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癸卯]三年
注+[釋義]按綱目攷異曰 當依提要及紫陽書院本하야 大書三年하고 分註帝禪建興元年이니 今綱目은 蓋傳寫鈔錄之誤耳라이라 〈帝禪建興元年
이요 魏黃初四年
이요 吳黃武二年
이라〉
 
                        		
                        		
                        		
	                     		
			                       	
			                       	
	                     		
	                     		
		                        
                        	
                        	
                        	
                        	
                        		
                        			
                        			
			                        
			                        	初에 魏主丕問賈詡曰 吾欲伐不從命하야 以一天下하노니 吳, 蜀에 何先고 對曰 攻取者는 先兵權하고 建本者는 尙德化하나니
			                         
                        		
                        		
                        		
	                     		
			                       	
			                       	
	                     		
	                     		
		                        
                        	
                        	
                        	
                        	
                        		
                        			
                        			
			                        
			                        	陛下應期受禪하사 撫臨率土하시니 若綏之以文德하야 而俟其變이면 則平之不難矣리이다
			                         
                        		
                        		
                        		
	                     		
			                       	
			                       	
	                     		
	                     		
		                        
                        	
                        	
                        	
                        	
                        		
                        			
                        			
			                        
			                        	吳, 蜀
이 雖
爾注+[頭註]蕞는 小貌라小國이나 依山阻水
하며 劉備
는 有雄才
하고 諸葛亮
은 善治國
하고 孫權
은 識虛實
하고 陸遜
은 見兵勢
하야 據險守要하고 汎舟江湖
注+[頭註]守要는 謂蜀이요 江湖는 謂吳라하니 皆難卒(猝)謀也
니이다 
                        		
                        		
                        		
	                     		
			                       	
			                       	
	                     		
	                     		
		                        
                        	
                        	
                        	
                        	
                        		
                        			
                        			
			                        
                        		
                        		
                        		
	                     		
			                       	
			                       	
	                     		
	                     		
		                        
                        	
                        	
                        	
                        	
                        		
                        			
                        			
			                        
                        		
                        		
                        		
	                     		
			                       	
			                       	
	                     		
	                     		
		                        
                        	
                        	
                        	
                        	
                        		
                        			
                        			
			                        
			                        	臣
은 竊料群臣
에 無備, 權對
注+[頭註]對는 當也니 言無劉備孫權之對也라하니 雖以天威臨之
나 未見萬全之勢也
니이다 
                        		
                        		
                        		
	                     		
			                       	
			                       	
	                     		
	                     		
		                        
                        	
                        	
                        	
                        	
                        		
                        			
                        			
			                        
                        		
                        		
                        		
	                     		
			                       	
			                       	
	                     		
	                     		
		                        
                        	
                        	
                        	
                        	
                        		
                        			
                        			
			                        
			                        	○ 帝病篤하야 命丞相亮하야 輔太子하고 以尙書令李嚴爲副하다
			                         
                        		
                        		
                        		
	                     		
			                       	
			                       	
	                     		
	                     		
		                        
                        	
                        	
                        	
                        	
                        		
                        			
                        			
			                        
			                        	帝謂亮曰 君才十倍曹丕하니 必能安國이요 終定大事하리니
			                         
                        		
                        		
                        		
	                     		
			                       	
			                       	
	                     		
	                     		
		                        
                        	
                        	
                        	
                        	
                        		
                        			
                        			
			                        
			                        	若嗣子 可輔어든 輔之하고 如其不才어든 君可自取하라
			                         
                        		
                        		
                        		
	                     		
			                       	
			                       	
	                     		
	                     		
		                        
                        	
                        	
                        	
                        	
                        		
                        			
                        			
			                        
			                        	亮涕泣曰 臣이 敢不竭股肱之力하야 效忠貞之節하고 繼之以死리잇고
			                         
                        		
                        		
                        		
	                     		
			                       	
			                       	
	                     		
	                     		
		                        
                        	
                        	
                        	
                        	
                        		
                        			
                        			
			                        
			                        	帝又爲詔
하야 勅太子曰 人五十
이면 不稱夭
注+[通鑑要解]短折曰夭라라하니 吾年
이 已六十有餘
라 何所復恨
이리오마는 
                        		
                        		
                        		
	                     		
			                       	
			                       	
	                     		
	                     		
		                        
                        	
                        	
                        	
                        	
                        		
                        			
                        			
			                        
			                        	但以卿兄弟爲念耳니 勉之勉之하야 勿以惡小而爲之하고 勿以善小而不爲하라
			                         
                        		
                        		
