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正月에 太后疾甚하니 張易之, 張昌宗이 居中用事라
			                         
                        		
                        		
                        		
	                     		
			                       	
			                       	
	                     		
	                     		
		                        
                        	
                        	
                        	
                        	
                        		
                        			
                        			
			                        
			                        	張柬之, 崔玄暐 與中臺右丞敬暉
注+[頭註]姓名也라 와 司刑少卿桓彦範
과 相王府司馬袁恕己
로 謀誅之
할새 謂右羽林衛大將軍李多祚曰
 
                        		
                        		
                        		
	                     		
			                       	
			                       	
	                     		
	                     		
		                        
                        	
                        	
                        	
                        	
                        		
                        			
                        			
			                        
                        		
                        		
                        		
	                     		
			                       	
			                       	
	                     		
	                     		
		                        
                        	
                        	
                        	
                        	
                        		
                        			
                        			
			                        
			                        	柬之曰 今大帝之子 爲二豎
注+[頭註]豎는 僮僕之未冠者니 輕之하야 以比奴僕이라 所危
하니 將軍
은 不思報大帝之德乎
아 
                        		
                        		
                        		
	                     		
			                       	
			                       	
	                     		
	                     		
		                        
                        	
                        	
                        	
                        	
                        		
                        			
                        			
			                        
			                        	多祚曰 苟利國家인댄 惟相公處分이라하니 遂與定謀하다
			                         
                        		
                        		
                        		
	                     		
			                       	
			                       	
	                     		
	                     		
		                        
                        	
                        	
                        	
                        	
                        		
                        			
                        			
			                        
			                        	柬之又用彦範, 暉及右散騎侍郞李
하야 皆爲左, 右羽林將軍
하고 委以禁兵
이러니 
                        		
                        		
                        		
	                     		
			                       	
			                       	
	                     		
	                     		
		                        
                        	
                        	
                        	
                        	
                        		
                        			
                        			
			                        
			                        	俄而
오 姚元之
注+[頭註]元之는 姚元崇字也라 時에 突厥叱列元崇反하니 太后命元崇以字行이러니 下卷癸丑年에 避開元尊號하야 復名崇하니라自靈武至都
어늘 柬之, 彦範
이 相謂曰 事濟矣
라하고 遂以其謀告之
하니 
                        		
                        		
                        		
	                     		
			                       	
			                       	
	                     		
	                     		
		                        
                        	
                        	
                        	
                        	
                        		
                        			
                        			
			                        
			                        	時
에 太子於北門
에 起居
注+[釋義]唐分宰相爲라 故稱南牙(衙)요 宦寺爲北司라 故稱北門이라 [附註] 洛陽宮北門을 亦曰玄武門이라 不從端門入하고 而從北門入하야 問起居는 取便近이라 起居는 問飮膳之增損과 寢處之安否也라 라 彦範, 暉謁見
하고 密陳其策
한대 太子許之
하다 
                        		
                        		
                        		
	                     		
			                       	
			                       	
	                     		
	                     		
		                        
                        	
                        	
                        	
                        	
                        		
                        			
                        			
			                        
			                        	癸卯에 柬之, 玄暐, 彦範이 與左威衛將軍薛思行等으로 帥左右羽林兵五百餘人하고 至玄武門하야 遣多祚, 湛及王同皎하야 詣東宮迎太子하니
			                         
                        		
                        		
                        		
	                     		
			                       	
			                       	
	                     		
	                     		
		                        
                        	
                        	
                        	
                        	
                        		
                        			
                        			
			                        
			                        	同皎扶抱太子上馬하고 從至玄武門하야 斬關而入하다
			                         
                        		
                        		
                        		
	                     		
			                       	
			                       	
	                     		
	                     		
		                        
                        	
                        	
                        	
                        	
                        		
                        			
                        			
			                        
			                        	太后在迎仙宮
이러니 柬之等
이 斬易之, 昌宗於
下
한대 
                        		
                        		
                        		
	                     		
			                       	
			                       	
	                     		
	                     		
		                        
                        	
                        	
                        	
                        	
                        		
                        			
                        			
			                        
			                        	太后驚起하야 問曰 亂者誰耶오 對曰 張易之, 昌宗이 謀反이어늘 臣等이 奉太子令하야 誅之하니이다
			                         
                        		
                        		
                        		
	                     		
			                       	
			                       	
	                     		
	                     		
		                        
                        	
                        	
                        	
                        	
                        		
                        			
                        			
			                        
                        		
                        		
                        		
	                     		
			                       	
			                       	
	                     		
	                     		
		                        
                        	
                        	
                        	
                        	
                        		
                        			
                        			
			                        
                        		
                        		
                        		
	                     		
			                       	
			                       	
	                     		
	                     		
		                        
                        	
                        	
                        	
                        	
                        		
                        			
                        			
			                        
                        		
                        		
                        		
	                     		
			                       	
			                       	
	                     		
	                     		
		                        
                        	
                        	
                        	
                        	
                        		
                        			
                        			
			                        
			                        	昔
에 天皇
注+[頭註]甲戌年에 高宗稱天皇하고 皇后稱天后하니라이 以愛子託陛下
하시니 今年齒已長
이어늘 久居東宮
이라 
                        		
                        		
                        		
	                     		
			                       	
			                       	
	                     		
	                     		
		                        
                        	
                        	
                        	
                        	
                        		
                        			
                        			
			                        
			                        	天意人心이 久思李氏하고 群臣不忘太宗天皇之德이라 故奉太子하야 誅賊臣하니 願傳位太子하야 以順天人之望하소서
			                         
                        		
                        		
                        		
	                     		
			                       	
			                       	
	                     		
	                     		
		                        
                        	
                        	
                        	
                        	
                        		
                        			
                        			
			                        
			                        	甲辰에 制太子監國하고 乙巳에 太后傳位於太子하니 丙午에 中宗卽位하다
			                         
                        		
                        		
                        		
	                     		
			                       	
			                       	
	                     		
	                     		
		                        
                        	
                        	
                        	
                        	
                        		
                        			
                        			
			                        
			                        	丁未에 太后徙居上陽宮이어늘 帝帥百官하고 上太后尊號曰 則天大聖皇帝라하다
			                         
                        		
                        		
                        		
	                     		
			                       	
			                       	
	                     		
	                     		
		                        
                        	
                        	
                        	
                        	
                        		
                        			
                        			
			                        
                        		
                        		
                        		
	                     		
			                       	
			                       	
	                     		
	                     		
		                        
                        	
                        	
                        	
                        	
                        		
                        			
                        			
			                        
			                        	武氏之禍
는 古所未有也
어늘 張柬之等
이 第
注+[頭註]但이라 知反正廢主
하고 而不能以大義
로 處非常之變
하야 爲唐室討罪人也
라 
                        		
                        		
                        		
	                     		
			                       	
			                       	
	                     		
	                     		
		                        
                        	
                        	
                        	
                        	
                        		
                        			
                        			
			                        
