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5)

통감절요(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庚申]四年이라 〈秦甘露二年이라
○ 燕幽帝慕容暐建熙元年이라
正月 燕主雋 疾篤하야 召大司馬, 太原王恪하야 受遺詔輔政而卒하니 太子暐卽位하다
○ 朝廷 初聞燕主雋卒하고 皆以爲中原可圖라호되 桓溫曰 慕容恪 尙在하니 憂方大耳라하더라
○ 謝安 少有注+[頭註] 言自少重名하야 前後 皆不就하고 寓居會稽하야 以山水文籍自娛하니 雖爲布衣 時人 皆以公輔期之
士大夫至相謂曰 安石 不出하니 當如蒼生何오하니라
年四十餘 桓溫 請爲司馬한대 乃赴召하니 大喜하야 深禮重之러라


승평升平 4년(경신 360) - 나라 감로甘露 2년이다.
나라 유제幽帝 모용위慕容暐건희建熙 원년元年이다. -
정월에 연주燕主 모용준慕容雋이 병이 위독해지자, 대사마大司馬태원왕太原王 모용각慕容恪을 불러서 유조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게 하고 죽으니, 태자太子 모용위慕容暐가 즉위하였다.
나라 조정에서 처음에 연주燕主 모용준慕容雋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모두 중원中原을 수복할 수 있다고 여겼으나 환온桓溫이 말하기를 “모용각慕容恪이 아직 살아 있으니, 우환이 한창 크다.” 하였다.
사안謝安이 젊어서부터注+[頭註]는 젊어서부터라는 뜻이다. 두터운 명망이 있어서 전후의 부름에 모두 나아가지 않고 회계會稽에 우거하여 산수山水문적文籍을 스스로 즐기니, 비록 포의의 신분이었으나 세상 사람들이 모두 공경公卿재보宰輔로 기대하였다.
사대부들이 심지어 서로 이르기를 “안석安石(謝安)이 세상에 나오지 않으니, 천하의 백성을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하였다.
나이 40여 세에 환온桓溫사마司馬가 될 것을 청하자 사안謝安이 마침내 부름에 달려가니, 환온桓溫이 크게 기뻐하여 매우 예우하고 소중히 여겼다.


역주
역주1 徵辟 : 布衣를 불러서 出仕하게 하는 것을 이르는데, 조정에서 부르는 것을 徵이라 하고, 三公 이하가 부르는 것을 辟이라 한다.

통감절요(5)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