                        		
	                     		
			                       	
			                       	
	                     		
	                     		
		                        
                        	
                        	
                        	
                        	
                        		
                        			
                        			
			                        
			                        	 惟賢惟德이라야 可以服人이니 汝父는 德薄이라 不足效也어니와
			                         
                        		
                        		
                        		
	                     		
			                       	
			                       	
	                     		
	                     		
		                        
                        	
                        	
                        	
                        	
                        		
                        			
                        			
			                        
			                        	汝與丞相從事
하야 事之如父하라하고 四月
에 帝崩於永安
注+[釋義]漢魚腹縣이니 屬巴郡이라 公孫述更名白帝城하고 有永安宮일새 昭烈이 改永安縣하니라하니 諡曰 昭烈
이라하다 
                        		
                        		
                        		
	                     		
			                       	
			                       	
	                     		
	                     		
		                        
                        	
                        	
                        	
                        	
                        		
                        			
                        			
			                        
                        		
                        		
                        		
	                     		
			                       	
			                       	
	                     		
	                     		
		                        
                        	
                        	
                        	
                        	
                        		
                        			
                        			
			                        
			                        	[史略 史評]愚按 昭烈이 以帝室之冑요 傑出之才로 起兵涿郡하야 志存匡復하야 受天子之密詔하고 討擅命之姦臣이라
			                         
                        		
                        		
                        		
	                     		
			                       	
			                       	
	                     		
	                     		
		                        
                        	
                        	
                        	
                        	
                        		
                        			
                        			
			                        
			                        	旁求群賢하야 不辭三顧하니 伏龍이 以之而奮躍하고 鳳雛以之而飛翔하야 雖顚沛險難而信義愈明하고 勢迫事危而言不失道하야 追景升之顧則情動三軍하고 戀赴義之士則甘與同敗라
			                         
                        		
                        		
                        		
	                     		
			                       	
			                       	
	                     		
	                     		
		                        
                        	
                        	
                        	
                        	
                        		
                        			
                        			
			                        
			                        	故로 能合吳軍而大破曹瞞於赤壁하고 仗義兵而薄伐劉璋於成都하며 用趙雲而取漢中하고 遣關羽而攻樊許하야 威震華夏하야 幾復舊都러니
			                         
                        		
                        		
                        		
	                     		
			                       	
			                       	
	                     		
	                     		
		                        
                        	
                        	
                        	
                        	
                        		
                        			
                        			
			                        
			                        	惜乎라 因爭荊州而孫權離心하고 致吳違盟而關羽喪首하야 卒不能削平僭僞하고 混一中原하니 可勝歎哉아
			                         
                        		
                        		
                        		
	                     		
			                       	
			                       	
	                     		
	                     		
		                        
                        	
                        	
                        	
                        	
                        		
                        			
                        			
			                        
			                        	然이나 能君臨蜀都하야 使赤帝子之祀로 不至墜絶이 又數十年이라
			                         
                        		
                        		
                        		
	                     		
			                       	
			                       	
	                     		
	                     		
		                        
                        	
                        	
                        	
                        	
                        		
                        			
                        			
			                        
			                        	與光武卽位鄗南과 晉元卽位江左로 先後一轍하니 謂非中興賢君이 可乎아
			                         
                        		
                        		
                        		
	                     		
			                       	
			                       	
	                     		
	                     		
		                        
                        	
                        	
                        	
                        	
                        		
                        			
                        			
			                        
                        		
                        		
                        		
	                     		
			                       	
			                       	
	                     		
	                     		
		                        
                        	
                        	
                        	
                        	
                        		
                        			
                        			
			                        
			                        	尊皇后曰 皇太后라하고 封丞相亮하야 爲武鄕侯하야 領益州牧하고 政事를 無巨細히 咸決於亮하니 亮이 乃約官職하고 修法制하다
			                         
                        		
                        		
                        		
	                     		
			                       	
			                       	
	                     		
	                     		
		                        
                        	
                        	
                        	
                        	
                        		
                        			
                        			
			                        
			                        	亮
이 嘗自校簿書
러니 主簿楊
이 直入諫曰 
爲治有體하니 上下不可相侵
이라 
                        		
                        		
                        		
	                     		
			                       	
			                       	
	                     		
	                     		
		                        
                        	
                        	
                        	
                        	
                        		
                        			
                        			
			                        
			                        	是故로 古人이 稱坐而論道는 謂之王公이요 作而行之는 謂之士大夫라
			                         
                        		
                        		