			                        	武后以才人
으로 蠱惑嗣帝 一罪也
요 戕殺主母 二罪也
요 黜中宗而奪之 三罪也
요 殺君之子三人
이 四罪也
요 自立爲帝 五罪也
요 廢唐宗廟 六罪也
요 誅鋤宗室
注+[附註]戊子年에 殺韓王元嘉, 霍王元軌, 魯王靈夔하니 皆高祖子也라 越王貞은 太宗子也요 黃公은 元嘉子也요 江都王緖는 元軌子요 范陽王藹는 靈夔子也요 瑯琊王沖은 貞子也라 又庚寅年에 殺南安王穎等十一人하고 又太宗之子紀王愼八男이 相繼被誅하며 又殺鄭王等六人하다 又庚寅年에 殺淮南王安顥等十二人과 及故太子賢子二人하니 於是에 唐之宗室殆盡이요 其幼弱者도 亦流於嶺南하니라 이 七罪也
요 穢德彰聞
注+[附註]見上六郞注라 又僧白馬寺主懷義得幸하야 出入에 乘御馬라 太后詿言有巧思라하야 使入宮營造러니 補闕王求禮表請閹之라야 庶不亂宮闈라호되 表寢不出하니라 이 八罪也
요 尊用酷吏
注+[頭註]侯思正, 王弘義, 索元禮, 來俊臣, 周興之流라 하야 毒
四海
注+[頭註]痡는 疾也니 作刑威以殺戮하야 毒病四海之人이라九罪也
라 
                        		
                        		
                        		
	                     		
			                       	
			                       	
	                     		
	                     		
		                        
                        	
                        	
                        	
                        	
                        		
                        			
                        			
			                        
			                        	兵旣入宮이면 當先奉太子復位하고 卽以武氏로 至唐太廟하야 數其九罪하야 廢爲庶人하고 賜之死而滅其宗호되 中宗不得而與焉이니 然後에 足以慰在天之靈하고 雪臣民之憤하야 而天地之常經이 立矣리라
			                         
                        		
                        		
                        		
	                     		
			                       	
			                       	
	                     		
	                     		
		                        
                        	
                        	
                        	
                        	
                        		
                        			
                        			
			                        
			                        	昔者
에 文姜
注+[頭註]魯桓公夫人이요 齊襄公之妹也라 襄公通而使公子彭生으로 桓公하야 殺之하니라 預弑魯桓
하고 哀姜
注+[頭註]魯莊公夫人也라 通公子慶하고 預殺子盤, 閔公二君하니라預弑二君
에 聖人
이 例以遜書
注+[頭註]遜은 與孫通하니 春秋에 書曰夫人孫于齊라하니라 하야 若其去而不返
하야 以深絶之
하시니 所以著恩輕而義重也
라 
                        		
                        		
                        		
	                     		
			                       	
			                       	
	                     		
	                     		
		                        
                        	
                        	
                        	
                        	
                        		
                        			
                        			
			                        
			                        	武氏負九大罪하야 自絶於唐이어늘 柬之等이 乃膠守常故하고 不能討治하야 使得從容傳位하고 又受顯冊, 竊尊稱하니 以是로 見爲大臣하야 斷大事而無學이면 不能善始善終이 決矣라
			                         
                        		
                        		
                        		
	                     		
			                       	
			                       	
	                     		
	                     		
		                        
                        	
                        	
                        	
                        	
                        		
                        			
                        			
			                        
			                        	或曰 使狄公而在면 當有以異乎此耶아 曰 狄公亦如是而已矣라
			                         
                        		
                        		
                        		
	                     		
			                       	
			                       	
	                     		
	                     		
		                        
                        	
                        	
                        	
                        	
                        		
                        			
                        			
			                        
			                        	觀其
武氏之言
하면 固不肯以血食紿之於先
注+[頭註]紿는 見上戊戌年이라 而以罪討之於後也
리라 
                        		
                        		
                        		
	                     		
			                       	
			                       	
	                     		
	                     		
		                        
                        	
                        	
                        	
                        	
                        		
                        			
                        			
			                        
			                        	或曰 文姜, 哀姜은 與聞乎弑어니와 武氏未嘗弑也어늘 比而同之는 不亦過乎아
			                         
                        		
                        		
                        		
	                     		
			                       	
			                       	
	                     		
	                     		
		                        
                        	
                        	
                        	
                        	
                        		
                        			
                        			
			                        
			                        	曰 弑君, 立君은 宗廟猶未亡也로되 罪已當絶이어든 況移其宗廟하고 改其國姓은 是滅之矣니 豈不重於弑君者耶아
			                         
                        		
                        		
                        		
	                     		
			                       	
			                       	
	                     		
	                     		
		                        
                        	
                        	
                        	
                        	
                        		
                        			
                        			
			                        
                        		
                        		
                        		
	                     		
			                       	
			                       	
	                     		
	                     		
		                        
                        	
                        	
                        	
                        	
                        		
                        			
                        			
			                        
			                        	故不旋踵
에 而韋氏
注+[頭註]中宗之后라 肆行
하야 無所忌憚
하야 意可以爲常事也
하니라 
                        		
                        		
                        		
	                     		
			                       	
			                       	
	                     		
	                     		
		                        
                        	
                        	
                        	
                        	
                        		
                        			
                        			
			                        
                        		
                        		
                        		
	                     		
			                       	
			                       	
	                     		
	                     		
		                        
                        	
                        	
                        	
                        	
                        		
                        			
                        			
			                        
                        		
                        		
                        		
	                     		
			                       	
			                       	
	                     		
	                     		
		                        
                        	
                        	
                        	
                        	
                        		
                        			
                        			
			                        
			                        	上在房陵에 與后同幽閉하야 備嘗艱危하야 情愛甚篤이라
			                         
                        		
                        		
                        		
	                     		
			                       	
			                       	
	                     		
	                     		
		                        
                        	
                        	
                        	
                        	
                        		
                        			
                        			
			                        
			                        	上
이 嘗與后私誓曰 異時
에 幸復見天日
이면 當
惟卿所欲注+[頭註]凡敵體相呼曰卿이니 蓋貴之也라이요 不相禁禦라하더니 及再爲皇后
에 遂干預朝政
을 如武后在高宗之世
하니라 
                        		
                        		
                        		
	                     		
			                       	
			                       	
	                     		
	                     		
		                        
                        	
                        	
                        	
                        	
                        		
                        			
                        			
			                        
			                        	○ 二張
注+[頭註]昌宗, 易之라 之誅也
에 洛州長史薛季
이 謂張柬之, 敬暉曰 二凶雖誅
나 産, 
祿注+[原註]呂産, 呂祿이니 比三思라猶在하니 去草에 不去根이면 終當復生이리이다 
                        		
                        		
                        		
	                     		
			                       	
			                       	
	                     		
	                     		
		                        
                        	
                        	
                        	
                        	
                        		
                        			
                        			
			                        
			                        	二人曰 大事已定
하니 彼猶
上注+[釋義]椹机之上이라肉爾
라 
                        		
                        		
                        		
	                     		
			                       	
			                       	
	                     		
	                     		
		                        
                        	
                        	
                        	
                        	
                        		
                        			
                        			
			                        
                        		
                        		
                        		
	                     		
			                       	
			                       	
	                     		
	                     		
		                        
                        	
                        	
                        	
                        	
                        		
                        			
                        			
			                        
                        		
                        		
                        		
	                     		
			                       	
			                       	
	                     		
	                     		
		                        
