       	
			                       	
	                     		
	                     		
		                        
                        	
                        	
                        	
                        	
                        		
                        			
                        			
			                        
			                        	子儀乃說之曰 吐蕃
이 無道
하야 乘我國有亂
하야 不顧舅甥之親
注+[頭註]貞觀二十年에 以文成公主로 嫁吐蕃하니라하고 呑噬我邊鄙
注+[頭註]鄙亦邊也라 하고 焚蕩我畿甸
하니 其所掠之財
를 不可勝載
라 
                        		
                        		
                        		
	                     		
			                       	
			                       	
	                     		
	                     		
		                        
                        	
                        	
                        	
                        	
                        		
                        			
                        			
			                        
                        		
                        		
                        		
	                     		
			                       	
			                       	
	                     		
	                     		
		                        
                        	
                        	
                        	
                        	
                        		
                        			
                        			
			                        
			                        	藥葛羅曰 吾爲懷恩所誤하야 負公誠深하니 今請爲公하야 盡力擊吐蕃하야 以謝過호리이다
			                         
                        		
                        		
                        		
	                     		
			                       	
			                       	
	                     		
	                     		
		                        
                        	
                        	
                        	
                        	
                        		
                        			
                        			
			                        
			                        	回紇觀者 左右爲兩翼稍前이어늘 子儀麾下亦進한대 子儀揮手却之하고 因取酒하야 與其酋長共飮하다
			                         
                        		
                        		
                        		
	                     		
			                       	
			                       	
	                     		
	                     		
		                        
                        	
                        	
                        	
                        	
                        		
                        			
                        			
			                        
			                        	子儀遺之絹三千匹하고 竟與定約而還하니 吐蕃이 聞之하고 夜引兵遁去하다
			                         
                        		
                        		
                        		
	                     		
			                       	
			                       	
	                     		
	                     		
		                        
                        	
                        	
                        	
                        	
                        		
                        			
                        			
			                        
			                        	藥葛羅帥衆追吐蕃
이어늘 子儀使白元光
으로 帥精騎
하야 與之俱戰於靈臺
注+[頭註]縣名이라 西原
하야 大破之
하고 殺吐蕃萬計
하다 
                        		
                        		
                        		
	                     		
			                       	
			                       	
	                     		
	                     		
		                        
                        	
                        	
                        	
                        	
                        		
                        			
                        			
			                        
                        		
                        		
                        		
	                     		
			                       	
			                       	
	                     		
	                     		
		                        
                        	
                        	
                        	
                        	
                        		
                        			
                        			
			                        
			                        	孔子謂 言忠信, 行篤敬이면 雖蠻貊之邦이라도 行矣라하시니
			                         
                        		
                        		
                        		
	                     		
			                       	
			                       	
	                     		
	                     		
		                        
                        	
                        	
                        	
                        	
                        		
                        			
                        			
			                        
			                        	子儀輕騎見虜로되 非惟虜不敢害라 又聽其言하야 講解而去하야 賢於數十萬衆力戰之功은 惟忠信足以感動之而已矣라
			                         
                        		
                        		
                        		
	                     		
			                       	
			                       	
	                     		
	                     		
		                        
                        	
                        	
                        	
                        	
                        		
                        			
                        			
			                        
                        		
                        		
                        		
	                     		
			                       	
			                       	
	                     		
	                     		
		                        
                        	
                        	
                        	
                        	
                        		
                        			
                        			
			                        
			                        	積之旣久하고 行之旣著하야 名發於實而效見乎遠이면 則其音聲容貌 亦將有孚於人하나니 此回紇諸酋 所以釋兵下馬而拜者也라
			                         
                        		
                        		
                        		
	                     		
			                       	
			                       	
	                     		
	                     		
		                        
                        	
                        	
                        	
                        	
                        		
                        			
                        			
			                        
                        		
                        		
                        		
	                     		
			                       	
			                       	
	                     		
	                     		
		                        
                        	
                        	
                        	
                        	
                        		
                        			
                        			
			                        
			                        	在易之師曰 師貞, 丈人吉이라하니 子儀其庶幾歟인저
			                         
                        		
                        		
                        		
	                     		
			                       	
			                       	
	                     		
	                     		
		                        
                        	
                        	
                        	
                        	
                        		
                        			
                        			
