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
이 召河東守季布
하야 欲以爲御史大夫
러니 有言其勇
이 使酒難近
注+[釋義]王氏曰 因酒縱性曰使酒니 卽(醉)[酗]酒也라 難近者는 謂不可與之相親近也라者
어늘 
                        		
                        		
                        		
	                     		
			                       	
			                       	
	                     		
	                     		
		                        
                        	
                        	
                        	
                        	
                        		
                        			
                        			
			                        
			                        	至
하야 留邸
注+[釋義]王氏曰 邸는 舍也니 郡國朝宿之舍在京師者를 率名曰邸라 邸는 至也니 言所歸至也라 近世爲逆旅之稱이라一月
에 見罷
하다 
                        		
                        		
                        		
	                     		
			                       	
			                       	
	                     		
	                     		
		                        
                        	
                        	
                        	
                        	
                        		
                        			
                        			
			                        
			                        	季布因進曰 臣無功
하야 河東
이러니 陛下無故召臣
하시니 
                        		
                        		
                        		
	                     		
			                       	
			                       	
	                     		
	                     		
		                        
                        	
                        	
                        	
                        	
                        		
                        			
                        			
			                        
			                        	此는 人必有以臣欺陛下者요 今臣至에 無所受事하고 罷去하니 此는 人必有毁臣者라
			                         
                        		
                        		
                        		
	                     		
			                       	
			                       	
	                     		
	                     		
		                        
                        	
                        	
                        	
                        	
                        		
                        			
                        			
			                        
			                        	陛下以一人之譽而召臣하시고 以一人之毁而去臣하시니 恐天下有以闚陛下之淺深也일까하노이다
			                         
                        		
                        		
                        		
	                     		
			                       	
			                       	
	                     		
	                     		
		                        
                        	
                        	
                        	
                        	
                        		
                        			
                        			
			                        
			                        	〈史記, 漢書에 竝無淺深二字하니 此參用注文이라〉 上이 良久曰 河東은 吾股肱郡故로 特召君耳로라
			                         
                        		
                        		
                        		
	                     		
			                       	
			                       	
	                     		
	                     		
		                        
                        	
                        	
                        	
                        	
                        		
                        			
                        			
			                        
                        		
                        		
                        		
	                     		
			                       	
			                       	
	                     		
	                     		
		                        
                        	
                        	
                        	
                        	
                        		
                        			
                        			
			                        
			                        	○ 上
이 議以賈誼
로 任公卿之位
러니 大臣
이 多短之
注+[原註]漢書云 絳灌之屬이 害之라하야 曰 洛陽之人
이 年少初學
으로 專欲擅權
하야 紛亂諸事
라한대 
                        		
                        		
                        		
	                     		
			                       	
			                       	
	                     		
	                     		
		                        
                        	
                        	
                        	
                        	
                        		
                        			
                        			
			                        
                        		
                        		
                        		
	                     		
			                       	
			                       	
	                     		
	                     		
		                        
                        	
                        	
                        	
                        	
                        		
                        			
                        			
			                        
			                        	後
에 帝思誼
하야 召至入見
할새 上
이 方受
坐
이러니 因感鬼神事
하야 而問鬼神之本
한대 誼具道其所以然之故
하야 至夜半
이라 
                        		
                        		
                        		
	                     		
			                       	
			                       	
	                     		
	                     		
		                        
                        	
                        	
                        	
                        	
                        		
                        			
                        			
			                        
			                        	帝前席이러니 旣罷에 曰 吾久不見賈生이라 自以爲過之러니 今不及也라하고 乃拜爲梁太傅하다
			                         
                        		
                        		
                        		
	                     		
			                       	
			                       	
	                     		
	                     		
		                        
                        	
                        	
                        	
                        	
                        		
                        			
                        			
			                        
                        		
                        		
                        		
	                     		
			                       	
			                       	
	                     		
	                     		
		                        
                        	
                        	
                        	
                        	
                        		
                        			
                        			
			                        
			                        	○ 絳侯周勃이 就國하야 每河東守尉 行縣至絳에 勃이 自畏恐誅하야 常被甲하고 令家人持兵以見之라
			                         
                        		
                        		
                        		
	                     		
			                       	
			                       	
	                     		
	                     		
		                        
                        	
                        	
                        	
                        	
                        		
                        			
                        			
			                        
			                        	人有上書告勃欲反
이어늘 下廷尉
하야 逮捕
注+[釋義]逮는 及也니 辭之所及者則追捕之라 故謂之逮라勃治之
러니 
                        		
                        		
                        		
	                     		
			                       	
			                       	
	                     		
	                     		
		                        
                        	
                        	
                        	
                        	
                        		
                        			
                        			
			                        