                        		
	                     		
			                       	
			                       	
	                     		
	                     		
		                        
                        	
                        	
                        	
                        	
                        		
                        			
                        			
			                        
                        		
                        		
                        		
	                     		
			                       	
			                       	
	                     		
	                     		
		                        
                        	
                        	
                        	
                        	
                        		
                        			
                        			
			                        
			                        	今明公爲治에 乃躬自校簿書하야 流汗終日하니 不亦勞乎아하니 亮이 謝之러니
			                         
                        		
                        		
                        		
	                     		
			                       	
			                       	
	                     		
	                     		
		                        
                        	
                        	
                        	
                        	
                        		
                        			
                        			
			                        
                        		
                        		
                        		
	                     		
			                       	
			                       	
	                     		
	                     		
		                        
                        	
                        	
                        	
                        	
                        		
                        			
                        			
			                        
                        		
                        		
                        		
	                     		
			                       	
			                       	
	                     		
	                     		
		                        
                        	
                        	
                        	
                        	
                        		
                        			
                        			
			                        
                        		
                        		
                        		
	                     		
			                       	
			                       	
	                     		
	                     		
		                        
                        	
                        	
                        	
                        	
                        		
                        			
                        			
			                        
			                        	不時見芝어늘 芝乃自表請見曰 臣이 今來는 亦欲爲吳요 非但爲蜀也니이다
			                         
                        		
                        		
                        		
	                     		
			                       	
			                       	
	                     		
	                     		
		                        
                        	
                        	
                        	
                        	
                        		
                        			
                        			
			                        
			                        	吳王이 見之하고 曰 孤誠願與蜀和親이나 然恐蜀主幼弱하고 國小勢偪하야 爲魏所乘하야 不自保全耳로라
			                         
                        		
                        		
                        		
	                     		
			                       	
			                       	
	                     		
	                     		
		                        
                        	
                        	
                        	
                        	
                        		
                        			
                        			
			                        
			                        	 芝對曰 吳, 蜀二國
은 四州
注+[頭註]荊, 揚, 梁, 益이라之地
요 大王
은 命世之英이요 諸葛亮
은 亦一時之傑也
라 
                        		
                        		
                        		
	                     		
			                       	
			                       	
	                     		
	                     		
		                        
                        	
                        	
                        	
                        	
                        		
                        			
                        			
			                        
			                        	蜀有重險之固
注+[通鑑要解]重險은 謂外有斜谷, 駱谷, 子午谷之險也요 內有劍閣之險也라하고 吳有三江
注+[頭註]松江, 錢塘江, 浦陽江이라之阻
하니 合此二長
하야 共爲脣齒
면 進可幷兼天下요 退可鼎足而立하리이다 
                        		
                        		
                        		
	                     		
			                       	
			                       	
	                     		
	                     		
		                        
                        	
                        	
                        	
                        	
                        		
                        			
                        			
			                        
			                        	大王이 今若委質於魏면 魏必上望大王之入朝하고 下求太子之內侍요
			                         
                        		
                        		
                        		
	                     		
			                       	
			                       	
	                     		
	                     		
		                        
                        	
                        	
                        	
                        	
                        		
                        			
                        			
			                        
			                        	 若不從命이면 則奉辭伐叛하고 蜀亦順流하야 見可而進하리니 如此면 江南之地는 非復大王之有也리이다
			                         
                        		
                        		
                        		
	                     		
			                       	
			                       	
	                     		
	                     		
		                        
                        	
                        	
                        	
                        	
                        		
                        			
                        			
			                        
                        		
                        		
                        		
	                     		
			                       	
			                       	
	                     		
	                     		
		                        
                        	
                        	
                        	
                        	
                        		
                        			
                        			
			                        
                        		
                        		
                        		
	                     		
			                       	
			                       	
	                     		
	                     		
		                        
                        	
                        	
                        	
                        	
                   			
                        	
                        	
                        	
                        	
	                       	
	                       	
	                       	
	                       	
							                       	
	                        
	                        
	                        	
	                        
	                        	
	                        
	                        	
	                        
	                        	
	                        
	                        	
	                        
	                        	
	                        
	                        	
	                        
	                        	
	                        
	                        	
	                        
	                        	
	                        
	                        	
	                        
	                        	
	                        
	                        	
	                        
	                        	
	                        
	                        	
	                        
	                        	
	                        
	                        	
	                        
	                        	
	                        
	                        	
	                        
	                        	
	                        
	                        	
	                        
	                        	
	                        
	                        	