			                        
			                        	○ 初
에 肅宗
이 以內侍魚朝恩
으로 領神策軍使
하야 悉以其軍歸禁中
이라 然
이나 尙未得與北軍齒
注+[頭註]齒는 謂竝列如齒也라 言猶在北軍之下하니 北軍은 羽林及萬騎也라 見三十九卷丁未年註하니라 러니 至是
하야 魚朝恩
이 以神策軍
으로 從上屯苑中
하니 其勢浸盛이라 分爲左右廂
하야 居北軍之右矣
러라 
                        		
                        		
                        		
	                     		
			                       	
			                       	
	                     		
	                     		
		                        
                        	
                        	
                        	
                        	
                        		
                        			
                        			
			                        
                        		
                        		
                        		
	                     		
			                       	
			                       	
	                     		
	                     		
		                        
                        	
                        	
                        	
                        	
                   			
                        	
                        	
                        	
                        	
	                       	
	                       	
	                       	
	                       	
							                       	
	                        
	                        
	                        	
	                        
	                        	
	                        
	                        	
	                        
	                        	
	                        
	                        	
	                        
	                        	
	                        
	                        	
	                        
	                        	
	                        
	                        	
	                        
	                        	
	                        
	                        	
	                        
	                        	
	                        
	                        	
	                        
	                        	
	                        
	                        	
	                        
	                        	
	                        
	                        	
	                        
	                        	
	                        
	                        	
	                        
	                        	
	                        
	                        	
	                        
	                        	
	                        
	                        	
	                        
	                        	
	                        
	                        	
	                        
	                        	
	                        
	                        	
	                        
	                        	
	                        
	                        	
	                        
	                        	
	                        
	                        	
	                        
	                        	
	                        
	                        	
	                        
	                        	
	                        
	                        	
	                        
	                        	
	                        
	                        	
	                        
	                        	
	                        
	                        	
	                        
	                        	
	                        
	                        	
	                        
	                        	
	                        
	                        	
	                        
	                        	
	                        
	                        	
	                        
	                        	
	                        
	                        	
	                        
	                        	
	                        
	                        	
	                        
	                        	
	                        
	                        	
	                        
	                        	
	                        
	                        	
	                        
	                        	
	                        
	                        	
	                        
	                        	
	                        
	                        	
	                        
	                        	
	                        
	                        	
	                        
	                        	
	                        
	                        	
	                        
	                        	
	                        
	                        	
	                        
	                        	
	                        
	                        	
	                        
	                        	
	                        
	                        	
	                        
	                        	
	                        
	                        	
	                        
	                        	
	                        
	                        	
	                        
	                        	
	                        
	                        	
	                        
	                        	
	                        
	                        	
	                        
	                        	
	                        
	                        	
	                        
	                        	
	                        
	                        	
	                        
	                        	
	                        
	                        	
	                        
	                        	
	                        
	                        	
	                        
	                        	
	                        
	                        	
	                        
	                        	
	                        
	                        	
	                        
	                        	
	                        
	                        	
	                        
	                        	
	                        
	                        	
	                        
	                        	
	                        
	                        
	                        
                        	
		                        
		                        
		                        
		                        
                        		
                        	
		                        
		                        
		                        
		                        	
		                        	
		                        
		                        
                        		
                        		
                        			
			                             
                        			
                        		
                        		
	                     		
			                       	
			                       	
	                     		
		                        
                        	
		                        
		                        
		                        
		                        
                        		
                        	
		                        
		                        
		                        
		                        	
		                        	
		                        
		                        
                        		
                        		
                        			
			                        
			                        	이포진李抱眞을 
택로절도부사澤潞節度副使로 임명하였다.
注+[釋義]택로澤潞는 곧 의 번진藩鎭이다. 다섯 개의 주州를 보유하였으니, 빈주彬州, 분주汾州, 진주晉州, 택주澤州, 노주潞州이다.  
			                              
