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2)

통감절요(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己未]元狩元年이라
淮南王安 謀反할새 且曰 漢廷大臣 獨汲黯 好直諫하고 守節死義하니 難惑以非 至如說丞相弘等하야는 如發蒙振落注+[釋義]王氏曰 發蒙振落 韋昭云 如發去物上之蒙하고 振落樹上之葉이니 言直取之易也라하니라라하더라
伍被詣吏하야 自告與淮南王謀反이어늘 下公卿治러니 十一月 自殺하고 衡山王注+[頭註]名賜 淮南厲王之子 亦自剄死하다
○ 五月 匈奴萬人 入上谷하야 殺數百人하다
○ 張騫 自月注+[原註] 音支 匈奴號하야 言西域諸國風俗호되
大宛 多善馬하고 大夏 邛竹杖注+[釋義]王氏曰 山海經 邛崍山 出邛竹이라 瓚曰 邛山之竹 節高中實하야 可作杖이라 蜀記云 張騫 奉使尋河源할새 得高節竹하야 植於邛山하니 堪爲杖이라이요 大夏, 安息之屬 皆大國이라 多奇物이라한대
天子欣然하야 以騫言爲然하야 乃復事西南夷注+[頭註]復事 謂經略通之 專以爲事也 武帝元朔二年 嘗罷西夷 故曰復事러라
〈出騫傳及西南夷傳〉
○ 秋 匈奴渾注+[原註]渾邪 匈奴之屬이니 爲王者之號이어늘 發車三萬乘하야 以迎之할새 縣官 無錢하야 從民貰馬注+[釋義] 音世 賖貸也하니 民或匿馬하야 馬不具
하야 欲斬長安令한대 右內史汲黯曰 長安令 無罪하니 獨斬臣黯이라야 民乃肯出馬하리이다
且匈奴畔其主而降漢이어늘 何至中國하야 以事夷狄之人乎잇가 黙然曰 吾久不聞汲黯之言이러니 今又復妄發矣로다
〈出汲黯傳
此用史記句하니 漢書에는 作甘心夷狄이라
居頃之 乃命徙降者邊五郡注+[釋義] 近也 隴西, 北地, 上郡, 朔方, 雲中此五郡也하고 因其故俗하야 爲五屬國注+[釋義]養心吳氏曰 因其故俗하야 爲屬國하고 猶未與中國雜處也 後漢志曰 武帝置屬國都尉하야 主蠻夷降者라하니 師古曰 凡言屬國者 存其國號而屬漢이라 故曰屬國이라하다
〈以上略見本紀〉
林之奇曰
武帝從事四夷하여 以靡費中國 不獨其征伐而然也
如東夷濊王等降 而燕齊之間 爲之騷動하고 匈奴渾邪王降 而府庫爲之一空이라
夫王者之於夷狄 不誘其來하고 不追其往하여 使中國自爲中國하고 夷狄自爲夷狄하니 則吾民可以無事
苟其來則誘之하고 去則追之 則是中國之擾 無時而已也
然則光武閉玉門하여 以謝西域之質 豈不爲長策乎
○ 休王太子日注+[釋義] 音儲 休屠 匈奴所封王地 後降漢하니 武帝開置縣하고 屬武威郡하니라 沒入官하야 輸黃門注+[頭註]屬少府하니 職任親近天子以供給하야 百物在焉하니라하야 養馬久之러니 日磾牽馬過殿下할새 容貌甚嚴이어늘
奇焉注+[頭註]上遊宴할새 後宮滿側이라 十餘人牽馬過殿下 莫不竊視宮人이로되 日磾獨不敢擧頭竊視하니라 長八尺二寸이요 容貌甚嚴하고 馬又肥好하니 上奇焉하야 拜爲馬監이라가 遷侍中駙馬都尉하니라하야 卽日 拜爲侍中하고 甚信愛之하야 賜姓金氏注+[頭註]休屠國 作金人祭天主 賜日磾姓金氏하니라하다
〈出日磾傳〉


원수元狩원년元年(기미 B.C.122)
회남왕淮南王이 모반할 적에 한편으로 말하기를 “나라 조정의 대신 중에 유독 급암汲黯만은 직간하기를 좋아하고 충절을 지켜 의리에 죽을 수 있으니 나쁜 것을 가지고 유혹하기 어려우며, 승상 공손홍公孫弘 등을 설득하기는 마치 뒤집어 쓴 것을 벗기고 나뭇잎을 흔들어 떨어뜨리는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발몽진락發蒙振落위소韋昭가 이르기를 ‘물건 위에 덮인 것을 벗겨 버리고 나무 위의 잎을 흔들어 떨어뜨리는 것과 같은 것이니, 곧바로 취하기가 쉬움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것처럼 쉽다.” 하였다.