	                        
	                        	
	                        
	                        	
	                        
	                        	
	                        
	                        	
	                        
	                        	
	                        
	                        	
	                        
	                        	
	                        
	                        	
	                        
	                        	
	                        
	                        	
	                        
	                        	
	                        
	                        	
	                        
	                        	
	                        
	                        	
	                        
	                        	
	                        
	                        	
	                        
	                        	
	                        
	                        	
	                        
	                        	
	                        
	                        	
	                        
	                        	
	                        
	                        	
	                        
	                        	
	                        
	                        	
	                        
	                        	
	                        
	                        	
	                        
	                        	
	                        
	                        	
	                        
	                        	
	                        
	                        	
	                        
	                        	
	                        
	                        	
	                        
	                        	
	                        
	                        	
	                        
	                        	
	                        
	                        	
	                        
	                        	
	                        
	                        	
	                        
	                        	
	                        
	                        	
	                        
	                        	
	                        
	                        	
	                        
	                        	
	                        
	                        	
	                        
	                        	
	                        
	                        	
	                        
	                        	
	                        
	                        	
	                        
	                        	
	                        
	                        	
	                        
	                        	
	                        
	                        	
	                        
	                        	
	                        
	                        	
	                        
	                        	
	                        
	                        	
	                        
	                        	
	                        
	                        
	                        
                        	
		                        
		                        
		                        
		                        
                        		
                        	
		                        
		                        
		                        
		                        	
		                        	
		                        
		                        
                        		
                        		
                        			
			                        
			                        	장무章武 3년(계묘 223)
注+[釋義]살펴보건대 《통감강목고이通鑑綱目攷異》에 이르기를 “마땅히 《강목제요綱目提要》와 자양서원간본紫陽書院刊本 《강목綱目》을 따라 삼년三年이라고 크게 쓰고 제선帝禪 건흥建興 원년元年이라고 분주分註해야 하는데, 지금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전사傳寫할 때에 기록을 잘못한 것이다.” 하였다.  - 
제선帝禪 건흥建興 원년元年, 
위魏나라 
황초黃初 4년, 
오吳나라 
황무黃武 2년이다. -
 
			                              
                        			
                        		
                        		
	                     		
			                       	
			                       	
	                     		
		                        
                        	
		                        
		                        
		                        
		                        
                        		
                        	
		                        
		                        
		                        
		                        	
		                        	
		                        
		                        
                        		
                        		
                        			
			                        
			                        	처음에 위주魏主 조비曹丕가 가후賈詡에게 묻기를 “내가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들을 정벌하여 천하를 통일하고자 하니, 오吳와 촉한蜀漢 중에 어느 쪽을 먼저 해야 하는가?” 하니, 가후賈詡가 대답하기를 “공격해서 취하는 자는 병략兵略과 권모술수를 먼저 하고 근본을 세우는 자는 덕화德化를 숭상합니다.
			                              
                        			
                        		
                        		
	                     		
			                       	
			                       	
	                     		
		                        
                        	
		                        
		                        
		                        
		                        
                        		
                        	
		                        
		                        
		                        
		                        	
		                        	
		                        
		                        
                        		
                        		
                        			
			                        
			                        	폐하께서는 천시天時에 응하여 선양禪讓을 받아 온 천하에 군림君臨하시니, 만약 문덕文德으로써 민심을 편안하게 하면서 적의 변란이 있기를 기다린다면 천하를 평정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오吳와 
촉한蜀漢은 비록 매우 작은
注+[頭註]최蕞는 작은 모양이다.  약소국이지만 산과 물의 험고함에 의지하여 지키고 있으며, 
유비劉備는 뛰어난 재주가 있고 
제갈량諸葛亮은 나라를 잘 다스리며 
손권孫權은 
허실虛實을 알고 
육손陸遜은 군대의 형세에 정통하여, 
촉한蜀漢은 험한 곳을 점거하고 요해처를 지키며 
오吳나라는 
강호江湖에 배를 띄우고 있으니,
注+[頭註]據險守要 범주강호汎舟江湖:요해처를 지킨다는 것은 촉한蜀漢을 이르고, 강호江湖에 배를 띄운다는 것은 오吳나라를 이른다.  모두 갑자기 도모하기가 어렵습니다. 
 
			                              
                        			
                        		
                        		
	                     		
			                       	
			                       	
	                     		
		                        
                        	
		                        
		                        
		                        
		                        
                        		
                        	
		                        
		                        
		                        
		                        	
		                        	
		                        
		                        
                        		
                        		
                        			
			                        
			                        	용병用兵하는 방법은 먼저 승산을 따져 본 뒤에 싸우고, 적을 헤아리며 장수를 논합니다.
			                              