                        			
                        		
                        		
	                     		
			                       	
			                       	
	                     		
		                        
                        	
		                        
		                        
		                        
		                        
                        		
                        	
		                        
		                        
		                        
		                        	
		                        	
		                        
		                        
                        		
                        		
                        			
			                        
			                        	이포진李抱眞은 ‘산동山東 지방에 변란이 있고 상당上黨은 군대의 요충지인데, 흉년이 들고 난리를 겪은 뒤에 토지가 척박하고 백성들이 곤궁하여 군량을 공급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백성 3
정丁을 장부에 올리고, 이 가운데 한 명의 건장한 자를 선발하여 조세와 요역(부역)을 면제해준 다음 활과 화살을 지급하여 농한기에 활쏘기를 익히게 하고 
세모歲暮(年末)에 모두 시험하여
注+[釋義]도시都試는 모두 사열하여 무비武備를 시험하고 훈련시킴을 이른다. 상벌賞罰을 시행하니, 3년 만에 정예병 2만 명을 얻었다.
      
                        			
                        		
                        		
	                     		
			                       	
			                       	
	                     		
		                        
                        	
		                        
		                        
		                        
		                        
                        		
                        	
		                        
		                        
		                        
		                        	
		                        	
		                        
		                        
                        		
                        		
                        			
			                        
			                        	그리하여 이미 국고로 지급하는 것을 허비하지 않고 또 부고府庫가 충실해져서 마침내 산동山東 지방의 으뜸이 되니, 이로 말미암아 천하가 택로澤潞의 보병을 칭하여 여러 도의 으뜸이라 하였다.
			                              
                        			
                        		
                        		
	                     		
			                       	
			                       	
	                     		
		                        
                        	
		                        
		                        
		                        
		                        
                        		
                        	
		                        
		                        
		                        
		                        	
		                        	
		                        
		                        
                        		
                        		
                        			
			                        
			                        	토번吐蕃이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청하자, 
원재元載와 
두홍점杜鴻漸에게 명하여
注+[頭註]두홍점杜鴻漸은 병부시랑兵部侍郞이다. 토번吐蕃과 함께 
흥당사興唐寺에서 맹약하게 하였다. 
 
			                              
                        			
                        		
                        		
	                     		
			                       	
			                       	
	                     		
		                        
                        	
		                        
		                        
		                        
		                        
                        		
                        	
		                        
		                        
		                        
		                        	
		                        	
		                        
		                        
                        		
                        		
                        			
			                        
			                        	상上이 
곽자의郭子儀에게 묻기를 “
토번吐蕃이 맹약을 청하니, 어떠한가?” 하니, 대답하기를 “
토번吐蕃은 우리가 적의 침략을 대비하지 않는 것을 이롭게 여기니,
注+[釋義]이利는 요행으로 여기는 것이요, 우虞는 헤아림이니 불우不虞는 불의不意라는 말과 같다. 우리가 적의 침공에 대비할 것을 헤아리지 않으면 저들의 이익인 것이다.  만약 대비하지 않고 있다가 뜻밖에 적들이 쳐들어온다면 나라를 지킬 수 없을 것입니다.” 하였다.
 
			                              
                        			
                        		
                        		
	                     		
			                       	
			                       	
	                     		
		                        
                        	
		                        
		                        
		                        
		                        
                        		
                        	
		                        
		                        
		                        
		                        	
		                        	
		                        
		                        
                        		
                        		
                        			
			                        
			                        	이에 서로 이어 하중河中의 군대를 보내어 봉천奉天을 지키게 하고, 또 군대를 보내어 경원涇原 지방을 순시하면서 엿보게 하였다.
			                              
                        			
                        		
                        		
	                     		
			                       	
			                       	
	                     		
		                        
                        	
		                        
		                        
		                        
		                        
                        		
                        	
		                        
		                        
		                        
		                        	
		                        	
		                        
		                        
                        		
                        		
                        			
			                        
			                        	이때에 
성덕절도사成德節度使 이보신李寶臣과 
위박절도사魏博節度使 전승사田承嗣와 
상위절도사相衛節度使 설숭薛嵩과 
노룡절도사盧龍節度使 이회선李懷仙이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의 남은 무리를 수습해서 각각 강성한 병졸 수만 명을 보유하여 군대를 다스리고 성을 완전하게 하고는 스스로 
문무文武의 장수와 관리들을 임명하고
注+[頭註]서署는 서치署置(관리 임명)하는 것을 이른다. 공부貢賦를 바치지 않았으나 
조정朝廷에서는 오로지 
고식姑息을 일삼아서 더 이상 통제하지 못하니, 비록 
번신藩臣이라고 이름하였으나 겉으로만 매여 있을
注+[頭註]기羇는 말굴레이고, 미縻는 얽어매는 것이다.  뿐이었다.
      