                        	
                        	
                        	
                        	
                        		
                        			
                        			
			                        
                        		
                        		
                        		
	                     		
			                       	
			                       	
	                     		
	                     		
		                        
                        	
                        	
                        	
                        	
                        		
                        			
                        			
			                        
			                        	朝邑尉劉幽求 亦謂桓彦範, 敬暉曰 武三思尙存하니 公輩終無葬地리니
			                         
                        		
                        		
                        		
	                     		
			                       	
			                       	
	                     		
	                     		
		                        
                        	
                        	
                        	
                        	
                        		
                        			
                        			
			                        
			                        	若不早圖
면 無及注+[釋義]左傳에 若不早圖면 後君噬臍라한대 註에 齧腹臍는 喩不可及也라하니라 이라호되 不從
하다 
                        		
                        		
                        		
	                     		
			                       	
			                       	
	                     		
	                     		
		                        
                        	
                        	
                        	
                        	
                        		
                        			
                        			
			                        
			                        	[史略 史評]愚按 張柬之等이 但知反正廢主하고 而不能以大義爲唐室하야 討武后하고 誅三思等이라
			                         
                        		
                        		
                        		
	                     		
			                       	
			                       	
	                     		
	                     		
		                        
                        	
                        	
                        	
                        	
                        		
                        			
                        			
			                        
                        		
                        		
                        		
	                     		
			                       	
			                       	
	                     		
	                     		
		                        
                        	
                        	
                        	
                        	
                        		
                        			
                        			
			                        
			                        	薛季昶所謂去草不去根이면 終當復生이요 劉幽求謂武三思尙存하니 張柬之等이 終無葬地라하니 可謂有先見之知(智)矣로다
			                         
                        		
                        		
                        		
	                     		
			                       	
			                       	
	                     		
	                     		
		                        
                        	
                        	
                        	
                        	
                        		
                        			
                        			
			                        
			                        	○ 上女安樂公主 適
注+[通鑑要解]女嫁人曰適이라 三思子崇訓
하다 
                        		
                        		
                        		
	                     		
			                       	
			                       	
	                     		
	                     		
		                        
                        	
                        	
                        	
                        	
                        		
                        			
                        			
			                        
			                        	上官婉兒
注+[頭註]上官은 複姓이요 婉兒는 名也라 者 辯慧善屬文
하고 明習吏事
하니 則天
이 愛之
하야 自聖曆以後
로 百司表奏
에 多令參決
이러니 
                        		
                        		
                        		
	                     		
			                       	
			                       	
	                     		
	                     		
		                        
                        	
                        	
                        	
                        	
                        		
                        			
                        			
			                        
			                        	及上卽位
에 又使專掌制命
하야 益委任之
하고 拜爲
注+[頭註]婦官名이라 하야 用事於中하니 
                        		
                        		
                        		
	                     		
			                       	
			                       	
	                     		
	                     		
		                        
                        	
                        	
                        	
                        	
                        		
                        			
                        			
			                        
			                        	三思通焉이라 故로 黨於武氏하고 又薦三思於韋后하다
			                         
                        		
                        		
                        		
	                     		
			                       	
			                       	
	                     		
	                     		
		                        
                        	
                        	
                        	
                        	
                        		
                        			
                        			
			                        
			                        	上
이 使韋后與三思雙陸
注+[附註]局戲名이라 以木爲方盤하고 盤中彼此內外各六梁이라 故로 曰雙陸이니 始於西竺하야 流於曹魏하고 盛於梁, 陳, 魏, 齊, 隋, 唐하니라[通鑑要解] 投瓊以行하니 十二棊 各行陸棊라 故로 謂之雙陸이라 하고 而自
居傍하야 爲之
點籌하다 
                        		
                        		
                        		
	                     		
			                       	
			                       	
	                     		
	                     		
		                        
                        	
                        	
                        	
                        	
                        		
                        			
                        			
			                        
                        		
                        		
                        		
	                     		
			                       	
			                       	
	                     		
	                     		
		                        
                        	
                        	
                        	
                        	
                        		
                        			
                        			
			                        
			                        	由是로 武氏之勢復振하니 張柬之等이 數勸上誅諸武호되 上이 不聽하다
			                         
                        		
                        		
                        		
	                     		
			                       	
			                       	
	                     		
	                     		
		                        
                        	
                        	
                        	
                        	
                        		
                        			
                        			
			                        
			                        	○ 三思與韋后로 日夜譖暉等云 恃功專權하니 將不利於社稷이라
			                         
                        		
                        		
                        		
	                     		
			                       	
			                       	
	                     		
	                     		
		                        
                        	
                        	
                        	
                        	
                        		
                        			
                        			
			                        
			                        	不若封暉等爲王하야 罷其政事니 外不失尊寵功臣이요 內實奪之權이니이다
			                         
                        		
                        		
                        		
	                     		
			                       	
			                       	
	                     		
	                     		
		                        
                        	
                        	
                        	
                        	
                        		
                        			
                        			
			                        
			                        	上以爲然하야 以敬暉爲平陽王하고 桓彦範爲扶陽王하고 張柬之爲漢陽王하고 袁恕己爲南陽王하고 崔玄暐爲博陵王하야 罷知政事하다
			                         
                        		
                        		
                        		
	                     		
			                       	
			                       	
	                     		
	                     		
		                        
                        	
                        	
                        	
                        	
                        		
                        			
                        			
			                        
			                        	三思令百官
으로 謀修則天之政
하야 不附武氏者
를 斥之
하고 爲五王
注+[頭註]卽敬暉以下五人이라所逐者
를 復之
하니 大權
이 盡歸三思矣
러라 
                        		
                        		
                        		
	                     		
			                       	
			                       	
	                     		
	                     		
		                        
                        	
                        	
                        	
                        	
                   			
                        	
                        	
                        	
                        	
	                       	
	                       	
	                       	
	                       	
							                       	
	                        
	                        
	                        	
	                        
	                        	
	                        
	                        	
	                        
	                        	
	                        
	                        	
	                        
	                        	
	                        
	                        	
	                        
	                        	
	                        
	                        	
	                        
	                        	
	                        
	                        	
	                        
	                        	
	                        
	                        	
	                        
	                        	
	                        
	                        	
	                        
	                        	
	                        
	                        	
	                        
	                        	
	                        
	                        	
	                        
	                        	
	                        
	                        	
	                        
	                        	
	                        
	                        	
	                        
	                        	
	                        
	                        	
	                        
	                        	
	                        
	                        	
	                        
	                        	
	                        
	                        	
	                        
	                        	
	                        
	                        	
	                        
	                        	
	                        
	                        	
	                        
	                        	
	                        
	                        	
	                        
	                        	
	                        
	                        	
	                        
	                        	
	                        
	                        	
	                        
	                        	
	                        
	                        	
	                        
	                        	
	                        
	                        	
	                        
	                        	
	                        
	                        	
	                        
	                        	
	                        
	                        	
	                        
	                        	
	                        
	                        	
	                        
	                        	
	                        
	                        	
	                        
	                        	
	                        
	                        	
	                        
	                        	
	                        
	                        	
	                        
	                        	
	                        
	                        	
	                        
	                        	
	                        
	                        	
	                        
	                        	
	                        
