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4)

통감절요(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癸丑]十一年이라 〈魏靑龍元年 吳嘉禾二年〉
丞相亮 勸農講武하고木牛流馬注+[釋義]武侯出軍至祁山하야 始以木牛運하고 後出斜谷하야 以流馬運이라 杜氏通典註曰 按亮集 督軍廖立, 杜叡, 胡忠等 推意作木牛流馬 其木牛法 方腹曲脛이요 一(股)[脚]四足이며 頭入領中하고 舌著於腹하니 載多而行少 特行者數十里 群行者二十里 曲者爲牛頭 雙者爲牛脚이요 橫者爲牛領이요 轉者爲牛足이요 覆者爲牛背 方者爲牛腹이요 垂者爲牛舌이요 曲者爲牛肋이요 刻者爲牛齒 立者爲牛角이요 細者爲牛鞅이요 攝者爲牛鞦軸이라 牛(御)[仰]雙轅하야 人行六尺하고 牛行四步하니 人不大勞하고 牛不飮食이라 其流馬法 尺寸之數 肋長三尺五寸이요 廣三寸이요 厚二寸二分이니 左右同이라 前軸孔 分墨去頭四寸이요 徑中二寸이며 前脚孔 分墨 〈二寸이니 去前軸孔〉 去頭四寸五分이요 {長一寸五分} 廣一寸이며 前杠孔 去前脚孔分墨二寸七分이요 孔長二寸이요 廣一寸이라 後軸孔 去前杠孔 分墨一尺五寸이요 大小同이라 〈後脚孔 分墨去後軸孔 三寸九分이요 大小與前同이라〉 後杠孔 〈分墨〉去後脚孔 分墨二寸(二)[七]分이요 〈後載剋 去〉後杠孔 分墨四寸五分이요 前杠 長一尺八寸이요 廣二寸이요 厚一寸五分이라 後杠與等이라 板方囊二枚 {板}厚八分이요 長二尺七寸이요 高一尺六寸五分이요 廣一尺六寸이니 每枚 受米二斛三斗 從上杠孔 去肋下七寸이니 前後同이라 上杠孔 去下杠孔 分墨一尺三寸이요 孔長一寸五分이요 廣七分이니 八孔同이라 前後四脚 廣二寸이요 厚一寸五分이니 形制如象이라 靬長四寸이요 徑面四寸三分이요 孔徑中三脚杠 長二尺一寸이요 廣一寸五分이요 厚一寸四分이라 居言反이니 弓衣也하야 運米集谷口하야 治斜谷邸閣하고 息民休士하야 三年而後用之하다


건흥建興 11년(계축 233) - 나라 청룡靑龍 원년元年이요, 나라 가화嘉禾 2년이다. -
승상丞相 제갈량諸葛亮이 농사를 권장하고 무예를 강마하며 목우木牛유마流馬注+[釋義]제갈무후諸葛武侯출병出兵하여 기산祁山에 이르러서 처음에는 목우木牛를 이용하여 군수품을 운반하였고 뒤에는 사곡斜谷으로 진출하여 유마流馬로 운반하였다. 두씨杜氏(杜佑)의 《통전通典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제갈량집諸葛亮集》을 살펴보면 군대를 감독하던 요립廖立두예杜叡호충胡忠 등이 제갈량諸葛亮의 뜻을 미루어 목우木牛유마流馬를 만들었다. 목우木牛를 만드는 방법은 배부분은 네모나고 다리는 굽게 만들었으며 한 다리에 네 개의 발이 있는데 머리는 목 속으로 들어가 있고 혀는 배에 붙어 있으니, 짐은 많이 실을 수 있으나 속도는 느리다. 혼자 갈 때에는 수십 리를 가고 무리 지어 갈 때에는 20리를 간다. 구부러진 것은 목우木牛의 머리가 되고 한 쌍인 것은 목우木牛의 다리가 되며, 가로로 된 것은 목우木牛의 목이 되고 도는 것은 목우木牛의 발이 되며, 덮여 있는 것은 목우木牛의 등이 되고 네모난 것은 목우木牛의 배가 되며, 드리워져 있는 것은 목우木牛의 혀가 되고 굽은 것은 목우木牛의 갈빗대가 되며, 뾰족한 것은 목우木牛의 이가 되고 서 있는 것은 목우木牛의 뿔이 되며, 가는 것은 목우木牛의 고삐가 되고 쥐는 것은 목우木牛추축鞦軸(소의 꼬리에 거는 끈)이 된다. 목우木牛는 두 개의 멍에를 우러러보는 바, 사람은 1에 6을 가는데 소는 4를 가니 이것을 이용하면 사람은 크게 피로하지 않고 목우木牛는 먹이를 먹지 않아 편리하다.” 유마流馬를 만드는 방법과 치수는 다음과 같다. “갈빗대는 길이는 3 5이고 너비는 3이며 두께는 2 2으로 좌우가 같다. 앞 (수레바퀴의 한가운데 끼는 굴대)의 구멍은 분묵分墨이 머리까지는 4이며 지름은 2이다. 앞다리의 구멍은 분묵分墨이 머리까지 2이니 앞 의 구멍과는 4 5이며 너비는 1이다. 앞부분의 (車蓋의 밑 테두리)의 구멍은 앞다리의 구멍과는 분묵分墨이 2 7이고 구멍의 길이는 2이며 너비는 1이다. 뒤 의 구멍은 앞부분의 의 구멍과는 분묵分墨이 1 5이며 크기는 앞부분과 같다. 뒷다리의 구멍은 분묵分墨이 뒤 의 구멍과는 3 9이며 크기는 앞부분과 같다. 뒷부분의 의 구멍은 뒷다리의 구멍과는 분묵分墨이 2 7이고 뒷부분의 물건 싣는 곳에서 뒷부분의 의 구멍과는 분묵分墨이 4 5이다. 앞부분의 은 길이는 1 8이고 너비는 2이며 두께는 1 5이다. 뒷부분의 도 이와 같다. 판자 사방에 주머니 2개를 다는데, 두께는 8이고 길이는 2 7이고 높이는 1 6 5이고 너비는 1 6이니, 주머니마다 쌀 2 3를 담을 수 있다. 윗부분의 에 난 구멍에서 갈빗대 아래까지는 7이니, 앞뒤가 모두 같다. 윗부분의 의 구멍에서 아랫부분에 난 의 구멍까지는 분묵分墨이 1 3이고 구멍의 길이는 1 5이며 너비는 7인데, 8개의 구멍이 똑같다. 앞뒤로 4개의 다리가 있는데 너비는 2이고 두께는 1 5이니 그 모양은 코끼리와 같으며, 활집 전대의 길이는 4이고 지름은 4 3이며 구멍의 지름에는 3개의 이 있는데 길이는 2 1이고 너비는 1 5이며 두께는 1 4이다. 은 음이 居言反(건)이니, 활집이다.” 를 만들어 쌀을 운반하여 사곡斜谷 어구에 모아서 사곡斜谷저각邸閣(양곡을 보관해 두는 창고)을 수리하고 백성들과 군사들을 쉬게 하여 3년 뒤에야 이들을 동원하였다.


역주
역주1 木牛流馬 : 이 내용은 《三國志 蜀志》의 〈諸葛亮傳〉과 《資治通鑑》 明帝 靑龍 元年條에 실려 있는 바, 글자도 異同이 있고 치수가 약간씩 다르며 자세한 내용 역시 알 수 없다.
역주2 : 야

통감절요(4)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