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武氏旣廢中宗이어늘 而朱子猶書帝者는 不予武氏之廢也니 雖因范氏나 亦本春秋之法이라
			                         
                        		
                        		
                        		
	                     		
			                       	
			                       	
	                     		
	                     		
		                        
                        	
                        	
                        	
                        	
                        		
                        			
                        			
			                        
			                        	故로 今此書에 每歲添載帝之所在者는 本朱子綱目之法也니라
			                         
                        		
                        		
                        		
	                     		
			                       	
			                       	
	                     		
	                     		
		                        
                        	
                        	
                        	
                        	
                        		
                        			
                        			
			                        
			                        	或曰 太后廢帝爲廬陵王하고 立豫王旦矣니 今此謂帝者는 安疑其非豫王耶아 曰 非也라
			                         
                        		
                        		
                        		
	                     		
			                       	
			                       	
	                     		
	                     		
		                        
                        	
                        	
                        	
                        	
                        		
                        			
                        			
			                        
			                        	武后之僞立者를 又稱爲帝면 則名實亂而無別矣니 其可乎아
			                         
                        		
                        		
                        		
	                     		
			                       	
			                       	
	                     		
	                     		
		                        
                        	
                        	
                        	
                        	
                        		
                        			
                        			
			                        
			                        	三月
에 太后命鑄銅爲匭
注+[釋義]朝堂四匭에 塗以方色하야 靑曰延恩이라하야 在東하고 丹曰招諫이라하야 在南하고 白曰伸寃이라하야 在西하고 黑曰通玄이라하야 在北하니라[通鑑要解] 太后自知內行不正하야 人心不服하고 開告密之門하야 有告密者면 不次除官이라 有者 請鑄銅爲匭하야 以受天下密奏하니 其器一室四隔하고 上各有竅하야 可入不可出이라 太后善之하니라 하야 置之朝堂
하야 以受天下表疏
하다 
                        		
                        		
                        		
	                     		
			                       	
			                       	
	                     		
	                     		
		                        
                        	
                        	
                        	
                        	
                        		
                        			
                        			
			                        
			                        	○ 太后自徐敬業之反으로 疑天下人이 多圖己하고 又自以久專國事하고 內行不正하야 知宗室大臣이 怨望心不服하고 欲大誅殺以威之하야
			                         
                        		
                        		
                        		
	                     		
			                       	
			                       	
	                     		
	                     		
		                        
                        	
                        	
                        	
                        	
                        		
                        			
                        			
			                        
			                        	乃盛開告密之門
하고 有告密者言或稱旨
면 則
하고 無實者
는 不問
하니 於是
에 四方告密者蜂起
하야 人皆
重足注+[頭註]謂重累其足跡하고 不敢亂行이니 言畏之甚也라 屛息이러라 
                        		
                        		
                        		
	                     		
			                       	
			                       	
	                     		
	                     		
		                        
                        	
                        	
                        	
                        	
                        		
                        			
                        			
			                        
			                        	有胡人
元禮 知太后意
하고 因告密
이어늘 召見
하고 擢爲游擊將軍
하야 令按
하니 
                        		
                        		
                        		
	                     		
			                       	
			                       	
	                     		
	                     		
		                        
                        	
                        	
                        	
                        	
                        		
                        			
                        			
			                        
                        		
                        		
                        		
	                     		
			                       	
			                       	
	                     		
	                     		
		                        
                        	
                        	
                        	
                        	
                        		
                        			
                        			
			                        
                        		
                        		
                        		
	                     		
			                       	
			                       	
	                     		
	                     		
		                        
                        	
                        	
                        	
                        	
                        		
                        			
                        			
			                        
			                        	俊臣이 與萬國俊으로 共撰羅織經數千言하야 敎其徒호되 網羅無辜하야 織成反狀하니 構造布置皆有支節이라
			                         
                        		
                        		
                        		
	                     		
			                       	
			                       	
	                     		
	                     		
		                        
                        	
                        	
                        	
                        	
                        		
                        			
                        			
			                        
			                        	太后得告密者
면 輒令元禮等推之
하니 競爲訊囚酷法
하고 作大枷
라 有
等名號
하니 
                        		
                        		
                        		
	                     		
			                       	
			                       	
	                     		
	                     		
		                        
                        	
                        	
                        	
                        	
                        		
                        			
                        			
			                        
                        		
                        		
                        		
	                     		
			                       	
			                       	
	                     		
	                     		
		                        
                        	
                        	
                        	
                        	
                   			
                        	
                        	
                        	
                        	
	                       	
	                       	
	                       	
	                       	
							                       	
	                        
	                        
	                        	