	                        	
	                        
	                        	
	                        
	                        	
	                        
	                        	
	                        
	                        	
	                        
	                        	
	                        
	                        	
	                        
	                        	
	                        
	                        	
	                        
	                        	
	                        
	                        	
	                        
	                        	
	                        
	                        	
	                        
	                        	
	                        
	                        	
	                        
	                        	
	                        
	                        	
	                        
	                        	
	                        
	                        	
	                        
	                        	
	                        
	                        	
	                        
	                        	
	                        
	                        	
	                        
	                        	
	                        
	                        	
	                        
	                        	
	                        
	                        	
	                        
	                        	
	                        
	                        	
	                        
	                        	
	                        
	                        	
	                        
	                        	
	                        
	                        	
	                        
	                        	
	                        
	                        	
	                        
	                        	
	                        
	                        	
	                        
	                        	
	                        
	                        	
	                        
	                        	
	                        
	                        	
	                        
	                        	
	                        
	                        	
	                        
	                        	
	                        
	                        	
	                        
	                        	
	                        
	                        	
	                        
	                        	
	                        
	                        	
	                        
	                        	
	                        
	                        	
	                        
	                        	
	                        
	                        	
	                        
	                        	
	                        
	                        
	                        
                        	
		                        
		                        
		                        
		                        
                        		
                        	
		                        
		                        
		                        
		                        	
		                        	
		                        
		                        
                        		
                        		
                        			
			                             
                        			
                        		
                        		
	                     		
			                       	
			                       	
	                     		
		                        
                        	
		                        
		                        
		                        
		                        
                        		
                        	
		                        
		                        
		                        
		                        	
		                        	
		                        
		                        
                        		
                        		
                        			
			                        
			                        	봄 정월에 태후太后가 병환이 심하니, 장역지張易之와 장창종張昌宗이 궁중에서 용사用事하였다. 
			                              
                        			
                        		
                        		
	                     		
			                       	
			                       	
	                     		
		                        
                        	
		                        
		                        
		                        
		                        
                        		
                        	
		                        
		                        
		                        
		                        	
		                        	
		                        
		                        
                        		
                        		
                        			
			                        
			                        	장간지張柬之와 
최현위崔玄暐가 
중대우승中臺右丞경휘敬暉,
注+[頭註]경휘敬暉는 성명姓名이다. 사형소경司刑少卿환언범桓彦範, 
상왕부사마相王府司馬원서기袁恕己와 함께 이들을 죽일 것을 모의할 적에 
장간지張柬之가 
우우림위대장군右羽林衛大將軍이다조李多祚에게 이르기를
 
			                              
                        			
                        		
                        		
	                     		
			                       	
			                       	
	                     		
		                        
                        	
		                        
		                        
		                        
		                        
                        		
                        	
		                        
		                        
		                        
		                        	
		                        	
		                        
		                        
                        		
                        		
                        			
			                        
			                        	 “장군의 오늘날의 부귀는 누가 이루어준 것인가?” 하니, 이다조李多祚가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고종대제高宗大帝이십니다.” 하였다. 
			                              
                        			
                        		
                        		
	                     		
			                       	
			                       	
	                     		
		                        
                        	
		                        
		                        
		                        
		                        
                        		
                        	
		                        
		                        
		                        
		                        	
		                        	
		                        
		                        
                        		
                        		
                        			
			                        
			                        	장간지張柬之가 말하기를 “지금 
대제大帝의 두 아들이 두 간신에게
注+[頭註]수豎는 관례冠禮를 하지 않은 동복僮僕이니, 경시하여 노복奴僕에 견준 것이다.  위해를 받고 있는데 장군은 
대제大帝의 은덕에 보답할 것을 생각하지 않는가.” 하였다. 
 
			                              
                        			
                        		
                        		
	                     		
			                       	
			                       	
	                     		
		                        
                        	
		                        
		                        
		                        
		                        
                        		
                        	
		                        
		                        
		                        
		                        	
		                        	
		                        
		                        
                        		
                        		
                        			
			                        
			                        	이다조李多祚가 대답하기를 “만일 국가에 이롭다면 오직 상공相公의 처분대로 따르겠습니다.” 하니, 마침내 함께 계책을 정하였다.
			                              
                        			
                        		
                        		
	                     		
			                       	
			                       	
	                     		
		                        
                        	
		                        
		                        
		                        
		                        
                        		
                        	
		                        
		                        
		                        
		                        	
		                        	
		                        
		                        
                        		
                        		
                        			
			                        
			                        	장간지張柬之가 환언범桓彦範‧경휘敬暉, 우산기시랑右散騎侍郞이담李湛을 등용하여 모두 좌左‧우우림위장군右羽林衛將軍으로 삼고 금병禁兵을 이들에게 맡겼는데,
			                              
                        			
                        		
                        		
	                     		
			                       	
			                       	
	                     		
		                        
                        	
		                        
		                        
		                        
		                        
                        		
                        	
		                        
		                        
		                        
		                        	
		                        	
		                        
		                        
                        		
                        		
                        			
			                        
			                        	 얼마 있다가 
요원지姚元之가
注+[頭註]원지元之는 요원숭姚元崇의 자字이다. 당시에 돌궐突厥의 질열원숭叱列元崇이 반란을 일으키자, 태후가 요원숭姚元崇에게 명하여 자字를 사용하라고 하였는데, 하권 계축년癸丑年(713)에 개원開元의 존호를 피하여 다시 요숭姚崇이라 이름하였다.영무현靈武縣에서 도성에 이르자, 
장간지張柬之와 
환언범桓彦範이 서로 이르기를 “〈당나라를 
광복匡復하는〉일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하고는 마침내 그들의 계책을 
요원지姚元之에게 말하였다.
      
                        			
                        		
                        		
	                     		
			                       	
			                       	
	                     		
		                        
                        	
		                        
		                        
		                        
		                        
                        		
                        	
		                        
		                        
		                        
		                        	
		                        	
		                        
		                        
                        		
                        		
                        			
			                        
			                        	이때 
태자太子가 
북문北門에서 기거하였는데,
注+[釋義]당唐나라는 재상宰相이 거처하는 곳을 구별하여 남사南司라 하였으므로 남아南衙라 칭하고, 환시宦寺를 북사北司라 하였으므로 북문北門이라 칭하였다. [附註] 낙양궁洛陽宮북문北門을 또한 현무문玄武門이라 하였다. 단문端門(正門)을 따라 들어가지 않고 북문北門을 따라 들어가서 기거起居를 문안한 것은 편리하고 가까움을 취한 것이다. 기거起居는 음식을 먹는 양과 잠자리의 안부를 물은 것이다. 환언범桓彦範과 
경휘敬暉가 태자를 알현하고 은밀히 그들의 계책을 아뢰자, 태자가 이를 허락하였다.
      
                        			
                        		
                        		
	                     		
			                       	
			                       	
	                     		
		                        
                        	
		                        
		                        
		                        
		                        
                        		
                        	
		                        
		                        
		                        
		                        	
		                        	
		                        
		                        
                        		
                        		
                        			
			                        
			                        	계묘일(정월 22일)에 장간지張柬之‧최현위崔玄暐‧환언범桓彦範이 좌위위장군左威衛將軍설사행薛思行 등과 함께 좌左‧우우림군右羽林軍 500여 명을 거느리고 현무문玄武門에 이른 다음 이다조李多祚‧이담李湛‧왕동교王同皎 등을 보내어 동궁東宮에 나아가 태자를 맞이해 오게 하였다. 
			                              