                        			
                        		
                        		
	                     		
			                       	
			                       	
	                     		
		                        
                        	
		                        
		                        
		                        
		                        
                        		
                        	
		                        
		                        
		                        
		                        	
		                        	
		                        
		                        
                        		
                        		
                        			
			                        
			                        	9
월月에 
복고회은僕固懷恩이 
회흘回紇, 
토번吐蕃, 
토욕혼吐谷渾, 
당항党項, 
노랄奴剌注+[頭註]날剌은 음이 랄이니, 바로 혼랄노渾剌奴이다. 토욕혼吐谷渾이 스스로 혼왕渾王이라 칭하였다. 그러므로 혼노랄渾奴剌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등 수십만의 병력을 유인하여 함께 쳐들어와 침략하였으며, 
복고회은僕固懷恩이 또 
삭방朔方의 군대를 거느리고 뒤이어 왔다. 
      
                        			
                        		
                        		
	                     		
			                       	
			                       	
	                     		
		                        
                        	
		                        
		                        
		                        
		                        
                        		
                        	
		                        
		                        
		                        
		                        	
		                        	
		                        
		                        
                        		
                        		
                        			
			                        
			                        	곽자의郭子儀가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로 하여금 각각 군대를 내어 요충지를 굳게 지키게 하니, 상上이 그의 말을 따랐다. 
			                              
                        			
                        		
                        		
	                     		
			                       	
			                       	
	                     		
		                        
                        	
		                        
		                        
		                        
		                        
                        		
                        	
		                        
		                        
		                        
		                        	
		                        	
		                        
		                        
                        		
                        		
                        			
			                        
			                        	복고회은僕固懷恩이 도중에 
폭질暴疾(갑작스럽게 앓는 병)에 걸려 돌아가다가 
명사鳴沙에서 죽으니, 
범지성范志誠이
注+[頭註]범지성范志誠은 복고회은僕固懷恩의 장수이다.  그 무리를 거느렸다.
 
			                              
                        			
                        		
                        		
	                     		
			                       	
			                       	
	                     		
		                        
                        	
		                        
		                        
		                        
		                        
                        		
                        	
		                        
		                        
		                        
		                        	
		                        	
		                        
		                        
                        		
                        		
                        			
			                        
			                        	복고회은僕固懷恩이 황제의 명령에 항거한 3년 동안 두 번 오랑캐들을 이끌고 침략하여 나라의 큰 환란이 되었으나 상上은 오히려 그를 위해 숨겨주어서 전후에 내린 제칙制勅에 일찍이 그의 반란을 언급하지 않았었는데,
			                              
                        			
                        		
                        		
	                     		
			                       	
			                       	
	                     		
		                        
                        	
		                        
		                        
		                        
		                        
                        		
                        	
		                        
		                        
		                        
		                        	
		                        	
		                        
		                        
                        		
                        		
                        			
			                        
			                        	 그가 죽었다는 말을 듣자 측은히 여겨 말하기를 “복고회은僕固懷恩은 배반하지 않았고 좌우의 사람들 탓에 잘못되었을 뿐이다.” 하였다.
			                              
                        			
                        		
                        		
	                     		
			                       	
			                       	
	                     		
		                        
                        	
		                        
		                        
		                        
		                        
                        		
                        	
		                        
		                        
		                        
		                        	
		                        	
		                        
		                        
                        		
                        		
                        			
			                        
			                        	병인일丙寅日(10월 8일)에 회흘回紇과 토번吐蕃이 병력을 연합하여 경양涇陽을 포위하자, 곽자의郭子儀가 제장諸將들에게 명하여 엄하게 수비하고 싸우지 않게 하였다.
			                              
                        			
                        		
                        		
	                     		
			                       	
			                       	
	                     		
		                        
                        	
		                        
		                        
		                        
		                        
                        		
                        	
		                        
		                        
		                        
		                        	
		                        	
		                        
		                        
                        		
                        		
                        			
			                        
			                        	이때 회흘回紇과 토번吐蕃은 복고회은僕固懷恩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우두머리 자리를 다투어 서로 화목하지 못해서 진영을 나누어 거처하고 있었는데, 곽자의郭子儀가 이것을 알았다. 
			                              