			                        	薄太后曰 絳侯始誅諸呂하고 〈史記漢書에 竝無此一句라〉 綰皇帝璽하야 將兵於北軍하니
			                         
                        		
                        		
                        		
	                     		
			                       	
			                       	
	                     		
	                     		
		                        
                        	
                        	
                        	
                        	
                        		
                        			
                        			
			                        
			                        	不以此時反
하고 今居一小縣
하야 顧欲反耶
注+[釋義]王氏曰 綰은 繫也요 璽는 卽(高)[皇]帝傳國璽라 北軍은 宿衛宮門內호되 於周垣下에 爲區廬하나니 勃持一節하고 入北軍而遂將之하야 以誅諸呂하고 廢少帝하고 手綰璽하니 時에 帝未卽位라 勃이 於此時不反하고 今更有異乎아잇가 
                        		
                        		
                        		
	                     		
			                       	
			                       	
	                     		
	                     		
		                        
                        	
                        	
                        	
                        	
                        		
                        			
                        			
			                        
                        		
                        		
                        		
	                     		
			                       	
			                       	
	                     		
	                     		
		                        
                        	
                        	
                        	
                        	
                        		
                        			
                        			
			                        
                        		
                        		
                        		
	                     		
			                       	
			                       	
	                     		
	                     		
		                        
                        	
                        	
                        	
                        	
                   			
                        	
                        	
                        	
                        	
	                       	
	                       	
	                       	
	                       	
							                       	
	                        
	                        
	                        	
	                        
	                        	
	                        
	                        	
	                        
	                        	
	                        
	                        	
	                        
	                        	
	                        
	                        	
	                        
	                        	
	                        
	                        	
	                        
	                        	
	                        
	                        	
	                        
	                        	
	                        
	                        	
	                        
	                        	
	                        
	                        	
	                        
	                        	
	                        
	                        	
	                        
	                        	
	                        
	                        	
	                        
	                        	
	                        
	                        	
	                        
	                        	
	                        
	                        	
	                        
	                        	
	                        
	                        	
	                        
	                        	
	                        
	                        	
	                        
	                        	
	                        
	                        	
	                        
	                        	
	                        
	                        	
	                        
	                        	
	                        
	                        	
	                        
	                        	
	                        
	                        	
	                        
	                        	
	                        
	                        	
	                        
	                        	
	                        
	                        
	                        
                        	
		                        
		                        
		                        
		                        
                        		
                        	
		                        
		                        
		                        
		                        	
		                        	
		                        
		                        
                        		
                        		
                        			
			                             
                        			
                        		
                        		
	                     		
			                       	
			                       	
	                     		
		                        
                        	
		                        
		                        
		                        
		                        
                        		
                        	
		                        
		                        
		                        
		                        	
		                        	
		                        
		                        
                        		
                        		
                        			
			                        
			                        	상上이 
하동태수河東太守계포季布를 불러서 
어사대부御史大夫로 삼고자 하였는데, 그의 만용이 술주정을 하여 가까이하기 어렵다고
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술에 취함으로 인하여 성질을 부리는 것을 사주使酒라 하니, 바로 술주정하는 것이다. 가까이하기 어렵다는 것은 더불어 서로 친근히 할 수 없음을 이른다.”  말하는 자가 있었다. 
 
			                              
                        			
                        		
                        		
	                     		
			                       	
			                       	
	                     		
		                        
                        	
		                        
		                        
		                        
		                        
                        		
                        	
		                        
		                        
		                        
		                        	
		                        	
		                        
		                        
                        		
                        		
                        			
			                        
			                        	계포季布가 와서 
저사邸舍(여관)에
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저邸는 집이니, 군국郡國에서 조회왔을 때에 유숙하는 집으로 경사京師에 있는 것을 모두 이름하여 저邸라 한다. 저邸는 이른다는 뜻이니, 돌아가 이르는 바를 말한다. 근세에는 역려逆旅(나그네를 맞이함)라는 칭호로 쓴다.”  머문 지 한 달 만에 내침을 당하였다. 
 
			                              
                        			
                        		
                        		
	                     		
			                       	
			                       	
	                     		
		                        
                        	
		                        
		                        
		                        
		                        
                        		
                        	
		                        
		                        
		                        
		                        	
		                        	
		                        
		                        
                        		
                        		
                        			
			                        
			                        	계포季布가 인하여 나와서 말하기를 “신이 공功이 없으면서 하동河東을 맡고 있었는데 폐하께서 이유없이 신을 부르셨으니,
			                              
                        			
                        		
                        		
	                     		
			                       	
			                       	
	                     		
		                        
                        	
		                        
		                        
		                        
		                        
                        		
                        	
		                        
		                        
		                        
		                        	
		                        	
		                        
		                        
                        		
                        		
                        			
			                        
			                        	 이는 사람 중에 반드시 신을 가지고 폐하를 속인 자가 있었던 것이요, 지금 신이 와서 일을 받은 것이 없는데 물리쳐 버리시니, 이는 사람 중에 반드시 신을 훼방毁謗한 자가 있는 것입니다.
			                              