	                        
	                        	
	                        
	                        	
	                        
	                        	
	                        
	                        	
	                        
	                        	
	                        
	                        	
	                        
	                        	
	                        
	                        	
	                        
	                        	
	                        
	                        	
	                        
	                        	
	                        
	                        	
	                        
	                        	
	                        
	                        	
	                        
	                        	
	                        
	                        	
	                        
	                        	
	                        
	                        	
	                        
	                        	
	                        
	                        	
	                        
	                        	
	                        
	                        	
	                        
	                        	
	                        
	                        	
	                        
	                        	
	                        
	                        	
	                        
	                        	
	                        
	                        	
	                        
	                        	
	                        
	                        	
	                        
	                        	
	                        
	                        
	                        
                        	
		                        
		                        
		                        
		                        
                        		
                        	
		                        
		                        
		                        
		                        	
		                        	
		                        
		                        
                        		
                        		
                        			
			                        
			                        	사성嗣聖 3년(병술 686) - 태후太后수공垂拱 2년 -
			                              
                        			
                        		
                        		
	                     		
			                       	
			                       	
	                     		
		                        
                        	
		                        
		                        
		                        
		                        
                        		
                        	
		                        
		                        
		                        
		                        	
		                        	
		                        
		                        
                        		
                        		
                        			
			                             
                        			
                        		
                        		
	                     		
			                       	
			                       	
	                     		
		                        
                        	
		                        
		                        
		                        
		                        
                        		
                        	
		                        
		                        
		                        
		                        	
		                        	
		                        
		                        
                        		
                        		
                        			
			                        
			                        	[新增]옛날(春秋時代)에 계씨季氏가 그 군주를 축출하자 《춘추春秋》에 ‘공公이 건후乾侯에 있었다.[公在乾侯]’라고 써서 반드시 소공昭公이 있는 곳을 기록하였다.
			                              
                        			
                        		
                        		
	                     		
			                       	
			                       	
	                     		
		                        
                        	
		                        
		                        
		                        
		                        
                        		
                        	
		                        
		                        
		                        
		                        	
		                        	
		                        
		                        
                        		
                        		
                        			
			                        
			                        	지금 무씨武氏가 이미 중종中宗을 폐위하였는데 주자朱子가 아직도 제帝라고 쓴 것은 무씨武氏가 폐위시킨 것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니, 비록 범씨范氏(范祖禹)를 따른 것이나 또한 《춘추春秋》의 필법에 근본한 것이다.
			                              
                        			
                        		
                        		
	                     		
			                       	
			                       	
	                     		
		                        
                        	
		                        
		                        
		                        
		                        
                        		
                        	
		                        
		                        
		                        
		                        	
		                        	
		                        
		                        
                        		
                        		
                        			
			                        
			                        	지금 이 《통감절요通鑑節要》에서 매년 황제가 있는 곳을 덧붙여 기재한 것은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필법에 근본한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태후太后가 황제(중종)를 폐위하여 여릉왕廬陵王으로 삼고 예왕豫王이단李旦을 세웠으니, 지금 여기서 제帝라고 이른 것은 예왕豫王이 아니라고 어찌 의심하겠는가.”라고 하니,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무후武后가 불법으로 세운 자를 또 황제라고 칭한다면 이름과 실제가 문란하여 분별이 없게 되니, 어찌 가하겠는가.” 하였다.
			                              
                        			
                        		
                        		
	                     		
			                       	
			                       	
	                     		
		                        
                        	
		                        
		                        
		                        
		                        
                        		
                        	
		                        
		                        
		                        
		                        	
		                        	
		                        
		                        
                        		
                        		
                        			
			                        
			                        	3월에 
태후太后가 명하여 구리를 주조하여 궤를 만들어서
注+[釋義]조당朝堂의 네 궤에 각각 방위에 따라 색을 칠하여, 푸른색 궤는 연은延恩이라 하여 동쪽에 두고, 붉은색 궤는 초간招諫이라 하여 남쪽에 두고, 흰색 궤는 신원伸寃이라 하여 서쪽에 두고, 검은색 궤는 통현通玄이라 하여 북쪽에 두었다. [通鑑要解] 〈이경업李敬業(徐敬業)의 반란 이후로〉太后는 스스로 내행內行(평소 집안에 있을 때의 조행操行)이 바르지 않아서 인심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밀고하는 문로를 열어 놓아 밀고하는 자가 있으면 품계를 뛰어넘어 관직을 제수하였다. 어보가魚保家라는 자가 구리를 주조하여 궤를 만들어서 천하의 밀주密奏를 받아들일 것을 청하였다. 이 기물은 한 방을 네 칸으로 나누고 위에 각각 구멍이 있어서 넣을 수는 있으나 꺼낼 수는 없었는데, 태후太后가 좋게 여겼다. 조당朝堂에 두고 천하의 
표문表文과 상소문을 받게 하였다.
      
