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2)

통감절요(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庚午]六年이라
南越이어늘 以其地 爲南海, 珠厓等九郡注+[釋義]南海 秦故郡也 今廣州是也 珠厓 地在大海中崖岸之邊하니 出珠일새 因以名郡하니라하고 遂平南夷하고 以其地하다
○ 是歲 齊相卜式 爲御史大夫하야 乃言호되
郡國 多不便하야 縣官 作鹽鐵 苦惡價貴注+[釋義]王氏曰 言鹽旣苦而鐵器又惡이라 故買賣貴也 又音古 言鐵器苦窳不好 凡病之器曰苦窳 窳音庾 苦如字讀 亦通이라어늘 或强令民買之하고 而船有算하니 商者少하고 物貴라한대
由是 不悅卜式이러라
〈以上 出史平準書〉
[新增] 胡氏曰
武帝好武功而用不足이어늘으로 中上意라가 官旣尊矣 乃始正言以邀名이라
이나 其言則天下之公議
擧朝不言而式獨言之하니 聽者姑取節焉 可也니라
○ 以卜式不習文章이라하야 貶秩爲太子太傅하고 以兒寬으로 代爲御史大夫하다
〈以上 出漢書本傳〉
班固贊曰
公孫弘, 卜式, 兒寬 皆以鴻漸之翼注+[通鑑要解]漸卦傳曰 鴻之爲物 至有時而群有序하니 不失其時序乃爲漸也 朱子曰 鴻之行 有序而進也으로 困於燕爵注+[頭註] 與雀通하니 未進之時 爲燕雀所輕이라하야 遠迹羊豕之間하니 非遇其時 焉能致此位乎
是時 漢興六十餘歲 海內乂安하야 府庫充實이나 而四夷未賓하고 制度多闕이라
上方欲用文武하야 求之如弗及하야 始以蒲輪迎枚生하고 見主父而歎息하니 群士慕嚮하야 異人竝出이라
卜式 拔於芻牧하고 弘羊 擢於賈豎하고 衛靑 奮於奴僕하고 日磾 出於降虜하니 斯亦曩時版築注+[附註] 傅氏之巖 有澗水壞道하야 常使胥靡築之러니 賢而隱하야 代築供食이라 古者 相隨坐호되 罪不至扑刑者 令衣褐帶索하야 相隨而執役也하니라 漢之得人 於茲爲盛이라
儒雅則公孫弘董仲舒兒寬이요 篤行則石建石慶이요 質直則汲黯卜式이요 推賢則韓安國鄭當時 定令則趙禹張湯이요 文章則司馬遷相如 滑稽注+[附註]轉利之稱이니 音骨이니 亂也 音雞 同也 言辯捷之人 言非若是하고 言是若非하야 能亂同異也 又稽 考也 言可滑亂하야 不可考校也則東方朔枚皐 應對則嚴助朱買臣이요 曆數則唐都洛下閎이요 協律則李延年이요 運籌則桑弘羊이요 奉使則張騫蘇武 將率(帥)注+[頭註] 帥通하니 力足以將物而勝之謂將이요 智足以率人而先之謂帥則衛靑霍去病이요 受遺則霍光金日磾 其餘 不可勝紀
是以 興造功業하야 制度遺文 後世莫及이니라
司馬相如病且死 有遺書하야 頌功德하고 言符瑞하야 勸上封泰山注+[釋義]在泰安州北三里 一曰岱宗이니 東岳也 在兗州博城西北三十里 郭璞云 從山下至山顚 百四十八里三百步이어늘 感其言하야 令諸儒 草封禪儀注+[釋義]服虔曰 封 增土之高하야 歸功于天이요 闢廣土地也 張晏曰 天高不可及일새 於泰山上 封禪而祭하니 冀近神靈也 瓚曰 積土爲封이니 謂(加)[負]土於泰山上하야 爲壇而祭之 除地爲墠이니 祭於梁父러니 后改墠爲禪하니 神之矣 祭尙玄酒而俎魚하고 墠皆廣長十二丈이요 壇高三尺이요 階三等이며 而樹石泰山之上하니 高二丈一尺이요 廣三尺이라러니 數年不成이라
以問左內史兒寬한대 對曰
