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戊申]六年이라 〈魏太和二年이요 吳黃武七年이라〉
			                         
                        		
                        		
                        		
	                     		
			                       	
			                       	
	                     		
	                     		
		                        
                        	
                        	
                        	
                        	
                        		
                        			
                        			
			                        
			                        	初
에 魏以夏侯楙
注+[通鑑要解]楙는 與懋同이라 音茂니 淵子也라로 鎭長安
이러니 至是
하야 丞相亮
이 將伐魏
할새 與群下謀之
하니 
                        		
                        		
                        		
	                     		
			                       	
			                       	
	                     		
	                     		
		                        
                        	
                        	
                        	
                        	
                        		
                        			
                        			
			                        
			                        	 魏延
注+[通鑑要解]時爲司馬也니 漢丞相有長史而無司馬어늘 是時用兵이라 故로 置司馬하니라曰 夏侯楙
는 怯而無謀하니 
                        		
                        		
                        		
	                     		
			                       	
			                       	
	                     		
	                     		
		                        
                        	
                        	
                        	
                        	
                        		
                        			
                        			
			                        
			                        	 今假延精兵五千
이면 直從褒中出
하야 循秦嶺
注+[釋義]秦嶺은 在虢州閺鄕縣南하니 周回三百里라而東
하고 當子午
注+[釋義]長安의 山名秦嶺이요 谷名子午라 子는 北方이요 午는 南方이니 言通南北道相當故로 名子午谷이라而北
하야 不過十日
에 可到長安
하리이다 
                        		
                        		
                        		
	                     		
			                       	
			                       	
	                     		
	                     		
		                        
                        	
                        	
                        	
                        	
                        		
                        			
                        			
			                        
                        		
                        		
                        		
	                     		
			                       	
			                       	
	                     		
	                     		
		                        
                        	
                        	
                        	
                        	
                        		
                        			
                        			
			                        
			                        	比東方相合
注+[通鑑要解]比는 及也라에 尙二十許日
이요 而公從斜谷來
면 亦足以達
하리니 
                        		
                        		
                        		
	                     		
			                       	
			                       	
	                     		
	                     		
		                        
                        	
                        	
                        	
                        	
                        		
                        			
                        			
			                        
                        		
                        		
                        		
	                     		
			                       	
			                       	
	                     		
	                     		
		                        
                        	
                        	
                        	
                        	
                        		
                        			
                        			
			                        
			                        	亮이 以此爲危計라 不如安從坦道하야 可以平取隴右니 十全必克而無虞라
			                         
                        		
                        		
                        		
	                     		
			                       	
			                       	
	                     		
	                     		
		                        
                        	
                        	
                        	
                        	
                        		
                        			
                        			
			                        
                        		
                        		
                        		
	                     		
			                       	
			                       	
	                     		
	                     		
		                        
                        	
                        	
                        	
                        	
                        		
                        			
                        			
			                        
			                        	亮
이 身率大軍
하야 攻祁山
注+[釋義]祁山은 在岷州長道縣南十里라할새 戎陳이 整齊하고 號令이 明肅注+[原註]本傳云 賞罰肅而號令明이라이러라 
                        		
                        		
                        		
	                     		
			                       	
			                       	
	                     		
	                     		
		                        
                        	
                        	
                        	
                        	
                        		
                        			
                        			
			                        
                        		
                        		
                        		
	                     		
			                       	
			                       	
	                     		
	                     		
		                        
                        	
                        	
                        	
                        	
                        		
                        			
                        			
			                        
			                        	是以
로 略無備豫注+[通鑑要解]不豫爲之備也라러니 而卒(猝)聞亮出
하고 朝野恐懼라 
                        		
                        		
                        		
	                     		
			                       	
			                       	
	                     		
	                     		
		                        
                        	
                        	
                        	
                        	
                        		
                        			
                        			
			                        
			                        	於是
에 天水, 南安
注+[釋義]屬廣漢郡하니 昭烈改漢壽縣하고 唐置南安州하니 今大安軍是라, 安定
이 皆叛應亮
하니 關中
이 響震
이라 
                        		
                        		
                        		
	                     		
			                       	
			                       	
	                     		
	                     		
		                        
                        	
                        	
                        	
                        	