                        			
                        		
                        		
	                     		
			                       	
			                       	
	                     		
		                        
                        	
		                        
		                        
		                        
		                        
                        		
                        	
		                        
		                        
		                        
		                        	
		                        	
		                        
		                        
                        		
                        		
                        			
			                        
			                        	그러므로 거행함에 잘못된 계책이 없는 것입니다.
			                              
                        			
                        		
                        		
	                     		
			                       	
			                       	
	                     		
		                        
                        	
		                        
		                        
		                        
		                        
                        		
                        	
		                        
		                        
		                        
		                        	
		                        	
		                        
		                        
                        		
                        		
                        			
			                        
			                        	신이 엎드려 헤아려보건대 여러 신하 중에 
유비劉備와 
손권孫權의 적수가 없으니,
注+[頭註]無備 권대權對:대對는 대적함이니, 유비劉備와 손권孫權의 상대가 없음을 말한다.  비록 황제의 위엄으로 직접 정벌한다 하시더라도 
만전萬全의 형세를 볼 수 없습니다.” 하였다.
      
                        			
                        		
                        		
	                     		
			                       	
			                       	
	                     		
		                        
                        	
		                        
		                        
		                        
		                        
                        		
                        	
		                        
		                        
		                        
		                        	
		                        	
		                        
		                        
                        		
                        		
                        			
			                        
			                        	조비曹丕가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군대가 끝내 전공戰功을 세우지 못하였다.
			                              
                        			
                        		
                        		
	                     		
			                       	
			                       	
	                     		
		                        
                        	
		                        
		                        
		                        
		                        
                        		
                        	
		                        
		                        
		                        
		                        	
		                        	
		                        
		                        
                        		
                        		
                        			
			                        
			                        	○ 소열제昭烈帝가 병이 위독하자, 승상 제갈량諸葛亮에게 명하여 태자太子를 보필하게 하고 상서령尙書令 이엄李嚴을 부副로 삼았다. 
			                              
                        			
                        		
                        		
	                     		
			                       	
			                       	
	                     		
		                        
                        	
		                        
		                        
		                        
		                        
                        		
                        	
		                        
		                        
		                        
		                        	
		                        	
		                        
		                        
                        		
                        		
                        			
			                        
			                        	소열제昭烈帝가 제갈량諸葛亮에게 이르기를 “그대의 재주가 조비曹丕보다 열 배이니 반드시 나라를 안정시키고 끝내 천하통일의 대업大業을 정할 것이다.
			                              
                        			
                        		
                        		
	                     		
			                       	
			                       	
	                     		
		                        
                        	
		                        
		                        
		                        
		                        
                        		
                        	
		                        
		                        
		                        
		                        	
		                        	
		                        
		                        
                        		
                        		
                        			
			                        
			                        	만일 사자嗣子(太子)가 보필할 만하거든 그를 보필하고, 만일 재주가 없거든 그대가 스스로 황제의 자리를 취하라.” 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이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신이 감히 고굉股肱의 힘을 다하여 충정忠貞의 절개를 바치고 죽음으로써 잇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소열제昭烈帝가 또다시 조칙을 내려 
태자太子에게 경계하기를 “사람이 50에 죽으면 요절
注+[通鑑要解]단절短折(젊은 나이에 죽음)을 요夭라 한다.했다고 칭하지 않는데, 내 나이가 이미 60이 넘었으니, 어찌 다시 한하는 바가 있겠는가.
 
			                              
                        			
                        		
                        		
	                     		
			                       	
			                       	
	                     		
		                        
                        	
		                        
		                        
		                        
		                        
                        		
                        	
		                        
		                        
		                        
		                        	
		                        	
		                        
		                        
                        		
                        		
                        			
			                        
			                        	다만 경卿의 형제 때문에 염려할 뿐이니, 힘쓰고 힘써서 악惡이 작다 하여 하지 말고 선善이 작다 하여 하지 않지 말라.
			                              
                        			
                        		
                        		
	                     		
			                       	
			                       	
	                     		
		                        
                        	
		                        
		                        
		                        
		                        
                        		
                        	
		                        
		                        
		                        
		                        	
		                        	
		                        
		                        
                        		
                        		
                        			
			                        
			                        	오직 어질고 덕이 있어야만 남을 복종시킬 수 있으니, 너의 아비는 덕이 적어 본받을 것이 못 된다.
			                              