                        			
                        		
                        		
	                     		
			                       	
			                       	
	                     		
		                        
                        	
		                        
		                        
		                        
		                        
                        		
                        	
		                        
		                        
		                        
		                        	
		                        	
		                        
		                        
                        		
                        		
                        			
			                        
			                        	회흘回紇의 군대가 성 서쪽에 있었는데 
곽자의郭子儀가 
아장牙將注+[頭註]아牙는 26권卷 아문牙門의 주註에 보인다. 이광찬李光瓚 등으로 하여금 가서 설득하여 
회흘回紇과 함께 
토번吐蕃을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회흘回紇이 믿지 않고 말하기를 “
곽공郭公이 참으로 이곳에 있는가?
 
			                              
                        			
                        		
                        		
	                     		
			                       	
			                       	
	                     		
		                        
                        	
		                        
		                        
		                        
		                        
                        		
                        	
		                        
		                        
		                        
		                        	
		                        	
		                        
		                        
                        		
                        		
                        			
			                             
                        			
                        		
                        		
	                     		
			                       	
			                       	
	                     		
		                        
                        	
		                        
		                        
		                        
		                        
                        		
                        	
		                        
		                        
		                        
		                        	
		                        	
		                        
		                        
                        		
                        		
                        			
			                        
			                        	만약 과연 이 곳에 있다면 만나볼 수 있는가?” 하였다.
			                              
                        			
                        		
                        		
	                     		
			                       	
			                       	
	                     		
		                        
                        	
		                        
		                        
		                        
		                        
                        		
                        	
		                        
		                        
		                        
		                        	
		                        	
		                        
		                        
                        		
                        		
                        			
			                        
			                        	이광찬李光瓚이 돌아와 보고하자, 곽자의郭子儀가 말하기를 “지금 적들은 병력이 많고 우리는 병력이 적어 대적하지 못하니, 힘으로는 이기기 어렵다.
			                              
                        			
                        		
                        		
	                     		
			                       	
			                       	
	                     		
		                        
                        	
		                        
		                        
		                        
		                        
                        		
                        	
		                        
		                        
		                        
		                        	
		                        	
		                        
		                        
                        		
                        		
                        			
			                        
			                        	옛날에 우리가 
회흘回紇과 맹약하기를 매우 친하게 하였으니, 내가 혼자 가서 설득하는 것만 못하다.
注+[頭註]정挺은 곧음이고 혼자이다.       
                        			
                        		
                        		
	                     		
			                       	
			                       	
	                     		
		                        
                        	
		                        
		                        
		                        
		                        
                        		
                        	
		                        
		                        
		                        
		                        	
		                        	
		                        
		                        
                        		
                        		
                        			
			                        
			                        	 이렇게 하면 싸우지 않고 항복시킬 수 있다.” 하고는 마침내 몇 명의 기병과 함께 성문을 열고 나가서 사람을 시켜 전달하여 고함치게 하기를 “영공令公이 오신다.” 하니, 회흘回紇이 크게 놀랐다.
			                              
                        			
                        		
                        		
	                     		
			                       	
			                       	
	                     		
		                        
                        	
		                        
		                        
		                        
		                        
                        		
                        	
		                        
		                        
		                        
		                        	
		                        	
		                        
		                        
                        		
                        		
                        			
			                        
			                        	그의 태수太帥 약갈라藥葛羅는 가한可汗의 아우였다.
			                              
                        			
                        		
                        		
	                     		
			                       	
			                       	
	                     		
		                        
                        	
		                        
		                        
		                        
		                        
                        		
                        	
		                        
		                        
		                        
		                        	
		                        	
		                        
		                        
                        		
                        		
                        			
			                        
			                        	활을 잡고 화살을 메기고 진영의 앞에 서 있었는데, 곽자의郭子儀가 투구를 벗고 갑옷을 벗고는 창을 던지고 전진하니, 회흘回紇의 여러 추장酋長들이 서로 돌아보고 말하기를 “영공令公이 맞다.” 하고는 모두 말에서 내려 늘어서서 절하였다. 
			                              