                        		
                        			
                        			
			                        
			                        	朝臣이 未知計所出이러니 魏主叡曰 亮이 阻山爲固러니 今者自來하니 正合兵書致人之術이니
			                         
                        		
                        		
                        		
	                     		
			                       	
			                       	
	                     		
	                     		
		                        
                        	
                        	
                        	
                        	
                        		
                        			
                        			
			                        
			                        	破亮이 必矣라하고 乃勒兵馬步騎五萬하고 遣右將軍張郃督之하야 西拒亮하다
			                         
                        		
                        		
                        		
	                     		
			                       	
			                       	
	                     		
	                     		
		                        
                        	
                        	
                        	
                        	
                        		
                        			
                        			
			                        
			                        	[新增]愚按 先儒之說
에 謂孔明左右
注+[頭註]與佐佑通이라昭烈
하야 爲漢討賊
하야 聲大義於天下
하니 功雖不就
나 名則正矣
라 
                        		
                        		
                        		
	                     		
			                       	
			                       	
	                     		
	                     		
		                        
                        	
                        	
                        	
                        	
                        		
                        			
                        			
			                        
			                        	自陳壽志三國으로 以魏爲主하야 例書入寇하니 壽固萬世之罪人也어늘 而司馬公이 亦因而書之는 何哉오
			                         
                        		
                        		
                        		
	                     		
			                       	
			                       	
	                     		
	                     		
		                        
                        	
                        	
                        	
                        	
                        		
                        			
                        			
			                        
                        		
                        		
                        		
	                     		
			                       	
			                       	
	                     		
	                     		
		                        
                        	
                        	
                        	
                        	
                        		
                        			
                        			
			                        
			                        	故로 於孔明興師엔 則改書伐魏하고 而魏兵犯境엔 則改書入寇하니 然後에 名正言順하야 而正僞之辨이 自明矣라
			                         
                        		
                        		
                        		
	                     		
			                       	
			                       	
	                     		
	                     		
		                        
                        	
                        	
                        	
                        	
                        		
                        			
                        			
			                        
                        		
                        		
                        		
	                     		
			                       	
			                       	
	                     		
	                     		
		                        
                        	
                        	
                        	
                        	
                        		
                        			
                        			
			                        
			                        	初
에 越
太守馬謖
이 才器過人하야 好論軍計
하니 諸葛亮
이 深加器異라 
                        		
                        		
                        		
	                     		
			                       	
			                       	
	                     		
	                     		
		                        
                        	
                        	
                        	
                        	
                        		
                        			
                        			
			                        
			                        	昭烈이 臨終에 謂亮曰 馬謖이 言過其實하야 不可大用이니 君其察之하라
			                         
                        		
                        		
                        		
	                     		
			                       	
			                       	
	                     		
	                     		
		                        
                        	
                        	
                        	
                        	
                        		
                        			
                        			
			                        
			                        	亮
이 猶謂不然
하고 以謖爲參軍
하야 每引見談論
에 自晝達夜러니 及出軍祁山
에 亮
이 不用舊將魏延, 吳懿等
하야 爲先鋒
하고 而以謖督諸軍在前
하야 與張郃戰于街亭
注+[釋義]方輿勝覽興元府에 有街亭하니 註에 魏張郃이 與漢馬謖戰于此라하니라이러니 
                        		
                        		
                        		
	                     		
			                       	
			                       	
	                     		
	                     		
		                        
                        	
                        	
                        	
                        	
                        		
                        			
                        			
			                        
			                        	謖이 違亮節度하야 擧措煩擾하고 舍水上山하야 不下據城이러니
			                         
                        		
                        		
                        		
	                     		
			                       	
			                       	
	                     		
	                     		
		                        
                        	
                        	
                        	
                        	
                        		
                        			
                        			
			                        
			                        	張郃이 絶其汲道하고 擊大破之하니 士卒이 離散이라
			                         
                        		
                        		
                        		
	                     		
			                       	
			                       	
	                     		
	                     		
		                        
                        	
                        	
                        	
                        	
                        		
                        			
                        			
			                        
                        		
                        		
                        		
	                     		
			                       	
			                       	
	                     		
	                     		
		                        
                        	
                        	
                        	
                        	
                        		
                        			