                        			
                        		
                        		
	                     		
			                       	
			                       	
	                     		
		                        
                        	
		                        
		                        
		                        
		                        
                        		
                        	
		                        
		                        
		                        
		                        	
		                        	
		                        
		                        
                        		
                        		
                        			
			                        
			                        	태후太后가 서경업徐敬業이 반란을 일으킨 뒤로 천하 사람들 중에 자신을 도모하는 자가 많은가 의심하고, 또 스스로 생각하기를 오랫동안 국사를 전횡하고 내행內行이 바르지 못하여 종실 대신들이 원망하고 마음으로 복종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크게 죄를 가하여 죽여서 위엄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밀고하는 문로를 크게 열어 놓고, 밀고하는 자의 말이 혹 자신의 뜻에 맞으면 품계를 뛰어넘어 관직을 제수하고 사실 무근인 것은 불문에 부치니, 이에 사방에서 밀고하는 자가 벌떼처럼 일어나서 사람들마다 모두 두려워하여 발을 포개어 서고
注+[頭註]중족重足은 발자국을 포개고 감히 어지럽게 걷지 못하는 것을 이르니, 두려움이 심함을 말한다.  숨을 죽였다.
      
                        			
                        		
                        		
	                     		
			                       	
			                       	
	                     		
		                        
                        	
		                        
		                        
		                        
		                        
                        		
                        	
		                        
		                        
		                        
		                        	
		                        	
		                        
		                        
                        		
                        		
                        			
			                        
			                        	오랑캐 사람 삭원례索元禮가 태후의 뜻을 알고 밀고하자, 태후가 불러 보고 발탁하여 유격장군游擊將軍을 삼아서 제옥制獄(詔獄)을 심리하게 하였다. 
			                              
                        			
                        		
                        		
	                     		
			                       	
			                       	
	                     		
		                        
                        	
		                        
		                        
		                        
		                        
                        		
                        	
		                        
		                        
		                        
		                        	
		                        	
		                        
		                        
                        		
                        		
                        			
			                        
			                        	삭원례索元禮는 성질이 잔인하여 한 사람을 추고할 때에 반드시 수십 명 내지 백 명을 끌어들였다.
			                              
                        			
                        		
                        		
	                     		
			                       	
			                       	
	                     		
		                        
                        	
		                        
		                        
		                        
		                        
                        		
                        	
		                        
		                        
		                        
		                        	
		                        	
		                        
		                        
                        		
                        		
                        			
			                        
			                        	이에 주흥周興과 내준신來俊臣의 무리가 이를 본받아서 옥사獄事가 분분히 계속 일어났다.
			                              
                        			
                        		
                        		
	                     		
			                       	
			                       	
	                     		
		                        
                        	
		                        
		                        
		                        
		                        
                        		
                        	
		                        
		                        
		                        
		                        	
		                        	
		                        
		                        
                        		
                        		
                        			
			                        
			                        	내준신來俊臣은 만국준萬國俊과 함께 《나직경羅織經》를 지으니 내용이 수천 자였는데, 그 도당들로 하여금 무고한 자의 언행을 널리 수집하여 모반한 죄상을 엮어서 만들고, 게다가 허구로 위조하고 안배하여 늘어놓아서 죄상을 변조시켜 모두 지절支節(曲折)이 있게 하였다. 
			                              
                        			
                        		
                        		
	                     		
			                       	
			                       	
	                     		
		                        
                        	
		                        
		                        
		                        
		                        
                        		
                        	
		                        
		                        
		                        
		                        	
		                        	
		                        
		                        
                        		
                        		
                        			
			                        
			                        	태후太后가 밀고한 자들을 잡으면 번번이 삭원례索元禮 등으로 하여금 추고推考하게 하자, 삭원례索元禮 등이 앞다투어 서로 죄수를 심문하는 가혹한 법을 만들고 큰 형틀을 만드니, 정백맥定百脈, 돌지후突地吼, 사저수死猪愁, 구파가求破家, 반시실反是實 등의 명칭이 있었다. 
			                              
                        			
                        		
                        		
	                     		
			                       	
			                       	
	                     		
		                        
                        	
		                        
		                        
		                        
		                        
                        		
                        	
		                        
		                        
		                        
		                        	
		                        	
		                        
		                        
                        		
                        		
                        			
			                        
			                        	중외中外에서 이 몇 사람을 호랑이보다도 더 두려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