封泰山, 禪梁注+[釋義]泰山下小山名也 因以名縣하니 屬泰山郡이라 一曰梁父 在兗州泗水縣北八十里 音甫하야 昭姓考瑞注+[釋義]王氏曰 昭姓 謂昭顯其姓氏也 古者 必建同姓하야 以明親親하고 必樹異姓하야 以明賢賢이라 玉也 卽其符合하야 言之曰瑞 考瑞 謂考核其瑞信이니 卽書所謂輯五瑞也 按輯五瑞 詳見書舜典篇이라 帝王之盛節也
以爲封禪告成하야 合祛於天地注+[頭註] 閉也 開敞也 開閉於天地也 唯聖王 所由制定其當이니 非群臣之所能列이라
今將擧大事호되 優游數年하야 使群臣으로 得人人自盡하니 終莫能成이라
唯天子建中和之極하야 兼總條貫하야 金聲而玉振之注+[釋義]王氏曰 言振揚德音 如金玉之聲也 孟子云 孔子之謂集大成이니 集大成也者 金聲而玉振之也 金聲也者 始條理也 玉振之也者 終條理也라한대 朱子註 鐘屬이요 宣也 如聲罪致討之聲이라 磬屬이요 收也 如振河海而不洩之振이라 樂有하니 金石爲重하야 特爲衆音之綱紀 又金始振而玉終詘然也 故竝奏八音이면 則於其未作而先擊鎛鐘하야 以宣其聲하고 俟其旣闋而後 擊特(聲)[磬]하야 以收其韻이라하니라하나니 以順成天慶하야 垂萬世之基하소서
乃自制儀호되 頗采儒術以文之러라
〈出寬本傳〉


원정元鼎 6년(경오 B.C.111)
남월南越이 평정되자 그 땅으로 남해南海주애珠厓 등 아홉 注+[釋義]남해南海나라의 옛 고을이니, 지금의 광주廣州가 이곳이다. 주애珠厓는 땅이 큰 바다 가운데의 언덕 가에 있는데, 진주가 나오므로 인하여 의 이름을 삼은 것이다. 만들었으며, 마침내 남이南夷를 평정하고 그 땅으로 장가군牂柯郡을 만들었다.
이 해에 제상齊相복식卜式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말하기를
군국郡國이 불편한 일이 많아서 현관縣官이 소금과 철을 만들 적에 조악粗惡하면서 값이 비싼데도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소금은 맛이 쓰고 철기鐵器는 질이 또 나쁘다. 그러므로 매매할 때에 값이 비싸다고 말한 것이다. 는 또 음이 고이니, 철기가 하자가 있어 좋지 못함을 말한다. 무릇 하자가 있는 기물을 고유苦窳라 하니, 는 음이 유이다. 본자本字(쓰다)와 같이 읽어도 또한 통한다.” 간혹 강제로 백성들에게 이것을 사게 하고 배에 세금을 매기니, 장사하는 자들이 적어지고 물건값이 비쌉니다.” 하였다.
이 이로 말미암아 복식卜式을 좋아하지 않았다.
- 이상은 《사기史記평준서平準書》에 나옴 -
호씨胡氏가 말하였다.
무제武帝무공武功을 좋아하였는데 재용財用이 부족하자, 복식卜式이 이 두 가지로써 황제의 뜻을 맞혔다가 관직이 높아지자 비로소 바른말을 하여 명예를 구하였다.
그러나 그 말은 천하天下공론公論이다.
온 조정의 신하가 말하지 않는데 복식卜式만이 이것을 말하였으니, 듣는 자가 우선 그 한 부분을 취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복식卜式이 문장을 익히지 못했다 하여 품계를 낮추어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삼고, 아관兒寬을 대신 어사대부御史大夫로 삼았다.