마침 오피伍被가 옥리에게 나아가 회남왕淮南王과 모반하였다고 스스로 고발하자, 공경公卿에게 내려 다스리게 하였는데, 11월에 이 자살하고 형산왕衡山王注+[頭註]형산왕衡山王은 이름이 이니, 회남淮南여왕厲王의 아들이다. 또한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
5월에 흉노匈奴 만 명이 상곡上谷에 들어와서 수백 명을 죽였다.
장건張騫월씨국月氏國으로부터注+[原註]는 음이 지이니, 흉노匈奴의 이름이다. 돌아와서 서역西域 여러 나라의 풍속을 말하기를
대완국大宛國에는 좋은 말이 많고 대하국大夏國에는 공죽장邛竹杖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산해경山海經》에 ‘공래산邛崍山에서 공죽邛竹이 나온다.’ 하였다. 설찬薛瓚이 말하기를 ‘공산邛山의 대나무는 마디가 높고 속이 충실하여 지팡이로 만들 만하다.’ 하였다. 《촉기蜀記》에 이르기를 ‘장건張騫사명使命을 받들고 황하黃河의 근원을 찾을 적에 마디가 높은 대나무를 얻어서 공산邛山에 심으니, 지팡이를 만들 만하다.’ 하였다.” 있으며, 대하大夏안식安息 등은 모두 큰 나라이므로 기이한 물건이 많습니다.” 하니,
천자天子가 기뻐하여 장건張騫의 말을 옳다고 여겨서 마침내 다시 서남 오랑캐를 경략經略하였다.注+[頭註]복사復事경략經略하여 통하게 함을 오로지 일삼음을 이른다. 무제武帝원삭元朔 2에 일찍이 서이西夷를 경략함을 혁파하였기 때문에 복사復事라고 말한 것이다.
- 《한서漢書》 〈장건전張騫傳〉과 〈서남이전西南夷傳〉에 나옴 -
가을에 흉노匈奴혼사왕渾邪王注+[原註]혼사渾邪흉노匈奴의 등속이니, 왕자王者의 칭호이다. 항복하자, 나라가 수레 3만 대를 징발하여 이들을 맞이하였는데, 현관縣官(수령)들이 돈이 없어서 백성들에게서 말을 빌리니,注+[釋義]는 음이 세이니, 돈을 주고 빌리는 것이다. 백성들이 혹 말을 숨겨 말이 구비되지 못하였다.
이 노하여 장안령長安令을 목 베려고 하자, 우내사右內史급암汲黯이 말하기를 “장안령長安令은 죄가 없으니, 다만 신 급암汲黯의 목을 베어야 백성들이 비로소 기꺼이 말을 내놓을 것입니다.
흉노匈奴가 자기 군주를 배반하고 나라에 항복하는데, 어찌하여 중국中國을 피폐하게 하면서까지 오랑캐 사람을 섬길 것이 있겠습니까?” 하니, 이 묵묵히 있다가 말하기를 “내 오랫동안 급암汲黯의 말을 듣지 못하였는데, 지금 또다시 망발을 하는구나.” 하였다.
- 《사기史記급암전汲黯傳》에 나옴.