                        			
			                        
			                        	還漢中하야 收謖下獄殺之하고 亮自臨祭하야 爲之流涕하고 撫其遺孤하야 恩若平生이러라
			                         
                        		
                        		
                        		
	                     		
			                       	
			                       	
	                     		
	                     		
		                        
                        	
                        	
                        	
                        	
                        		
                        			
                        			
			                        
			                        	於是
에 考微勞
하고 甄壯烈
注+[頭註]甄은 別也요 察也라하며 引咎責躬하야 布所失於境內
하고 厲兵講武하야 以爲後圖
하니 戎事簡練하고 民忘其敗矣
러라 
                        		
                        		
                        		
	                     		
			                       	
			                       	
	                     		
	                     		
		                        
                        	
                        	
                        	
                        	
                        		
                        			
                        			
			                        
			                        	○ 吳王이 使鄱陽太守周魴으로 遣人賚牋하야 以誘揚州都督曹休하야 言欲以郡降이라하니
			                         
                        		
                        		
                        		
	                     		
			                       	
			                       	
	                     		
	                     		
		                        
                        	
                        	
                        	
                        	
                        		
                        			
                        			
			                        
			                        	 休率步騎十萬하야 以應魴이라가 與陸遜으로 戰於石亭하야 大敗而還하다
			                         
                        		
                        		
                        		
	                     		
			                       	
			                       	
	                     		
	                     		
		                        
                        	
                        	
                        	
                        	
                        		
                        			
                        			
			                        
			                        	○ 丞相亮
이 聞曹休敗
하고 欲出兵擊魏
하니 群臣
이 多以爲疑
注+[通鑑要解]因祁山敗하야 疑魏不可伐也라라 
                        		
                        		
                        		
	                     		
			                       	
			                       	
	                     		
	                     		
		                        
                        	
                        	
                        	
                        	
                        		
                        			
                        			
			                        
                        		
                        		
                        		
	                     		
			                       	
			                       	
	                     		
	                     		
		                        
                        	
                        	
                        	
                        	
                        		
                        			
                        			
			                        
			                        	先帝深慮以
漢賊不兩立하고 王業不偏安注+[頭註]王業不可偏全於蜀都라이라 
                        		
                        		
                        		
	                     		
			                       	
			                       	
	                     		
	                     		
		                        
                        	
                        	
                        	
                        	
                        		
                        			
                        			
			                        
			                        	故로 托臣以討賊하시니 以先帝之明으로 量臣之才에 固當知臣伐賊이 才弱敵强이나
			                         
                        		
                        		
                        		
	                     		
			                       	
			                       	
	                     		
	                     		
		                        
                        	
                        	
                        	
                        	
                        		
                        			
                        			
			                        
			                        	然不伐賊
이면 王業亦亡
하리니 惟
注+[頭註]思也라坐而待亡으론 孰與注+[頭註]與는 如也라伐之릿고 是故
로 托臣而不疑也
하시니이다 
                        		
                        		
                        		
	                     		
			                       	
			                       	
	                     		
	                     		
		                        
                        	
                        	
                        	
                        	
                        		
                        			
                        			
			                        
			                        	今賊
이 適疲於西
注+[頭註]五年에 亮이 攻祁山하니 南安, 天水, 安定三郡이 皆叛하야 應亮하니라하고 又務於東
注+[頭註]曹休與吳陸遜으로 戰于街亭하야 大敗하니라하니 
                        		
                        		
                        		
	                     		
			                       	
			                       	
	                     		
	                     		
		                        
                        	
                        	
                        	
                        	
                        		
                        			
                        			
			                        
                        		
                        		
                        		
	                     		
			                       	
			                       	
	                     		
	                     		
		                        
                        	
                        	
                        	
                        	
                        		
                        			
                        			
			                        
			                        	高帝
明竝日月하시고 謀臣
이 淵深
이나 然
涉險被創注+[通鑑要解]創은 傷也니 漢曹參은 身被七十創하니라하야 危然後安
하시니 
                        		
                        		
                        		
	                     		
			                       	
			                       	
	                     		
	                     		
		                        
                        	
                        	
                        	
                        	
                        		
                        			
                        			
			                        