                        			
                        		
                        		
	                     		
			                       	
			                       	
	                     		
		                        
                        	
		                        
		                        
		                        
		                        
                        		
                        	
		                        
		                        
		                        
		                        	
		                        	
		                        
		                        
                        		
                        		
                        			
			                        
			                        	곽자의郭子儀 또한 말에서 내려 앞으로 나아가 
약갈라藥葛羅의 손을 잡고
注+[頭註]전前은 앞으로 나아감이다.  꾸짖기를
注+[頭註]양讓은 꾸짖음이다.  
			                              
                        			
                        		
                        		
	                     		
			                       	
			                       	
	                     		
		                        
                        	
		                        
		                        
		                        
		                        
                        		
                        	
		                        
		                        
		                        
		                        	
		                        	
		                        
		                        
                        		
                        		
                        			
			                        
			                        	 “너희 
회흘回紇은 
당唐나라에 큰 공이 있고
注+[頭註]당唐나라에 큰 공이 있다는 것은 군대를 일으켜 당唐나라를 도와서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을 평정하였음을 말한다. 당唐나라가 너희에게 보답한 것 또한 박하지 않은데,
      
                        			
                        		
                        		
	                     		
			                       	
			                       	
	                     		
		                        
                        	
		                        
		                        
		                        
		                        
                        		
                        	
		                        
		                        
		                        
		                        	
		                        	
		                        
		                        
                        		
                        		
                        			
			                        
			                        	 어찌하여 맹약을 저버리고 우리 땅에 깊이 쳐들어와서 기현畿縣을 침략하고 핍박하여 전날의 공을 버리고 원한을 맺어 은덕恩德을 저버리고 배반한 신하(僕固懷恩)를 도우니, 어쩌면 그리도 미련한가. 
			                              
                        			
                        		
                        		
	                     		
			                       	
			                       	
	                     		
		                        
                        	
		                        
		                        
		                        
		                        
                        		
                        	
		                        
		                        
		                        
		                        	
		                        	
		                        
		                        
                        		
                        		
                        			
			                        
			                        	복고회은僕固懷恩이 군주를 배반하고 어머니를 버렸으니,
注+[通鑑要解]군주를 배반하고 어머니를 버렸다는 것은 복고회은僕固懷恩이 분주汾州에서 군대를 믿고 있었는데, 얼마 후 배반하여 영무靈武로 돌아가면서 어머니를 분주汾州에 버림을 이른다.  너희 나라에 무슨 상관이 있는가.
 
			                              
                        			
                        		
                        		
	                     		
			                       	
			                       	
	                     		
		                        
                        	
		                        
		                        
		                        
		                        
                        		
                        	
		                        
		                        
		                        
		                        	
		                        	
		                        
		                        
                        		
                        		
                        			
			                        
			                        	지금 내가 혼자 와서 너희가 나를 붙잡아 죽이도록 맡기노니, 너희가 나를 죽이면 우리 장병들이 사력을 다하여 너희와 싸울 것이다.” 하였다.
			                              
                        			
                        		
                        		
	                     		
			                       	
			                       	
	                     		
		                        
                        	
		                        
		                        
		                        
		                        
                        		
                        	
		                        
		                        
		                        
		                        	
		                        	
		                        
		                        
                        		
                        		
                        			
			                        
			                        	약갈라藥葛羅가 말하기를 “
복고회은僕固懷恩이 우리들을 속여 말하기를 ‘
천가한天可汗(당나라 황제)이
注+[頭註]천가한天可汗은 34권卷에 보이니, 태종太宗이 사이四夷의 청원請願으로 인하여 자신을 천가한天可汗이라 칭하였다.  이미 승하하셨고 
영공令公 또한 죽어서
注+[頭註]죽음을 곧바로 지척하여 말하려 하지 않으므로 가탁하여 연관捐館이라 하였으니, 관館은 관사이다.  중국에 군주가 없다.’ 하므로 내가 이 때문에 감히 
복고회은僕固懷恩과 함께 중국에 왔었는데,
 
			                              
                        			
                        		
                        		
	                     		
			                       	
			                       	
	                     		
		                        
                        	
		                        
		                        
		                        
		                        
                        		
                        	
		                        
		                        
		                        
		                        	
		                        	
		                        
		                        
                        		
                        		
                        			
			                        
			                        	 이제 천가한天可汗이 상도上都에 계시고 영공令公이 다시 이곳에서 군대를 통솔하심을 알았으며 복고회은僕固懷恩이 또 하늘에게 죽임을 당하였으니, 우리들이 어찌 영공令公과 싸우기를 즐겨 하겠습니까.” 하였다.
			                              