- 이상은 《한서漢書복식전卜式傳》에 나옴 -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공손홍복식아관전公孫弘卜式兒寬傳에 말하였다.
공손홍公孫弘복식卜式아관兒寬이 모두 하늘 높이 날아오를 수 있는 큰 기러기의 날개와注+[通鑑要解]주역周易점괘漸卦정전程傳에 이르기를 “기러기란 물건은 오는 것이 일정한 때가 있고 무리에 질서가 있으니, 때와 질서를 잃지 않는 것이 이다.” 하였다.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기러기의 행렬은 질서가 있게 나아간다.” 하였다. 같은 큰 인물로 제비와 참새 같은 자질구레한 무리에게 곤궁을 당하여注+[頭註]困於燕爵 :과 통하니, 기러기(군자)가 벼슬에 나아가기 전에 제비나 참새(소인)에게 경시당하는 것이다. 양과 돼지가 사는 오랑캐 사이에 멀리 있었으니, 그때를 만나지 않았으면 어찌 이러한 지위를 이룰 수 있었겠는가.
이때는 나라가 일어난 지 60여 년이 되어서 해내海內가 다스려지고 편안하여 창고가 꽉 찼으나 사방 오랑캐들이 복종하지 않았고 제도制度에 미비한 점이 많았다.
이 막 문무文武의 신하를 등용하고자 하여 이들을 미치지 못할 듯이 힘써 찾아내어, 처음으로 편안한 수레로 매생枚生(枚皐)을 맞이하고 주보언主父偃을 만나 보고는 탄식하니, 여러 선비들이 우러르고 사모하여 이인異人(비범한 사람)들이 함께 나왔다.
복식卜式은 꼴을 베고 짐승을 먹이던 신분에서 발탁되었고 상홍양桑弘羊은 장사꾼의 신분에서 발탁되었으며 위청衛靑은 노예 출신으로 등용되었고 김일제金日磾는 항복한 포로 출신이었으니, 이들 또한 예전에 판축版築을 하고注+[附註]판축版築을 한 것은 부열傅說이다. 부씨傅氏의 바위에 계곡물이 있어 길이 유실되므로 항상 서미胥靡(가벼운 죄를 지은 죄수)로 하여금 이것을 쌓게 하였는데, 부열傅說이 어질면서 은둔하여 서미胥靡 대신 길을 닦아 양식을 공급하였다. 옛날에 서로 연좌되었으나 죄가 곤장을 치는 형벌에 이르지 않는 자는 갈옷을 입히고 새끼로 띠를 매고 서로 따라 부역하게 하였는 바, 이것을 서미胥靡라 하였다. 소를 먹이던 무리이니, 나라가 인재를 얻음이 이에 성하였다.
학자의 고상함으로는 공손홍公孫弘동중서董仲舒, 아관兒寬이었고, 독실한 행실로는 석건石建석경石慶이었고, 질박하고 정직함으로는 급암汲黯복식卜式이었고, 현자로 추앙받은 것은 한안국韓安國정당시鄭當時였고, 법령을 제정한 것은 조우趙禹장탕張湯이었고, 문장文章사마천司馬遷사마상여司馬相如였고, 골계滑稽注+[附註]골계滑稽는 매끄럽게 빨리 돌리는 명칭이다. 은 음이 골이니 어지럽힘이요, 는 음이 계이니 같음이다. 말을 잘하고 빨리하는 사람은 그른 것을 말하면서 옳은 것처럼 하고 옳은 것을 말하면서 그른 것처럼 하여 동이同異를 혼란시킴을 말한 것이다. 또 는 상고함이니, 혼란하여 상고할 수 없음을 말한다. 동방삭東方朔매고枚皐였고, 응대는 (莊)助와 주매신朱買臣이었고, 역법曆法당도唐都낙하굉洛下閎이었고, 협률協律이연년李延年이었고, 산대를 움직여 계산을 잘한 것은 상홍양桑弘羊이었고, 사명使命을 잘 받든 것은 장건張騫소무蘇武였고, 장수는注+[頭註]와 통하니, 힘이 남을 거느려 이길 수 있음을 이라 이르고, 지혜가 남보다 뛰어나서 솔선할 수 있음을 라 이른다. 