                        			
                        		
                        		
	                     		
			                       	
			                       	
	                     		
		                        
                        	
		                        
		                        
		                        
		                        
                        		
                        	
		                        
		                        
		                        
		                        	
		                        	
		                        
		                        
                        		
                        		
                        			
			                        
			                        	너는 승상과 함께 
국정國政에 종사하여 승상을 섬기기를 이 아비와 같이 하라.” 하고, 4월에 
소열제昭烈帝가 
영안永安注+[釋義]영안永安은 한漢나라의 어복현魚腹縣이니 파군巴郡에 속하였다. 공손술公孫述이 이름을 백제성白帝城이라 바꾸었으며, 영안궁永安宮이 있으므로 소열제昭烈帝가 영안현永安縣으로 이름을 고쳤다. 에서 별세하니, 시호를 
소열昭烈이라 하였다.
      
                        			
                        		
                        		
	                     		
			                       	
			                       	
	                     		
		                        
                        	
		                        
		                        
		                        
		                        
                        		
                        	
		                        
		                        
		                        
		                        	
		                        	
		                        
		                        
                        		
                        		
                        			
			                        
			                        	승상 제갈량諸葛亮이 상喪을 받들어 성도成都로 돌아오고, 이엄李嚴을 남겨 두어 영안永安을 진무하게 하였다.
			                              
                        			
                        		
                        		
	                     		
			                       	
			                       	
	                     		
		                        
                        	
		                        
		                        
		                        
		                        
                        		
                        	
		                        
		                        
		                        
		                        	
		                        	
		                        
		                        
                        		
                        		
                        			
			                        
			                        	[史略 사평史評]내 살펴보건대 소열昭烈은 황실의 후손이요 걸출傑出한 재주로 탁군涿郡에서 군대를 일으켜 뜻이 나라를 광복함에 있어서, 천자天子의 밀조密詔를 받고 명령을 제멋대로 내리는 간신姦臣을 토벌하였다.
			                              
                        			
                        		
                        		
	                     		
			                       	
			                       	
	                     		
		                        
                        	
		                        
		                        
		                        
		                        
                        		
                        	
		                        
		                        
		                        
		                        	
		                        	
		                        
		                        
                        		
                        		
                        			
			                        
			                        	사방으로 여러 현자賢者들을 구하여 삼고초려三顧草廬를 사양하지 않으니, 복룡伏龍(諸葛亮)이 이 때문에 분발하여 뛰어나왔고 봉추鳳雛(龐統)가 이 때문에 날아올라서, 비록 전복되고 험난하였으나 신의信義가 더욱 드러나고, 형세가 급박하고 사정이 위태로웠으나 말이 도리를 잃지 않아서, 경승景升(劉表)이 어린 자식을 돌보고 부탁한 것을 추념追念하여 진정眞情이 삼군三軍을 감동시켰고, 의義를 따르는 선비들을 생각하여 그들과 함께 패함을 달게 여겼다.
			                              
                        			
                        		
                        		
	                     		
			                       	
			                       	
	                     		
		                        
                        	
		                        
		                        
		                        
		                        
                        		
                        	
		                        
		                        
		                        
		                        	
		                        	
		                        
		                        
                        		
                        		
                        			
			                        
			                        	이 때문에 오吳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조만曹瞞을 적벽강赤壁江에서 대파하고 의병義兵을 내세워 유장劉璋을 성도成都에서 잠깐 정벌하였으며, 조운趙雲을 등용하여 한중漢中을 점령하고 관우關羽를 보내어 번성樊城과 허도許都를 공격해서 위엄이 화하華夏에 진동하여 거의 옛 도읍을 수복할 수 있었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형주荊州를 다툼으로 인하여 손권孫權이 반심을 품었고, 오吳나라가 맹약을 어기도록 하여 관우關羽가 머리를 잃어서 끝내 참람하고 거짓된 조비曹丕를 평정하고 중원中原을 통일하지 못하였으니, 탄식함을 이루 다 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촉도蜀都에 군림하여 적제자赤帝子의 제사를 끊어짐에 이르지 않게 한 것이 또한 수십 년이었다.
			                              
                        			
                        		
                        		
	                     		
			                       	
			                       	
	                     		
		                        
                        	
		                        
		                        
		                        
		                        
                        		
                        	
		                        
		                        
		                        
		                        	
		                        	
		                        
		                        
                        		
                        		
                        			
			                        
			                        	이는 광무제光武帝가 호읍鄗邑의 남쪽에서 즉위한 것과 진晉나라 원제元帝가 강동江東에서 즉위한 것과 앞뒤로 똑같으니, 중흥中興의 어진 군주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5월에 태자太子 선禪이 제위에 오르니, 이때 나이가 17세였다. 
			                              