                        			
                        		
                        		
	                     		
			                       	
			                       	
	                     		
		                        
                        	
		                        
		                        
		                        
		                        
                        		
                        	
		                        
		                        
		                        
		                        	
		                        	
		                        
		                        
                        		
                        		
                        			
			                        
			                        	왕동교王同皎가 태자를 부축하여 안아서 말에 오르게 하고, 태자를 따라 현무문玄武門에 이르러 관문을 부수고 금중禁中으로 진입하였다.
			                              
                        			
                        		
                        		
	                     		
			                       	
			                       	
	                     		
		                        
                        	
		                        
		                        
		                        
		                        
                        		
                        	
		                        
		                        
		                        
		                        	
		                        	
		                        
		                        
                        		
                        		
                        			
			                        
			                        	이때 태후가 영선궁迎仙宮에 있었는데, 장간지張柬之 등이 낭무廊廡 아래에서 장역지張易之와 장창종張昌宗을 목 베자,
			                              
                        			
                        		
                        		
	                     		
			                       	
			                       	
	                     		
		                        
                        	
		                        
		                        
		                        
		                        
                        		
                        	
		                        
		                        
		                        
		                        	
		                        	
		                        
		                        
                        		
                        		
                        			
			                        
			                        	 태후가 놀라 일어나서 묻기를 “난을 일으킨 자가 누구인가?” 하니, 대답하기를 “장역지張易之와 장창종張昌宗이 모반하므로 신 등이 태자의 명령을 받들어 죽였습니다.” 하였다.
			                              
                        			
                        		
                        		
	                     		
			                       	
			                       	
	                     		
		                        
                        	
		                        
		                        
		                        
		                        
                        		
                        	
		                        
		                        
		                        
		                        	
		                        	
		                        
		                        
                        		
                        		
                        			
			                        
			                        	태후가 태자를 보고 말하기를 “바로 너였더냐? 
			                              
                        			
                        		
                        		
	                     		
			                       	
			                       	
	                     		
		                        
                        	
		                        
		                        
		                        
		                        
                        		
                        	
		                        
		                        
		                        
		                        	
		                        	
		                        
		                        
                        		
                        		
                        			
			                        
			                        	역적신逆賊臣이 이미 죽임을 당하였으니, 너는 동궁으로 돌아가라.” 하였다. 
			                              
                        			
                        		
                        		
	                     		
			                       	
			                       	
	                     		
		                        
                        	
		                        
		                        
		                        
		                        
                        		
                        	
		                        
		                        
		                        
		                        	
		                        	
		                        
		                        
                        		
                        		
                        			
			                        
			                        	환언범桓彦範이 나와 말하기를 “태자가 어찌 다시 돌아갈 수 있겠습니까.
			                              
                        			
                        		
                        		
	                     		
			                       	
			                       	
	                     		
		                        
                        	
		                        
		                        
		                        
		                        
                        		
                        	
		                        
		                        
		                        
		                        	
		                        	
		                        
		                        
                        		
                        		
                        			
			                        
			                        	옛날에 
천황天皇께서
注+[頭註]갑술년甲戌年(674)에 고종高宗을 천황天皇이라 칭하고 황후皇后를 천후天后라 칭하였다.  사랑하는 아들을 폐하에게 부탁하셨는데, 지금 연치가 이미 성년이 되었는데도 오랫동안 동궁에 계십니다.
      
                        			
                        		
                        		
	                     		
			                       	
			                       	
	                     		
		                        
                        	
		                        
		                        
		                        
		                        
                        		
                        	
		                        
		                        
		                        
		                        	
		                        	
		                        
		                        
                        		
                        		
                        			
			                        
			                        	하늘의 뜻과 사람들의 마음이 이씨李氏를 생각한 지가 오래되었고, 여러 신하들이 태종太宗과 천황天皇(高宗)의 은덕을 잊지 못하기 때문에 태자를 받들어 역신逆臣을 죽인 것이니, 원컨대 태자에게 전위傳位하여 하늘과 사람의 바람을 따르소서.” 하였다.
			                              
                        			
                        		
                        		
	                     		
			                       	
			                       	
	                     		
		                        
                        	
		                        
		                        
		                        
		                        
                        		
                        	
		                        
		                        
		                        
		                        	
		                        	
		                        
		                        
                        		
                        		
                        			
			                        
			                        	갑진일(23일)에 태후가 조서를 내려 태자에게 나라를 감독하게 하고 을사일(24일)에 태후가 태자에게 전위하니, 병오일(25일)에 중종中宗이 즉위하였다.
			                              
                        			
                        		
                        		
	                     		
			                       	
			                       	
	                     		
		                        
                        	
		                        
		                        
		                        
		                        
                        		
                        	
		                        
		                        
		                        
		                        	
		                        	
		                        
		                        
                        		
                        		
                        			
			                        
			                        	정미일(26일)에 태후가 상양궁上陽宮으로 거처를 옮기자, 황제가 백관을 인솔하고 태후에게 존호尊號를 올려 측천대성황제則天大聖皇帝라 하였다.
			                              
                        			
                        		
                        		
	                     		
			                       	
			                       	
	                     		
		                        
                        	
		                        
		                        
		                        
		                        
                        		
                        	
		                        
		                        
		                        
		                        	
		                        	
		                        
		                        
                        		
                        		
                        			
			                             
                        			
                        		
                        		
	                     		
			                       	
			                       	
	                     		
		                        
                        	
		                        
		                        
		                        
		                        
                        		
                        	
		                        
		                        
		                        
		                        	
		                        	
		                        
		                        
                        		
                        		
                        			
			                        
			                        	“
무씨武氏의 화는 옛날에 일찍이 없었던 바이다. 그런데 
장간지張柬之 등은 다만
注+[頭註]제第는 다만이다.  폐위된 군주를 
복위復位시킬 줄만 알고, 
대의大義로써 비상한 변고에 대처하여 
당唐나라 황실을 위해 죄인을 토벌하지는 못하였다.
      
