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1)

통감절요(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甲戌]〈秦二十, 楚王負芻元, 燕二十八, 魏王假元, 齊三十八年이라
○ 代王嘉元年이라
○ 舊國五 新國一이라
○ 凡六國이라
荊軻至咸陽하니 大喜하야 朝服設九賓注+[頭註]文物大備 卽謂九賓也 或云 周禮九儀公侯伯子男公卿大夫士也 一說 謂傳儐之儐이니 儐者 九人也而見之하다
荊軻奉圖하야 以進於王이러니 圖窮而匕首이어늘
因把王袖而揕之할새 未至身하야 驚起하야 袖絶하니
荊軻逐王한대 環柱而走하다
秦法 群臣侍殿上者 不得操尺寸之兵이라
左右以手共搏之하고 且曰 王 負劍注+[頭註]古者帶劍하니 劍長하야 未易拔故 欲王推之於背하야 令前短하야 易拔也 一曰 負猶持也 曲禮 負劍辟咡라한대 以手挾童子於脅下하야 如帶劍然也負劍하소서 遂拔〈劍〉하야 以擊荊軻하야 斷其左股하고 遂體解以徇하다
於是 益發兵伐燕하야 戰於易水注+[原註]源出易州南安閻山하야 東經霸州文安하야 入寇[滱]하니 按卽漢固安縣也之西하야 大破之하니 燕王 斬丹獻王이어늘 復進兵攻之하다
○ 王 問於將軍李信曰 吾欲取하노니 於將軍 用幾何人而足 李信曰 不過用二十萬이니이다
問王翦한대 王翦曰 非六十萬人이면 不可하니이다
曰 王將軍 老矣로다
何怯也오하고 遂使李信, 蒙恬으로 將二十萬人하야 伐楚하다


갑술(B.C.227) - 秦나라 20년, 楚王 부추負芻원년元年, 燕나라 28년, 魏王 원년元年, 齊나라 38년이다.
○ 代王嘉원년元年이다.
○ 옛 나라가 다섯이고 새로운 나라가 하나이다.
○ 합해서 여섯 나라이다. -
荊軻가 咸陽에 이르니, 왕이 크게 기뻐하여 조복朝服 차림으로 구빈九賓注+[頭註]문물文物을 크게 구비함을 구빈九賓이라 이른다. 혹자는 말하기를 “《주례周禮》의 구의九儀이니, 대부大夫이다.” 하였다. 일설一說에 “은 명령을 전달하는 을 이르니, 하는 자가 아홉 명이다.” 하였다. 진설陳設하고 만나 보았다.
荊軻가 지도를 받들어 왕에게 올렸는데, 지도가 다하자 비수匕首가 보였다.
荊軻가 인하여 왕의 소매를 잡고 찌르려 할 적에 비수匕首가 왕의 몸에 이르기 전에 왕이 놀라 일어나 소매가 끊어졌다.
荊軻가 왕을 쫓자 왕이 기둥을 돌며 도망하였다.
秦나라 법에 대궐 위에서 모시는 신하들은 한 자나 한 치의 병기도 휴대할 수가 없었다.
좌우의 신하들이 손으로 함께 荊軻를 붙잡고, 또 말하기를 “왕은 칼을 등으로注+[頭註]옛날에 검을 차니, 검이 길어서 쉽게 뽑을 수가 없기 때문에 왕으로 하여금 등으로 밀어서 앞이 짧게 하여 뽑기 쉽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일설一說에 “는 잡음과 같다. 〈곡례曲禮〉에 ‘칼을 차듯이 옆에 끼고 입가까지 몸을 기울인다.’ 하였는데, 에 ‘손으로 동자童子를 겨드랑이 밑에 잡아서 마치 칼을 차는 듯한 것이다.’라고 했다.” 하였다. 돌려 뽑으소서.” 하니, 왕이 마침내 검을 뽑아 荊軻를 쳐서 왼쪽 다리를 자르고 마침내 해체하여 조리돌렸다.
이에 더욱 군대를 일으켜 燕나라를 쳐서 易水의注+[原註]역수易水는 근원이 역주易州 남쪽 안염산安閻山에서 나와 동쪽으로 패주霸州 문안文安을 지나 구주滱州로 들어가니, 바로 나라 고안현固安縣이다. 서쪽에서 싸워 대파하니, 연왕燕王이 丹을 목 베어 왕에게 바쳤으나 왕이 다시 진군進軍하여 공격하였다.
이 장군 李信에게 묻기를 “내가 荊(楚나라)을 취하려고 하는데 장군의 생각에 몇 명의 병력을 쓰면 충분하겠는가?” 하니, 李信이 말하기를 “20만 명을 동원하는 데 불과합니다.” 하였다.
王翦에게 물으니, 王翦은 말하기를 “60만 명이 아니면 안 됩니다.”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장군은 늙었도다.
어찌 그리도 겁을 내는가.” 하고는 마침내 李信과 蒙恬으로 하여금 20만 명을 거느리고 楚나라를 정벌하게 하였다.


역주
역주1 九賓 : 荊軻 일행을 國賓으로 예우한 것이다.
역주2 : 현
역주3 [譯註]荊 : 楚나라를 가리킨다. 始皇帝의 아버지인 莊襄王의 이름이 楚이므로 楚를 諱하여 荊이라 한 것이다.
역주4 : 탁
동영상 재생
1 [갑술] 진20, 초왕부추원, 연28, 위왕가원, 제38년 409
동영상 재생
2 [갑술] 진20, 초왕부추원, 연28, 위왕가원, 제38년 225

통감절요(1)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