위청衛靑곽거병霍去病이었고, 유명遺命을 받은 것은 곽광霍光김일제金日磾였으니, 그 나머지는 이루 다 기록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공업功業을 창조하여 훌륭한 제도制度유문遺文을 후세에서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처음에 사마상여司馬相如가 병들어 장차 죽으려 할 때에 유서를 남겨 황제의 공덕功德을 칭송하고 상서로운 조짐을 말하여 에게 태산泰山注+[釋義]태산泰山태안주泰安州 북쪽 3리 지점에 있다. 일명 대종岱宗이라고도 하니, 동악東岳으로, 연주兗州박성博城 서북쪽 30리에 있다. 곽박郭璞이 이르기를 “산 아래로부터 산 정상까지 148 3백보百步이다.” 하였다. 봉선封禪할 것을 권하였는데, 이 그의 말에 감동하여 여러 유신儒臣들로 하여금 봉선封禪하는 의식을注+[釋義]복건服虔이 말하였다. “은 흙을 더 쌓아 높여서 하늘에 을 돌리는 것이고, 은 땅을 넓게 고르는 것이다.” 장안張晏이 말하였다. “하늘이 높아서 미칠 수 없으므로 태산泰山 위에 봉선封禪하고 제사하는 것이니, 신령神靈과 가까워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설찬薛瓚이 말하였다. “흙을 쌓는 것을 이라 하니 태산泰山 위에 흙을 져다 부어서 을 만들어 제사함을 이르고, 땅을 닦는 것을 이라 하니 양보梁父에 제사하였는데 뒤에 을 고쳐 이라 하였으니, 으로 여긴 것이다.” 제사할 때에 현주玄酒를 위에 놓고 어물魚物을 도마에 올리며, 터는 모두 너비와 길이가 12이고 의 높이가 3이고 계단이 세 등급이며, 태산泰山의 위에 비석을 세우니, 높이가 2 1이고 넓이가 3이다. 기초하게 하였으나 몇 년이 되어도 이루지 못하였다.
좌내사左內史아관兒寬에게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태산泰山하고 양보梁父注+[釋義]양보梁父태산泰山 아래 작은 산의 이름이니, 인하여 의 이름으로 삼았으니 태산군泰山郡에 속하였다. 일설一說에 “양보梁父연주兗州사수현泗水縣의 북쪽 80리에 있다.” 하였다. 는 음이 보이다. 을 하여 성씨姓氏를 밝히고 서옥瑞玉을 상고함은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소성昭姓은 그 성씨를 밝힘을 이르니, 옛날에 반드시 동성同姓을 제후로 세워서 친친親親을 밝히고, 반드시 이성異姓을 세워서 현현賢賢을 밝혔다. 이니, 그 부합함을 가지고 말하여 라 한 것이다. 고서考瑞는 그 서신瑞信을 상고함을 이르니, 바로 《서경書經》에 이른바 ‘다섯 가지 서옥瑞玉을 모은다.’는 것이다. 살펴보건대 다섯 가지 서옥瑞玉을 모음은 《서경書經》 〈순전편舜典篇채침蔡沈에 자세히 보인다.”제왕帝王의 성대한 일입니다.
신이 생각하건대 봉선封禪이 이루어졌음을 고하여 천지天地신명神明에게 합하여 제사함은注+[頭註]은 닫음이고 는 엶이니, 천지天地에 맞추어 열고 닫는 것이다. 오직 성왕聖王만이 그 마땅한 제도를 제정할 수 있는 것이니, 여러 신하들이 나열(참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장차 큰 일을 거행하려 하되 몇 년을 한가로이 보내어 여러 신하들로 하여금 사람마다 스스로 의견을 다 말하게 하니, 끝내 이루어지지 못할 것입니다.