                        			
                        		
                        		
	                     		
			                       	
			                       	
	                     		
		                        
                        	
		                        
		                        
		                        
		                        
                        		
                        	
		                        
		                        
		                        
		                        	
		                        	
		                        
		                        
                        		
                        		
                        			
			                        
			                        	곽자의郭子儀가 마침내 설득하기를 “
토번吐蕃이 
무도無道하여 우리나라에 난리가 있는 틈을 타서 
구생舅甥간의 친함을 돌아보지 않고,
注+[頭註]구생舅甥(장인과 사위)의 친함이란 정관貞觀 20년年에 문성공주文成公主를 토번吐蕃에게 시집보냈으므로 말한 것이다.  우리의 
변비邊鄙(변경)를 삼키고
注+[頭註]비鄙 또한 변방이다.  우리 
기전畿甸을 분탕질하니, 그들이 노략질한 재물을 이루 다 싣고 갈 수 없을 정도이다.
 
			                              
                        			
                        		
                        		
	                     		
			                       	
			                       	
	                     		
		                        
                        	
		                        
		                        
		                        
		                        
                        		
                        	
		                        
		                        
		                        
		                        	
		                        	
		                        
		                        
                        		
                        		
                        			
			                        
			                        	이는 하늘이 너에게 주시는 것이니,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하였다. 
			                              
                        			
                        		
                        		
	                     		
			                       	
			                       	
	                     		
		                        
                        	
		                        
		                        
		                        
		                        
                        		
                        	
		                        
		                        
		                        
		                        	
		                        	
		                        
		                        
                        		
                        		
                        			
			                        
			                        	약갈라藥葛羅가 말하기를 “우리가 복고회은僕固懷恩 탓에 잘못되어 공公을 저버림이 실로 깊으니, 지금 공을 위하여 힘을 다해 토번吐蕃을 공격해서 사과할 것을 청합니다.” 하였다.
			                              
                        			
                        		
                        		
	                     		
			                       	
			                       	
	                     		
		                        
                        	
		                        
		                        
		                        
		                        
                        		
                        	
		                        
		                        
		                        
		                        	
		                        	
		                        
		                        
                        		
                        		
                        			
			                        
			                        	회흘回紇의 구경하는 자들이 양 날개처럼 좌우로 나뉘어 점점 앞으로 나오자 곽자의郭子儀의 휘하 또한 앞으로 나오니, 곽자의郭子儀가 손을 저어 퇴각시키고 인하여 술을 가져다가 그 추장酋長들과 함께 술을 마셨다. 
			                              
                        			
                        		
                        		
	                     		
			                       	
			                       	
	                     		
		                        
                        	
		                        
		                        
		                        
		                        
                        		
                        	
		                        
		                        
		                        
		                        	
		                        	
		                        
		                        
                        		
                        		
                        			
			                        
			                        	곽자의郭子儀가 비단 3천 필을 회흘回紇에 보내고 끝내 그들과 맹약을 정하고 돌아오니, 토번吐蕃이 이 소식을 듣고 밤에 군대를 이끌고 도망갔다. 
			                              
                        			
                        		
                        		
	                     		
			                       	
			                       	
	                     		
		                        
                        	
		                        
		                        
		                        
		                        
                        		
                        	
		                        
		                        
		                        
		                        	
		                        	
		                        
		                        
                        		
                        		
                        			
			                        
			                        	약갈라藥葛羅가 군대를 이끌고 
토번吐蕃을 추격하였는데, 
곽자의郭子儀가 
백원광白元光으로 하여금 정예 기병을 인솔하게 하여 
회흘回紇과 함께 
영대현靈臺縣의
注+[頭註]영대靈臺는 현縣의 이름이다. 서원西原에서 
토번吐蕃과 교전하여 크게 격파하고 
토번吐蕃을 죽인 것이 만 명으로 헤아려졌다.
 