			                        	今陛下未及高帝
하시고 謀臣
이 不如良平
注+[頭註]張良, 陳平이라이어늘 而欲以長計取勝
하야 坐定天下하시니 此
는 臣之未解也
로이다 
                        		
                        		
                        		
	                     		
			                       	
			                       	
	                     		
	                     		
		                        
                        	
                        	
                        	
                        	
                        		
                        			
                        			
			                        
			                        	曹操智計 殊絶於人
하야 其用兵也髣髴孫吳注+[頭註]孫臏, 吳起라나 
                        		
                        		
                        		
	                     		
			                       	
			                       	
	                     		
	                     		
		                        
                        	
                        	
                        	
                        	
                        		
                        			
                        			
			                        
			                        	然困於南陽
注+[頭註]操與張繡로 戰於南陽宛縣할새 爲流矢所中이라하고 險於烏巢
注+[頭註]袁紹拒操於官渡할새 紹輜重萬餘在烏巢하니 時에 操糧少하야 欲還許하니라하고 危於祁連
注+[頭註]祁連은 西域國名이라하고 偪於黎陽
注+[頭註]袁譚據之러니 하니 譚兵逼其後하니라하고 幾敗北山
注+[附註]上卷己亥年에 操爭漢中이러니 趙雲躡之하니 操軍蹂踐하야 墮漢水中하니라 資治에 北作伯山하니 訓義에 謂與烏桓戰於白狼山時也라하고 殆死
關
注+[附註]馬超, 韓遂 據潼關한대 操討之러니 超攻之하야 矢下如雨라 許褚扶操上船하니 船工中矢死어늘 褚左手擧鞍蔽操하고 右手刺船하야 乃得渡하니라然後
에 僞定
注+[頭註]言雖定一時之功이나 而有心於篡漢故로 曰僞定이라一時耳
니이다 
                        		
                        		
                        		
	                     		
			                       	
			                       	
	                     		
	                     		
		                        
                        	
                        	
                        	
                        	
                        		
                        			
                        			
			                        
                        		
                        		
                        		
	                     		
			                       	
			                       	
	                     		
	                     		
		                        
                        	
                        	
                        	
                        	
                        		
                        			
                        			
			                        
			                        	臣
은 鞠躬注+[通鑑要解]曲其躬曰鞠이라盡力하야 死而後已니 至於成敗利鈍
하야는 非臣之明
의 所能逆覩也
니이다 
                        		
                        		
                        		
	                     		
			                       	
			                       	
	                     		
	                     		
		                        
                        	
                        	
                        	
                        	
                        		
                        			
                        			
			                        
			                        	十二月에 亮이 引兵出散關하야 圍陳倉이러니 陳倉이 已有備라
			                         
                        		
                        		
                        		
	                     		
			                       	
			                       	
	                     		
	                     		
		                        
                        	
                        	
                        	
                        	
                        		
                        			
                        			
			                        
                        		
                        		
                        		
	                     		
			                       	
			                       	
	                     		
	                     		
		                        
                        	
                        	
                        	
                        	
                        		
                        			
                        			
			                        
                        		
                        		
                        		
	                     		
			                       	
			                       	
	                     		
	                     		
		                        
                        	
                        	
                        	
                        	
                        		
                        			
                        			
			                        
			                        	魏主叡問郃曰 遲
注+[原註]去聲이니 待也라將軍到
하면 亮
이 得無已得陳倉乎
아 郃
이 知亮深入無穀
하고 屈指計曰 比臣到
면 亮已走矣
리이다 
                        		
                        		
                        		
	                     		
			                       	
			                       	
	                     		
	                     		
		                        
                        	
                        	
                        	
                        	
                        		
                        			
                        			
			                        
                        		
                        		
                        		
	                     		
			                       	
			                       	
	                     		
	                     		
		                        
                        	
                        	
                        	
                        	
                        		
                        			
                        			
			                        
                        		
                        		
                        		
	                     		
			                       	
			                       	
	                     		
	                     		
		                        
                        	
                        	
                        	
                        	
                   			
                        	
                        	
                        	
                        	
	                       	
	                       	
	                       	
	                       	
							                       	
	                        
	                        
	                        	
	                        
	                        	
	                        
	                        	
	                        
	                        	
	                        
	                        	
	                        