                        			
                        		
                        		
	                     		
			                       	
			                       	
	                     		
		                        
                        	
		                        
		                        
		                        
		                        
                        		
                        	
		                        
		                        
		                        
		                        	
		                        	
		                        
		                        
                        		
                        		
                        			
			                        
			                        	황후皇后를 높여 황태후皇太后라 하고, 승상 제갈량諸葛亮을 봉하여 무향후武鄕侯로 삼아 익주목益州牧을 겸하게 하고, 정사를 크고 작음을 가리지 않고 모두 제갈량諸葛亮에게서 결정하니, 제갈량諸葛亮이 마침내 관직을 단속하고 법제를 닦았다.
			                              
                        			
                        		
                        		
	                     		
			                       	
			                       	
	                     		
		                        
                        	
		                        
		                        
		                        
		                        
                        		
                        	
		                        
		                        
		                        
		                        	
		                        	
		                        
		                        
                        		
                        		
                        			
			                        
			                        	제갈량諸葛亮이 일찍이 직접 문서를 대조하였는데, 주부主簿 양옹楊顒이 곧바로 들어와 간하기를 “국가를 다스리는 데에는 체통이 있으니, 상하上下가 서로 침범해서는 안 됩니다.
			                              
                        			
                        		
                        		
	                     		
			                       	
			                       	
	                     		
		                        
                        	
		                        
		                        
		                        
		                        
                        		
                        	
		                        
		                        
		                        
		                        	
		                        	
		                        
		                        
                        		
                        		
                        			
			                        
			                        	이 때문에 옛사람이 ‘앉아서 도道를 논하는 것을 왕공王公이라 이르고 일어서서 시행하는 것을 사대부士大夫라 이른다.’고 칭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병길丙吉이 죽은 사람이 길에 가로누워 있는 것은 묻지 않고 소가 헐떡거리는 것을 걱정하였으며, 진평陳平이 돈과 곡식의 숫자를 알려고 하지 않고 따로 주관하는 자가 있다고 말하였으니, 저들은 진실로 지위와 분수의 체통에 통달한 것입니다.
			                              
                        			
                        		
                        		
	                     		
			                       	
			                       	
	                     		
		                        
                        	
		                        
		                        
		                        
		                        
                        		
                        	
		                        
		                        
		                        
		                        	
		                        	
		                        
		                        
                        		
                        		
                        			
			                        
			                        	이제 명공明公께서 정치를 함에는 도리어 직접 문서를 따져서 종일토록 땀을 흘리고 있으니, 수고롭지 않습니까.” 하니, 제갈량諸葛亮이 사례하였다. 
			                              
                        			
                        		
                        		
	                     		
			                       	
			                       	
	                     		
		                        
                        	
		                        
		                        
		                        
		                        
                        		
                        	
		                        
		                        
		                        
		                        	
		                        	
		                        
		                        
                        		
                        		
                        			
			                        
			                        	양옹楊顒이 죽자, 제갈량諸葛亮은 사흘 동안 눈물을 흘렸다.
			                              
                        			
                        		
                        		
	                     		
			                       	
			                       	
	                     		
		                        
                        	
		                        
		                        
		                        
		                        
                        		
                        	
		                        
		                        
		                        
		                        	
		                        	
		                        
		                        
                        		
                        		
                        			
			                        
			                        	○ 8월에 상서尙書 등지鄧芝를 보내어 오吳나라에 수호修好(우호를 닦음)하였다.
			                              
                        			
                        		
                        		
	                     		
			                       	
			                       	
	                     		
		                        
                        	
		                        
		                        
		                        
		                        
                        		
                        	
		                        
		                        
		                        
		                        	
		                        	
		                        
		                        
                        		
                        		
                        			
			                        
			                        	이때 오왕吳王이 아직도 위魏나라와 단절하지 않고 있었다.
			                              
                        			
                        		
                        		
	                     		
			                       	
			                       	
	                     		
		                        
                        	
		                        
		                        
		                        
		                        
                        		
                        	
		                        
		                        
		                        
		                        	
		                        	
		                        
		                        
                        		
                        		
                        			
			                        
			                        	그리하여 오왕吳王이 제때에 등지鄧芝를 만나 주지 않자, 등지鄧芝가 마침내 스스로 표문表文을 올려 만나 볼 것을 청하며 이르기를 “신이 이번에 온 것은 또한 오吳나라를 위하고자 해서이고, 단지 촉한蜀漢을 위해서일 뿐만이 아닙니다.” 하였다.
			                              