                        			
                        		
                        		
	                     		
			                       	
			                       	
	                     		
		                        
                        	
		                        
		                        
		                        
		                        
                        		
                        	
		                        
		                        
		                        
		                        	
		                        	
		                        
		                        
                        		
                        		
                        			
			                        
			                        	폐하께서 한 사람이 칭찬한다 하여 신을 부르시고 한 사람이 훼방한다 하여 신을 버리시니, 신은 천하가 폐하의 깊고 얕음을 엿볼까 두렵습니다.” 하였다.
			                              
                        			
                        		
                        		
	                     		
			                       	
			                       	
	                     		
		                        
                        	
		                        
		                        
		                        
		                        
                        		
                        	
		                        
		                        
		                        
		                        	
		                        	
		                        
		                        
                        		
                        		
                        			
			                        
			                        	-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는 모두 천심淺深 두 글자가 없으니, 이는 주注의 글을 참고하여 쓴 것이다. - 상上은 한참 있다가 말하기를 “하동河東 지방은 나의 수족과 같은 고을이기 때문에 특별히 그대를 부른 것이다.” 하였다.
			                              
                        			
                        		
                        		
	                     		
			                       	
			                       	
	                     		
		                        
                        	
		                        
		                        
		                        
		                        
                        		
                        	
		                        
		                        
		                        
		                        	
		                        	
		                        
		                        
                        		
                        		
                        			
			                             
                        			
                        		
                        		
	                     		
			                       	
			                       	
	                     		
		                        
                        	
		                        
		                        
		                        
		                        
                        		
                        	
		                        
		                        
		                        
		                        	
		                        	
		                        
		                        
                        		
                        		
                        			
			                        
			                        	상上이, 
가의賈誼에게 
공경公卿의 지위를 맡길 것을 의논하였는데, 대신들이 많이 그를 훼방하여
注+[原註]《한서漢書》에 이르기를 “강후絳侯주발周勃과 관영灌嬰 등이 그를 방해했다.” 하였다.  말하기를 “
낙양洛陽 사람이 나이 젊은 초학자로 오로지 권력을 독점하고자 하여 여러 가지 일을 어지럽힙니다.” 하자,
 
			                              
                        			
                        		
                        		
	                     		
			                       	
			                       	
	                     		
		                        
                        	
		                        
		                        
		                        
		                        
                        		
                        	
		                        
		                        
		                        
		                        	
		                        	
		                        
		                        
                        		
                        		
                        			
			                        
			                        	 이에 천자天子 또한 뒤에 그를 소원히 하여 그의 건의를 따르지 않고 장사왕長沙王태부太傅로 삼았다.
			                              
                        			
                        		
                        		
	                     		
			                       	
			                       	
	                     		
		                        
                        	
		                        
		                        
		                        
		                        
                        		
                        	
		                        
		                        
		                        
		                        	
		                        	
		                        
		                        
                        		
                        		
                        			
			                        
			                        	뒤에 황제가 가의賈誼를 그리워하여 불러, 와서 들어가 뵈올 적에 상上이 막 〈제사를 지내고〉 복福을 받기 위하여 선실宣室에 앉아 있었는데, 인하여 귀신의 일에 감동하여 귀신의 근본에 대해 묻자, 가의賈誼가 그 소이연所以然의 이유를 말하여 한밤중에 이르렀다.
			                              
                        			
                        		
                        		
	                     		
			                       	
			                       	
	                     		
		                        
                        	
		                        
		                        
		                        
		                        
                        		
                        	
		                        
		                        
		                        
		                        	
		                        	
		                        
		                        
                        		
                        		
                        			
			                        
			                        	황제가 흥미를 느껴서 자리를 당겨 가의賈誼를 앞으로 가까이 오게 하였는데, 이미 끝나고 나서 말하기를 “내 오랫동안 가생賈生을 만나 보지 못하였기에 스스로 그보다 낫다고 여겼는데 이제 미치지 못한다.” 하고는 마침내 제수하여 양왕梁王의 태부太傅로 삼았다.
			                              
                        			
                        		
                        		
	                     		
			                       	
			                       	
	                     		
		                        
                        	
		                        
		                        
		                        
		                        
                        		
                        	
		                        
		                        
		                        
		                        	
		                        	
		                        
		                        
                        		
                        		
                        			
			                             
                        			
                        		
                        		
	                     		
			                       	
			                       	
	                     		
		                        
                        	
		                        
		                        
		                        
		                        
                        		
                        	
		                        
		                        
		                        
		                        	
		                        	
		                        
		                        
                        		
                        		
                        			
			                        
			                        	강후絳侯주발周勃이 자기 나라로 나아가서 매번 하동河東의 수守와 위尉가 현縣을 순행하여 강현絳縣에 이르면, 주발周勃이 스스로 죽임을 당할까 두려워해서 항상 갑옷을 입고 집안 사람들로 하여금 병기兵器를 잡게 하고서 그들을 만나 보았다.
			                              