                        			
                        		
                        		
	                     		
			                       	
			                       	
	                     		
		                        
                        	
		                        
		                        
		                        
		                        
                        		
                        	
		                        
		                        
		                        
		                        	
		                        	
		                        
		                        
                        		
                        		
                        			
			                        
			                        	무후武后가 
재인才人으로서 뒤를 계승한 
황제皇帝(高宗)를 고혹한 것이 첫 번째 죄이고, 
황후皇后를 살해한 것이 두 번째 죄이고, 
중종中宗을 내치고 황제의 자리를 빼앗은 것이 세 번째 죄이고, 군주의 아들 세 명을 죽인 것이 네 번째 죄이고, 스스로 서서 황제가 된 것이 다섯 번째 죄이고, 
당唐나라 종묘를 폐한 것이 여섯 번째 죄이고, 
종실宗室들을 없앤 것이
注+[附註]무자년戊子年(688)에 한왕韓王이원가李元嘉와 곽왕霍王이원궤李元軌, 노왕魯王이영기李靈夔를 죽였으니, 이들은 모두 고조高祖의 아들이다. 월왕越王이정李貞은 태종太宗의 아들이고, 황공黃公이선李譔은 이원가李元嘉의 아들이고, 강도왕江都王이서李緖는 이원궤李元軌의 아들이고, 범양왕范陽王이애李藹는 이영기李靈夔의 아들이고, 낭야왕瑯琊王이충李沖은 이정李貞의 아들인데, 이들도 모두 죽였다. 또 경인년庚寅年(690)에 남안왕南安王이영李穎 등 열한 명을 죽였고, 또 태종太宗의 아들 기왕紀王이신李愼 등 여덟 아들이 서로 이어서 죽임을 당하였으며, 또 정왕鄭王이경李璥 등 여섯 명을 죽였다. 또 경인년庚寅年에 회남왕淮南王이안호李安顥 등 열두 명과 옛 태자 이현李賢의 아들 두 명을 죽이니, 이에 당나라의 종실宗室이 거의 다하였으며 어리고 약한 자들도 영남嶺南에 유배 보냈다.  일곱 번째 죄이고, 더러운 덕(음탕한 행실)이 드러나 알려진 것이
注+[附註]앞의 갑진년조(704) 육랑六郞의 주注에 보인다. 또 승려인 백마사白馬寺의 주지 회의懷義가 태후에게 총애를 받아 출입할 적에 어마御馬를 탔다. 태후가 거짓으로 승려가 교묘한 생각이 있다 하여 궁중에 들어와 집을 짓게 하였다. 보궐補闕왕구례王求禮가 표문表文을 올려 그를 환관으로 만들어야 궁중을 어지럽히지 않을 것이라고 청하였으나 표문을 묵살하고 내보내지 않았다.  여덟 번째 죄이고, 
혹리酷吏를
注+[頭註]혹리酷吏는 후사정侯思正‧왕홍의王弘義‧삭원례索元禮‧내준신來俊臣‧주흥周興의 무리이다.  높이 들어 등용해서
注+[頭註]부痡는 병듦이니, 독부사해毒痡四海는 형벌을 만들어 죽임으로써 천하 사람들에게 해독을 끼치는 것이다.  온 천하에 해독을 끼친 것이
注+[頭註]문강文姜은 노魯나라 환공桓公의 부인이고 제齊나라 양공襄公의 누이이다. 제齊나라 양공襄公이 문강文姜과 간통하고서 공자公子팽생彭生을 시켜 환공桓公의 갈비뼈를 부러뜨려 죽였다. 아홉 번째 죄이다.
 
			                              
                        			
                        		
                        		
	                     		
			                       	
			                       	
	                     		
		                        
                        	
		                        
		                        
		                        
		                        
                        		
                        	
		                        
		                        
		                        
		                        	
		                        	
		                        
		                        
                        		
                        		
                        			
			                        
			                        	군대가 이미 궁중에 들어왔으면 마땅히 먼저 태자를 받들어 복위시키고, 즉시 무씨武氏를 데리고 당唐나라 태묘太廟에 이르러서 아홉 가지 죄를 열거하여 꾸짖고 폐하여 서인으로 삼아 사사賜死한 다음 그 종족을 멸하되 중종中宗이 여기에 관여하지 못하게 했어야 하니, 그런 뒤에야 구천九天에 있는 혼령을 위로하고 신하와 백성들의 울분을 씻을 수가 있어서 천지의 떳떳한 벼리(道)가 확립되는 것이다.
			                              
                        			
                        		
                        		
	                     		
			                       	
			                       	
	                     		
		                        
                        	
		                        
		                        
		                        
		                        
                        		
                        	
		                        
		                        
		                        
		                        	
		                        	
		                        
		                        
                        		
                        		
                        			
			                        
			                        	옛날에 
문강文姜이
注+[頭註]애강哀姜은 노魯나라 장공莊公의 부인이다. 공자公子경보慶父와 간통하고, 경보慶父가 장공莊公의 서자庶子자반子盤과 민공閔公 두 군주를 죽이는 데 참여하였다. 노魯나라 
환공桓公을 시해하는 데 참여하고 
애강哀姜이
注+[頭註]손遜은 손孫과 통하니, 《춘추春秋》 장공莊公원년조元年條에 “부인夫人이 제齊나라로 사양하고 떠났다.[夫人孫于齊]”라고 썼다.  두 군주를 시해하는 데 참여하자, 
성인聖人(孔子)이 전례대로 ‘
손遜’이라고 써서
注+[頭註]적인걸狄仁傑이 혈식血食을 받는 일로써 무후武后를 속인 일은 앞의 무술년조戊戌年條(682)에 보인다. 마치 떠나가서 돌아오지 않는 것처럼 하여 깊이 끊으셨으니, 이는 은혜는 가볍고 
의義가 중함을 드러낸 것이다. 
      
                        			
                        		
                        		
	                     		
			                       	
			                       	
	                     		
		                        
                        	
		                        
		                        
		                        
		                        
                        		
                        	
		                        
		                        
		                        
		                        	
		                        	
		                        
		                        
                        		
                        		
                        			
			                        
			                        	무씨武氏는 아홉 가지 큰 죄를 지어서 스스로 당唐나라를 끊었는데, 장간지張柬之 등이 마침내 떳떳한 옛 법을 고수하고 토벌하여 죄를 다스리지 못해서 그들로 하여금 조용히 전위傳位하게 하고 또 옥책玉冊을 받고 존칭을 절취하게 하였으니, 이로써 대신大臣이 되어 대사大事를 결단하면서 학식이 없으면 틀림없이 시작을 잘하고 종말을 잘할 수 없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혹자가 말하기를 ‘만일 적공狄公(狄仁傑)이 살아있었다면 마땅히 이와 달랐을 것이다.’라고 하기에, 대답하기를 ‘적공狄公도 마땅히 이와 같았을 뿐이다. 
			                              
                        			
                        		
                        		
	                     		
			                       	
			                       	
	                     		
		                        
                        	
		                        
		                        
		                        
		                        
                        		
                        	
		                        
		                        
		                        
		                        	
		                        	
		                        
		                        
                        		
                        		
                        			
			                        
			                        	적공狄公이 
무씨武氏를 설득한 말을 살펴보면 진실로 
혈식血食을 받는 것으로써 앞에서 속이고
注+[頭註]위씨韋氏는 중종中宗의 후비后妃이다.  죄로써 뒤에 토벌하기를 즐거워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문강文姜과 애강哀姜은 군주를 시해하는 일에 참여하였지만 무씨武氏는 일찍이 시해하지 않았는데 문강文姜과 애강哀姜과 똑같이 견주는 것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하기에,
			                              
                        			
                        		
                        		
	                     		
			                       	
			                       	
	                     		
		                        
                        	
		                        
		                        
		                        
		                        
                        		
                        	
		                        
		                        
		                        
		                        	
		                        	
		                        
		                        
                        		
                        		
                        			
			                        
			                        	 대답하기를 ‘군주를 시해하거나 군주를 세운 것은 종묘가 아직 망하지 않았는데도 죄가 이미 마땅히 끊어야 하는데, 더구나 종묘를 옮기고 그 국성國姓을 바꾼 것은 나라를 멸망시킨 것이니, 어찌 군주를 시해한 것보다 죄가 무겁지 않겠는가.
			                              