오직 천자天子만이 중화中和의 표준을 세워서 여러 조관條貫(條理)을 겸하여 총괄해서 으로 소리를 퍼뜨리고 으로 거두니,注+[釋義]兼總條貫 금성이옥진지金聲而玉振之:왕씨王氏가 말하였다. “덕음德音을 떨쳐 드날림을 금옥金玉의 소리와 같이 함을 말한 것이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공자孔子를 일러 집대성集大成이라 하니, 집대성集大成이라는 것은 으로 소리를 퍼뜨리고 으로 거두는 것이다. 으로 퍼뜨린다는 것은 조리條理를 시작하는 것이고, 으로 거둔다는 것은 조리條理를 끝마치는 것이다.’ 하였는데, 주자朱子에 ‘ 따위이고 은 소리를 퍼뜨림이니, 죄를 성토聲討하여 토벌한다는 성자聲字와 같다. 은 경쇠의 등속이고 은 거둠이니, 《중용中庸》의 「河海를 거두어도 새지 않는다.」는 과 같다. 음악은 팔음八音이 있는데, (玉)이 중요하여 특별히 여러 음의 기강紀綱이 되고, 또 으로 처음 소리를 떨치고 으로 끝에 거둔다. 그러므로 팔음八音의 악기를 모두 연주하게 되면 풍악을 일으키기 전에 먼저 큰 종을 쳐서 그 소리를 퍼뜨리고, 풍악이 끝나기를 기다린 뒤에 한 번 석경石磬을 쳐서 그 을 거두는 것이다.’ 하였다.” 하늘의 경사를 순히 이루시어 만세萬世의 기업을 드리우소서.”
이 이에 스스로 봉선封禪의 의식을 제정하되 유학儒學을 자못 채택하여 문식하였다.
- 《한서漢書아관전兒寬傳》에 나옴 -


역주
역주1 九郡 : 南海, 蒼梧, 鬱林, 合浦, 交趾, 九眞, 日南, 珠厓, 儋耳이다.
역주2 牂柯 : 장가
역주3 以此兩端 : 위의 元狩 4년(壬戌)에 卜式이 ‘어진 자는 마땅히 변방에서 몸을 바쳐 죽어야 하고, 재물이 있는 자는 마땅히 국가에 바쳐야 한다.’고 말한 것을 가리킨다.
역주4 版築飯牛之朋 : 版築은 성이나 담장을 쌓는 것이며 飯牛는 소에게 여물을 먹이는 것으로, 殷나라의 傅說은 집이 가난하여 죄수들을 대신하여 版築하다가 殷王武丁에게 등용되었으며, 百里奚와 甯戚은 소를 먹이다가 秦穆公과 齊桓公에게 각각 등용되었다.
역주5 : 열
역주6 : 보
역주7 蔡氏傳 : 蔡沈의 《書經集傳》에 “瑞는 信物이니, 公은 桓圭, 侯는 信圭, 伯은 躬圭, 子는 穀璧, 男은 蒲璧인 바, 5등의 제후가 이것을 잡아 天子에게 符節을 합하여 진실한가의 여부를 징험하는 것이다.” 하였다.
역주8 : 기
역주9 八音 : 쇠[金], 돌[石], 실[絲], 대나무[竹], 박[匏], 흙[土], 가죽[革], 나무[木] 등 여덟 가지 소재로 만든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로, 金은 종 따위이고, 石은 石磬, 絲는 거문고 따위의 현악기, 竹은 피리 따위의 관악기, 匏는 笙簧, 土는 塤, 革은 북 따위, 木은 柷敔이다.
동영상 재생
1 [경오] 6년
동영상 재생
2 [경오] 6년 51
동영상 재생
3 [경오] 6년 128
동영상 재생
4 [경오] 6년 73
동영상 재생
5 [경오] 6년 367

통감절요(2) 책은 2022.01.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