                        			
                        		
                        		
	                     		
			                       	
			                       	
	                     		
		                        
                        	
		                        
		                        
		                        
		                        
                        		
                        	
		                        
		                        
		                        
		                        	
		                        	
		                        
		                        
                        		
                        		
                        			
			                        
			                        	어떤 사람이 글을 올려 
주발周勃이 배반하려 한다고 고하자, 
정위廷尉에게 내려 
주발周勃을 체포하여
注+[釋義]체逮는 미침이니, 논죄하는 말이 미친 자는 쫓아가 체포한다. 그러므로 체逮라 이른다.  죄를 다스리게 했는데,
      
                        			
                        		
                        		
	                     		
			                       	
			                       	
	                     		
		                        
                        	
		                        
		                        
		                        
		                        
                        		
                        	
		                        
		                        
		                        
		                        	
		                        	
		                        
		                        
                        		
                        		
                        			
			                        
			                        	 박태후薄太后가 말하기를 “강후絳侯가 처음 여러 여씨呂氏를 죽이고 -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는 모두 이 한 구句가 없음 - 황제의 옥새를 꿰어 차고서 북군北軍에서 군대를 거느리고 있었는데,
			                              
                        			
                        		
                        		
	                     		
			                       	
			                       	
	                     		
		                        
                        	
		                        
		                        
		                        
		                        
                        		
                        	
		                        
		                        
		                        
		                        	
		                        	
		                        
		                        
                        		
                        		
                        			
			                        
			                        	 이때에 배반하지 않고 지금 한 작은 
현縣에 있으면서 도리어 배반하고자 하겠습니까?” 하였다.
注+[釋義]綰皇帝璽……顧欲反邪:왕씨王氏가 말하였다. “관綰은 매는 것이고, 새璽는 바로 황제皇帝의 전국새傳國璽이다. 북군北軍은 궁문 안을 숙위宿衛하는데, 둘러친 담장 아래에 구려區廬(초소)를 만들었다. 주발周勃이 한 절節을 가지고 북군北軍에 들어가 마침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여러 여씨呂氏를 죽이고 소제少帝를 폐한 다음 손에 옥새를 꿰어 찼으니, 이때에 문제文帝가 아직 즉위하지 않았다. 그런데 주발周勃이 이때 배반하지 않고 지금 다시 딴 마음이 있겠는가?”       
                        			
                        		
                        		
	                     		
			                       	
			                       	
	                     		
		                        
                        	
		                        
		                        
		                        
		                        
                        		
                        	
		                        
		                        
		                        
		                        	
		                        	
		                        
		                        
                        		
                        		
                        			
			                        
			                        	황제가 이에 사자使者를 시켜 절節을 가지고 가서 강후絳侯를 사면하여 관작과 고을을 회복하게 하였다.
			                              
                        			
                        		
                        		
	                     		
			                       	
			                       	
	                     		
		                        
                        	
		                        
		                        
		                        
		                        
                        		
                        	
		                        
		                        
		                        
		                        	
		                        	
		                        
		                        
                        		
                        		
                        			
			                             
                        			
                        		
                        		
	                     		
			                       	
			                       	
	                     		
		                        
                        	
                        	
                   			
                   			
                   			
	                        
	                        
	                        	
	                        
	                        
	                        
	                        
	                        
	                        
	                        
	                        
	                        
	                        
	                        	
				                        
			                        		
			                        		
			                        		
			                        		
			                        		
			                                     
	                                           	
			                                    	
			                                    
			                                    
			                                    
			                                    	1
			                                        [을축] 4년
			                                        
													
													
			                                        
			                                    
			                                 
			                        	
			                        		
			                        		
			                        		
			                        		
			                        		
			                                     
	                                           	
			                                    
			                                    	
			                                    
			                                    
			                                    	2
			                                        [을축] 4년
			                                        
													
													319
			                                        
			                                    
			                                 
			                        	
			                        		
			                        		
			                        		
			                        		
			                        		
			                                     
	                                           	
			                                    
			                                    	
			                                    
			                                    
			                                    	3
			                                        [을축] 4년
			                                        
													
													332
			                                        
			                                    
			                                 
			                        	
			                        		
			                        		
			                        		
			                        		
			                        		
			                                     
	                                           	
			                                    
			                                    	
			                                    
			                                    
			                                    	4
			                                        [을축] 4년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