                        			
                        		
                        		
	                     		
			                       	
			                       	
	                     		
		                        
                        	
		                        
		                        
		                        
		                        
                        		
                        	
		                        
		                        
		                        
		                        	
		                        	
		                        
		                        
                        		
                        		
                        			
			                             
                        			
                        		
                        		
	                     		
			                       	
			                       	
	                     		
		                        
                        	
		                        
		                        
		                        
		                        
                        		
                        	
		                        
		                        
		                        
		                        	
		                        	
		                        
		                        
                        		
                        		
                        			
			                        
			                        	이 때문에 발길을 돌리기도 전에 
위씨韋氏가
注+[頭註]지위가 서로 대등한 경우에 서로 경卿이라고 부르니, 귀하게 여긴 것이다.  멋대로 행동하고 기탄하는 바가 없어서 마음에 떳떳한 일이라고 여긴 것이다.’ 하였다.”
      
                        			
                        		
                        		
	                     		
			                       	
			                       	
	                     		
		                        
                        	
		                        
		                        
		                        
		                        
                        		
                        	
		                        
		                        
		                        
		                        	
		                        	
		                        
		                        
                        		
                        		
                        			
			                             
                        			
                        		
                        		
	                     		
			                       	
			                       	
	                     		
		                        
                        	
		                        
		                        
		                        
		                        
                        		
                        	
		                        
		                        
		                        
		                        	
		                        	
		                        
		                        
                        		
                        		
                        			
			                        
			                        	황제가 비妃위씨韋氏를 다시 세워 황후로 삼았다. 
			                              
                        			
                        		
                        		
	                     		
			                       	
			                       	
	                     		
		                        
                        	
		                        
		                        
		                        
		                        
                        		
                        	
		                        
		                        
		                        
		                        	
		                        	
		                        
		                        
                        		
                        		
                        			
			                        
			                        	상上이 방릉房陵에 있을 적에 황후와 함께 유폐幽閉되어 온갖 어려움과 위험을 겪어서 애정이 매우 돈독하였다. 
			                              
                        			
                        		
                        		
	                     		
			                       	
			                       	
	                     		
		                        
                        	
		                        
		                        
		                        
		                        
                        		
                        	
		                        
		                        
		                        
		                        	
		                        	
		                        
		                        
                        		
                        		
                        			
			                        
			                        	상上이 일찍이 황후와 은밀히 맹세하기를 “후일 다행히 다시 하늘의 해를 보게 되면 마땅히 그대가 하고 싶은 대로 하게 할 것이요,
注+[頭註]두 장씨張氏는 장창종張昌宗과 장역지張易之이다. 제한하지 않겠다.” 하였는데, 
비妃위씨韋氏가 다시 황후가 되자 마침내 조정의 정사에 관여하기를 
무후武后가 
고종高宗 때에 하던 것과 똑같이 하였다.
 
			                              
                        			
                        		
                        		
	                     		
			                       	
			                       	
	                     		
		                        
                        	
		                        
		                        
		                        
		                        
                        		
                        	
		                        
		                        
		                        
		                        	
		                        	
		                        
		                        
                        		
                        		
                        			
			                        
			                        	두 
장씨張氏가
注+[原註]산産‧녹祿은 한漢나라 여후呂后의 친정 조카인 여산呂産과 여록呂祿이니, 무삼사武三思에 비유한 것이다. 죽임을 당하자, 
낙주장사洛州長史설계창薛季昶이 
장간지張柬之와 
경휘敬暉에게 이르기를 “두 
간흉姦凶이 비록 죽임을 당했으나 
여산呂産과 
여록呂祿이
注+[釋義]궤상机上은 도마 위이다. 아직 남아 있으니, 잡초를 제거할 때에 뿌리를 제거하지 않으면 마침내 다시 나올 것입니다.” 하니,
      
                        			
                        		
                        		
	                     		
			                       	
			                       	
	                     		
		                        
                        	
		                        
		                        
		                        
		                        
                        		
                        	
		                        
		                        
		                        
		                        	
		                        	
		                        
		                        
                        		
                        		
                        			
			                        
			                        	 두 사람이 말하기를 “
대사大事가 이미 결정되었으니 저(武三思)는 도마 위의
注+[釋義]《춘추좌전春秋左傳》 장공莊公 6년조에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뒤에 임금이 자신의 배꼽을 물어뜯게 될 것입니다.” 하였는데, 주註에 “설복제齧腹臍는 미칠 수 없음을 비유한 것이다.” 하였다.  고기와 같을 뿐이다.
      
                        			
                        		
                        		
	                     		
			                       	
			                       	
	                     		
		                        
                        	
		                        
		                        
		                        
		                        
                        		
                        	
		                        
		                        
		                        
		                        	
		                        	
		                        
		                        
                        		
                        		
                        			
			                             
                        			
                        		
                        		
	                     		
			                       	
			                       	
	                     		
		                        
                        	
		                        
		                        
		                        
		                        
                        		
                        	
		                        
		                        
		                        
		                        	
		                        	
		                        
		                        
                        		
                        		
                        			
			                        
			                        	주벌한 바가 이미 많으니, 더이상 주벌해서는 안 된다.” 하였다. 
			                              
                        			
                        		
                        		
	                     		
			                       	
			                       	
	                     		
		                        
                        	
		                        
		                        
		                        
		                        
                        		
                        	
		                        
		                        
		                        
		                        	
		                        	
		                        
		                        
                        		
                        		
                        			
			                        
			                        	설계창薛季昶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내가 어느 곳에서 죽을지 알지 못하겠다.” 하였다.
			                              
                        			
                        		
                        		
	                     		
			                       	
			                       	
	                     		
		                        
                        	
		                        
		                        
		                        
		                        
                        		
                        	
		                        
		                        
		                        
		                        	
		                        	
		                        
		                        
                        		
                        		
                        			
			                        
			                        	조읍위朝邑尉로 있는 유유구劉幽求가 또한 환언범桓彦範과 경휘敬暉에게 이르기를 “무삼사武三思가 아직 살아있으니, 공公들은 끝내 장사 지낼 곳이 없게 될 것입니다.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후회해도 소용없을 것입니다.” 하였으나
注+[通鑑要解]여자가 남에게 시집가는 것을 적適이라 한다.  따르지 않았다.
      
                        			
                        		
                        		
	                     		
			                       	
			                       	
	                     		
		                        
                        	
		                        
		                        
		                        
		                        
                        		
                        	
		                        
		                        
		                        
		                        	
		                        	
		                        
		                        
                        		
                        		
                        			
			                        
			                        	[史略 사평史評]내가 살펴보건대 장간지張柬之 등은 다만 반정反正하여 무후武后를 폐위시킬 줄만 알았고, 대의大義로써 당唐나라 황실皇室을 위하여 무후武后를 토벌하고 무삼사武三思 등을 죽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 말류末流의 화禍가 마침내 여기에 이르렀으니, 오히려 누구를 허물하겠는가. 
			                              