이는 《사기史記》의 를 따랐는데, ‘이사이적지인以事夷狄之人’이 《한서漢書》에는 ‘감심이적甘心夷狄’으로 되어 있음 -
얼마 있다가 마침내 명하여 항복한 자들을 변경의 다섯 고을로注+[釋義]은 변경에 가까움이니, 농서隴西, 북지北地, 상군上郡, 삭방朔方, 운중雲中 이 다섯 을 이른다. 옮기게 하고, 옛 풍속을 따라 다섯 속국屬國이라고 이름하였다.注+[釋義]因其故俗 위오속국爲五屬國:양심오씨養心吳氏가 말하였다. “옛 풍속을 따라 속국屬國으로 만들고, 아직 중국中國과 뒤섞여 처하게 한 것은 아니다. 《후한서後漢書》 〈백관지百官志〉에 이르기를 ‘무제武帝속국도위屬國都尉를 두어서 만이蠻夷의 항복한 자들을 주관하게 했다.’ 하였는데, 안사고顔師古가 말하기를 ‘무릇 속국屬國이라고 말한 것은 그들 나라의 칭호를 보존하고 나라에 속하게 하였으므로 속국屬國이라 이름한 것이다.’ 하였다.”
- 이상은 대략 《한서漢書무제기武帝紀》에 보임 -
임지기林之奇가 말하였다.
무제武帝가 사방의 오랑캐들을 정벌하여 중국中國을 피폐하게 한 것은 비단 정벌征伐해서 그러한 것만이 아니다.
예컨대 동이東夷예맥왕穢貊王 등이 항복하자 사이가 이 때문에 소란하였고, 흉노匈奴혼사왕渾邪王이 항복하자 부고府庫가 이 때문에 한 번 비었다.
왕자王者이적夷狄에 대하여 오도록 유인하지 않고 가는 것을 쫓지 않아서, 중국中國은 따로 중국中國이 되고 이적夷狄은 따로 이적夷狄이 되게 하니, 이렇게 하면 우리 백성들이 무사할 수 있다.
만일 오면 유인하고 가면 쫓는다면 이는 중국中國의 소요가 그칠 날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광무제光武帝옥문관玉門關을 닫아서 서역西域의 인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 어찌 장구한 계책이 아니겠는가.”
휴도왕休屠王의 태자인 일제日磾注+[釋義]는 음이 저이다. 휴도休屠흉노匈奴가 봉한 왕지王地이다. 뒤에 나라에 항복하니, 무제武帝을 설치하고 무위군武威郡에 속하게 하였다. 적몰籍沒되어 황문黃門注+[頭註]황문黃門소부少府에 속하니, 직임이 천자天子 가까이에 있으면서 물건을 공급하므로 온갖 물건이 다 있었다. 보내져서 말을 기른 지 오래되었는데, 일제日磾가 말을 끌고 대궐 아래를 지날 적에 용모가 매우 엄숙하였다.
이 기특하게 여겨注+[頭註]이 놀이하여 잔치할 때에 후궁後宮이 곁에 가득하였다. 10여 명이 말을 끌고 궁전 아래를 지나갈 때에 궁녀들을 훔쳐보지 않는 자가 없었으나 김일제金日磾만은 홀로 감히 머리를 들어 훔쳐보지 않았다. 김일제金日磾는 신장이 8척 2촌이고 용모가 매우 근엄하였으며 말이 또 살지고 아름다우니, 상이 기특하게 여겨서 마감馬監을 제수하였다가 시중부마도위侍中駙馬都尉로 승진시켰다. 그날로 임명하여 시중侍中으로 삼고, 매우 신임하고 총애하여 김씨성金氏姓을 하사하였다.注+[頭註]휴도국休屠國에서 금인金人을 만들어 하늘에 제사하였다. 그러므로 일제日磾에게 김씨성金氏姓을 하사한 것이다.
- 《한서漢書김일제전金日磾傳》에 나옴 -


역주
역주1 : 지
역주2 : 야
역주3 罷敝 : 피폐
역주4 : 저
역주5 : 제
동영상 재생
1 [기미] 원수원년
동영상 재생
2 [기미] 원수원년 181
동영상 재생
3 [기미] 원수원년 131
동영상 재생
4 [기미] 원수원년 307
동영상 재생
5 [기미] 원수원년
동영상 재생
6 [기미] 원수원년 99

통감절요(2) 책은 2022.01.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