			                              
                        			
                        		
                        		
	                     		
			                       	
			                       	
	                     		
		                        
                        	
		                        
		                        
		                        
		                        
                        		
                        	
		                        
		                        
		                        
		                        	
		                        	
		                        
		                        
                        		
                        		
                        			
			                             
                        			
                        		
                        		
	                     		
			                       	
			                       	
	                     		
		                        
                        	
		                        
		                        
		                        
		                        
                        		
                        	
		                        
		                        
		                        
		                        	
		                        	
		                        
		                        
                        		
                        		
                        			
			                        
			                        	“공자孔子께서 이르시기를, ‘말이 충신忠信하고 행실이 독경篤敬(篤厚하고 공경恭敬)하면 비록 오랑캐 나라라도 행해진다.’ 하셨다. 
			                              
                        			
                        		
                        		
	                     		
			                       	
			                       	
	                     		
		                        
                        	
		                        
		                        
		                        
		                        
                        		
                        	
		                        
		                        
		                        
		                        	
		                        	
		                        
		                        
                        		
                        		
                        			
			                        
			                        	곽자의郭子儀가 경무장輕武裝한 기병으로 오랑캐를 만났으나, 오랑캐가 감히 해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또 그의 말을 듣고서 강해講解하고 떠나가서 수십만 명이 힘써 싸운 공功보다 나았던 것은 오직 충신忠信이 그들을 충분히 감동시켰기 때문일 뿐이다.
			                              
                        			
                        		
                        		
	                     		
			                       	
			                       	
	                     		
		                        
                        	
		                        
		                        
		                        
		                        
                        		
                        	
		                        
		                        
		                        
		                        	
		                        	
		                        
		                        
                        		
                        		
                        			
			                        
			                        	그러나 충신忠信은 하루 아침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쌓기를 오랫동안 하고 행한 것이 이미 드러나서 이름이 실제에 나타나고 효과가 먼 곳에 드러나면, 그 음성音聲과 용모容貌가 또한 장차 남에게 믿어지게 될 것이니, 이것이 회흘回紇의 여러 추장들이 병기를 버리고 말에서 내려서 곽자의郭子儀에게 절한 이유이다.
			                              
                        			
                        		
                        		
	                     		
			                       	
			                       	
	                     		
		                        
                        	
		                        
		                        
		                        
		                        
                        		
                        	
		                        
		                        
		                        
		                        	
		                        	
		                        
		                        
                        		
                        		
                        			
			                        
			                        	어찌 거짓으로 설득하여 요행僥倖을 바랄 수 있었겠는가.
			                              
                        			
                        		
                        		
	                     		
			                       	
			                       	
	                     		
		                        
                        	
		                        
		                        
		                        
		                        
                        		
                        	
		                        
		                        
		                        
		                        	
		                        	
		                        
		                        
                        		
                        		
                        			
			                        
			                        	《주역周易》의 사괘師卦에 이르기를, ‘군대의 출동 명분이 바르고 장인丈人(노련한 장수)이 통솔하여야 길하다.’ 하였으니, 곽자의郭子儀가 이에 가까울 것이다.”
			                              
                        			
                        		
                        		
	                     		
			                       	
			                       	
	                     		
		                        
                        	
		                        
		                        
		                        
		                        
                        		
                        	
		                        
		                        
		                        
		                        	
		                        	
		                        
		                        
                        		
                        		
                        			
			                        
			                        	처음에 
숙종肅宗이 
내시內侍인 
어조은魚朝恩을 
영신책군사領神策軍使로 임명하여 그 군대를 모두 
금중禁中에 귀속시켰으나 아직도 
북군北軍과 나란히 나열될 수가 없었는데,
注+[頭註]치齒는 나란히 나열된 것이 이[齒]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신책군神策軍은 북군北軍의 아래에 있었으니, 북군北軍은 우림羽林과 만기萬騎의 등속이다. 39권卷 정미년丁未年(707) 천기千騎의 주註에 보인다.  이때에 이르러 
어조은魚朝恩이 
신책군神策軍을 이끌고 
상上을 따라 
원중苑中에 주둔하니, 그 형세가 점점 강성해져서 
신책군神策軍을 
좌상左廂과 
우상右廂으로 나누어 
북군北軍의 위에 있게 되었다.
      
                        			
                        		
                        		
	                     		
			                       	
			                       	
	                     		
		                        
                        	
		                        
		                        
		                        
		                        
                        		
                        	
		                        
		                        
		                        
		                        	
		                        	
		                        
		                        
                        		
                        		
                        			
			                        
			                        	- 그 후 환관들이 병권을 맡아서 끝내 당唐나라가 멸망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