                        			
                        		
                        		
	                     		
			                       	
			                       	
	                     		
		                        
                        	
		                        
		                        
		                        
		                        
                        		
                        	
		                        
		                        
		                        
		                        	
		                        	
		                        
		                        
                        		
                        		
                        			
			                        
			                        	설계창薛季昶의 이른바 ‘풀을 제거할 때에 뿌리를 제거하지 않으면 끝내 다시 나온다.’는 것이요, 유유구劉幽求가 이르기를 ‘무삼사武三思가 아직 남아 있으니 장간지張柬之 등은 끝내 장례할 곳이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선견先見(미리 앞을 내다보고 앎)의 지혜가 있다고 이를 만하다.
			                              
                        			
                        		
                        		
	                     		
			                       	
			                       	
	                     		
		                        
                        	
		                        
		                        
		                        
		                        
                        		
                        	
		                        
		                        
		                        
		                        	
		                        	
		                        
		                        
                        		
                        		
                        			
			                        
			                        	상上의 딸인 
안락공주安樂公主가 
무삼사武三思의 아들 
무숭훈武崇訓에게 시집갔다.
注+[頭註]상관上官은 복성複姓이고, 완아婉兒는 이름이다.  
			                              
                        			
                        		
                        		
	                     		
			                       	
			                       	
	                     		
		                        
                        	
		                        
		                        
		                        
		                        
                        		
                        	
		                        
		                        
		                        
		                        	
		                        	
		                        
		                        
                        		
                        		
                        			
			                        
			                        	상관완아上官婉兒라는
注+[頭註]첩여婕妤는 여인女人의 관직명이다.  자가 말을 잘하고 총명하며 글을 잘 엮고 관리의 일에 익숙하니, 
측천무후則天武后가 그녀를 사랑하여 
성력聖曆 연간 이후로 
백사百司에서 아뢴 
표문表文을 결정할 적에 많이 참여하게 하였다. 
 
			                              
                        			
                        		
                        		
	                     		
			                       	
			                       	
	                     		
		                        
                        	
		                        
		                        
		                        
		                        
                        		
                        	
		                        
		                        
		                        
		                        	
		                        	
		                        
		                        
                        		
                        		
                        			
			                        
			                        	상上이 즉위한 뒤에 또 그녀로 하여금 전적으로 
제명制命(詔書)을 기초하는 일을 관장하게 하여 더욱 
중임重任을 맡기고 
첩여婕妤로
注+[附註][附註] 판으로 하는 놀이 이름이다. 나무로 네모진 판을 만들고 판 가운데에 피彼‧차此와 내內‧외外가 각각 여섯씩 짝이므로 쌍륙雙陸이라 하니, 인도에서 시작되어 조위曹魏로 전래되었고 양梁‧진陳‧위魏‧제齊‧수隋‧당唐 때에 성행하였다. [通鑑要解] 주사위를 던져 판 위의 길을 가는데, 12개의 바둑알이 각각 길을 갈 때에 여섯씩 상대가 되므로 이를 일러 쌍륙雙陸이라 하였다.  임명하여 궁중에서 권력을 행사하였다. 
 
			                              
                        			
                        		
                        		
	                     		
			                       	
			                       	
	                     		
		                        
                        	
		                        
		                        
		                        
		                        
                        		
                        	
		                        
		                        
		                        
		                        	
		                        	
		                        
		                        
                        		
                        		
                        			
			                        
			                        	무삼사武三思가 그녀와 간통하였으므로 무씨武氏의 당여黨與가 되었고, 그녀는 또 무삼사武三思를 위후韋后에게 천거하였다. 
			                              
                        			
                        		
                        		
	                     		
			                       	
			                       	
	                     		
		                        
                        	
		                        
		                        
		                        
		                        
                        		
                        	
		                        
		                        
		                        
		                        	
		                        	
		                        
		                        
                        		
                        		
                        			
			                        
			                        	상上이 
위후韋后로 하여금 
무삼사武三思와 
쌍륙雙陸을
注+[頭註]오왕五王은 바로 경휘敬暉 이하 다섯 명이다. 두게 하고 자신은 옆에 있으면서 그들을 위하여 산대를 잡아 숫자를 계산해 주었다. 
 
			                              
                        			
                        		
                        		
	                     		
			                       	
			                       	
	                     		
		                        
                        	
		                        
		                        
		                        
		                        
                        		
                        	
		                        
		                        
		                        
		                        	
		                        	
		                        
		                        
                        		
                        		
                        			
			                             
                        			
                        		
                        		
	                     		
			                       	
			                       	
	                     		
		                        
                        	
		                        
		                        
		                        
		                        
                        		
                        	
		                        
		                        
		                        
		                        	
		                        	
		                        
		                        
                        		
                        		
                        			
			                        
			                        	이로 말미암아 무씨武氏의 세력이 다시 떨쳐지니, 장간지張柬之 등이 누차 여러 무씨武氏들을 죽일 것을 권하였으나 상上이 듣지 않았다.
			                              
                        			
                        		
                        		
	                     		
			                       	
			                       	
	                     		
		                        
                        	
		                        
		                        
		                        
		                        
                        		
                        	
		                        
		                        
		                        
		                        	
		                        	
		                        
		                        
                        		
                        		
                        			
			                        
			                        	무삼사武三思가 위후韋后와 함께 밤낮으로 경휘敬暉 등을 참소하여 이르기를 “공로를 믿고 권력을 전횡하니, 장차 사직社稷에 이롭지 못할 것입니다. 
			                              
                        			
                        		
                        		
	                     		
			                       	
			                       	
	                     		
		                        
                        	
		                        
		                        
		                        
		                        
                        		
                        	
		                        
		                        
		                        
		                        	
		                        	
		                        
		                        
                        		
                        		
                        			
			                        
			                        	경휘敬暉 등을 봉하여 왕으로 삼아서 그들이 맡고 있는 정사를 파하는 것만 못하니, 밖으로는 공신을 높이고 총애하는 체통을 잃지 않으면서 안으로는 실로 그들의 권력을 빼앗는 것입니다.” 하였다. 
			                              
                        			
                        		
                        		
	                     		
			                       	
			                       	
	                     		
		                        
                        	
		                        
		                        
		                        
		                        
                        		
                        	
		                        
		                        
		                        
		                        	
		                        	
		                        
		                        
                        		
                        		
                        			
			                        
			                        	상上이 그 말을 옳게 여겨서 경휘敬暉를 평양왕平陽王으로, 환언범桓彦範을 부양왕扶陽王으로, 장간지張柬之를 한양왕漢陽王으로, 원서기袁恕己를 남양왕南陽王으로, 최현위崔玄暐를 박릉왕博陵王으로 삼고서 그들이 맡고 있는 정사를 파하게 하였다. 
			                              
                        			
                        		
                        		
	                     		
			                       	
			                       	
	                     		
		                        
                        	
		                        
		                        
		                        
		                        
                        		
                        	
		                        
		                        
		                        
		                        	
		                        	
		                        
		                        
                        		
                        		
                        			
			                        
			                        	무삼사武三思가 백관百官들로 하여금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정사를 닦게 할 것을 도모하여 무씨武氏를 따르지 않는 자들을 배척하고 오왕五王에게 축출당한 자들을 다시 등용하니, 대권大權이 모두 무삼사武三思에게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