                        			
                        		
                        		
	                     		
			                       	
			                       	
	                     		
		                        
                        	
		                        
		                        
		                        
		                        
                        		
                        	
		                        
		                        
		                        
		                        	
		                        	
		                        
		                        
                        		
                        		
                        			
			                        
			                        	오왕吳王이 그를 만나 보고 말하기를 “내가 진실로 촉한蜀漢과 화친하고자 하나 촉한蜀漢의 군주가 유약하며 나라가 작고 세력이 강하지 못해서, 위魏나라에게 제압당하여 스스로 보전하지 못할까 두렵다.” 하니,
			                              
                        			
                        		
                        		
	                     		
			                       	
			                       	
	                     		
		                        
                        	
		                        
		                        
		                        
		                        
                        		
                        	
		                        
		                        
		                        
		                        	
		                        	
		                        
		                        
                        		
                        		
                        			
			                        
			                        	 등지鄧芝가 대답하기를 “
오吳와 
촉한蜀漢 두 나라는 네 
주州注+[頭註]사주四州는 형주荊州‧양주揚州‧양주梁州‧익주益州이다. 의 땅을 보유하고 
대왕大王은 재주가 세상에 뛰어난 영웅이요 
제갈량諸葛亮 또한 한때의 영걸입니다. 
 
			                              
                        			
                        		
                        		
	                     		
			                       	
			                       	
	                     		
		                        
                        	
		                        
		                        
		                        
		                        
                        		
                        	
		                        
		                        
		                        
		                        	
		                        	
		                        
		                        
                        		
                        		
                        			
			                        
			                        	촉한蜀漢은 지형이 겹겹이 험한 견고함
注+[通鑑要解]중험重險은 밖으로는 사곡斜谷‧낙곡駱谷‧자오곡子午谷의 험함이 있고, 안으로는 검각劍閣의 험함이 있음을 이른다. 이 있고 
오吳나라는 
삼강三江注+[頭註]삼강三江은 송강松江‧전당강錢塘江‧포양강浦陽江이다. 의 막힘이 있으니, 이 두 가지 장점을 합하여 함께 입술과 이처럼 밀접하게 돕는다면, 전진하면 
천하天下를 겸병할 수 있고 물러서면 솥발처럼 벌여 설 수 있습니다. 
 
			                              
                        			
                        		
                        		
	                     		
			                       	
			                       	
	                     		
		                        
                        	
		                        
		                        
		                        
		                        
                        		
                        	
		                        
		                        
		                        
		                        	
		                        	
		                        
		                        
                        		
                        		
                        			
			                        
			                        	대왕大王이 이제 만약 위魏나라에 폐백을 바쳐 신하가 되시면 위魏나라는 반드시 위로는 대왕大王이 들어와 조회하기를 바라고 아래로는 태자太子가 들어와 모시기를 요구할 것이요,
			                              
                        			
                        		
                        		
	                     		
			                       	
			                       	
	                     		
		                        
                        	
		                        
		                        
		                        
		                        
                        		
                        	
		                        
		                        
		                        
		                        	
		                        	
		                        
		                        
                        		
                        		
                        			
			                        
			                        	 만약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황제의 토벌하라는 명을 받들어 배반한 자를 정벌할 것이고 촉한蜀漢 또한 강물을 따라 내려와 가능한 기회를 보고 전진할 것이니, 이와 같다면 강남江南의 땅은 다시 대왕大王의 소유가 아닐 것입니다.” 하였다.
			                              
                        			
                        		
                        		
	                     		
			                       	
			                       	
	                     		
		                        
                        	
		                        
		                        
		                        
		                        
                        		
                        	
		                        
		                        
		                        
		                        	
		                        	
		                        
		                        
                        		
                        		
                        			
			                        
			                        	오吳나라는 마침내 위魏나라와 단절하고 오로지 촉한蜀漢과 연합하였다.
			                              
                        			
                        		
                        		
	                     		
			                       	
			                       	
	                     		
		                        
                        	
		                        
		                        
		                        
		                        
                        		
                        	
		                        
		                        
		                        
		                        	
		                        	
		                        
		                        
                        		
                        		
                        			
			                        
			                        	○ 장씨張氏를 세워서 황후皇后로 삼으니, 장비張飛의 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