	                        	
	                        
	                        	
	                        
	                        	
	                        
	                        	
	                        
	                        	
	                        
	                        	
	                        
	                        	
	                        
	                        	
	                        
	                        	
	                        
	                        	
	                        
	                        	
	                        
	                        	
	                        
	                        	
	                        
	                        	
	                        
	                        	
	                        
	                        	
	                        
	                        	
	                        
	                        	
	                        
	                        	
	                        
	                        	
	                        
	                        	
	                        
	                        	
	                        
	                        	
	                        
	                        	
	                        
	                        	
	                        
	                        	
	                        
	                        	
	                        
	                        	
	                        
	                        	
	                        
	                        	
	                        
	                        	
	                        
	                        	
	                        
	                        	
	                        
	                        	
	                        
	                        	
	                        
	                        	
	                        
	                        	
	                        
	                        	
	                        
	                        	
	                        
	                        	
	                        
	                        	
	                        
	                        	
	                        
	                        	
	                        
	                        	
	                        
	                        	
	                        
	                        	
	                        
	                        	
	                        
	                        	
	                        
	                        	
	                        
	                        	
	                        
	                        	
	                        
	                        	
	                        
	                        	
	                        
	                        	
	                        
	                        	
	                        
	                        	
	                        
	                        	
	                        
	                        	
	                        
	                        	
	                        
	                        	
	                        
	                        	
	                        
	                        	
	                        
	                        	
	                        
	                        	
	                        
	                        	
	                        
	                        	
	                        
	                        	
	                        
	                        	
	                        
	                        	
	                        
	                        	
	                        
	                        	
	                        
	                        	
	                        
	                        	
	                        
	                        	
	                        
	                        	
	                        
	                        	
	                        
	                        	
	                        
	                        	
	                        
	                        	
	                        
	                        	
	                        
	                        	
	                        
	                        	
	                        
	                        	
	                        
	                        	
	                        
	                        	
	                        
	                        	
	                        
	                        	
	                        
	                        	
	                        
	                        	
	                        
	                        	
	                        
	                        	
	                        
	                        	
	                        
	                        	
	                        
	                        
	                        
                        	
		                        
		                        
		                        
		                        
                        		
                        	
		                        
		                        
		                        
		                        	
		                        	
		                        
		                        
                        		
                        		
                        			
			                        
			                        	건흥建興 6년(무신 228) - 위魏나라 태화太和 2년이요, 오吳나라 황무黃武 7년이다. -
			                              
                        			
                        		
                        		
	                     		
			                       	
			                       	
	                     		
		                        
                        	
		                        
		                        
		                        
		                        
                        		
                        	
		                        
		                        
		                        
		                        	
		                        	
		                        
		                        
                        		
                        		
                        			
			                        
			                        	처음에 
위魏나라가 
하후무夏侯楙注+[通鑑要解]무楙는 무懋와 같다. 음이 무이니, 하후연夏侯淵의 아들이다. 로 하여금 
장안長安에 진주하게 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승상丞相 제갈량諸葛亮이 장차 
위魏나라를 정벌하려 하면서 여러 부하들과 상의하니,
      
                        			
                        		
                        		
	                     		
			                       	
			                       	
	                     		
		                        
                        	
		                        
		                        
		                        
		                        
                        		
                        	
		                        
		                        
		                        
		                        	
		                        	
		                        
		                        
                        		
                        		
                        			
			                        
			                        	 위연魏延注+[通鑑要解]위연魏延이 이때 사마司馬였으니, 한漢나라 승상丞相은 장사長史를 두고 사마司馬는 없었으나 이때 군대를 출동하였기 때문에 사마司馬를 둔 것이다. 이 말하기를 “
하후무夏侯楙는 겁이 많고 
지모智謀가 없으니,
 
			                              
                        			
                        		
                        		
	                     		
			                       	
			                       	
	                     		
		                        
                        	
		                        
		                        
		                        
		                        
                        		
                        	
		                        
		                        
		                        
		                        	
		                        	
		                        
		                        
                        		
                        		
                        			
			                        
			                        	 이제 저에게 정예병 5천 명을 빌려 주시면 곧바로 
포중褒中을 따라 진출하여 
진령산秦嶺山注+[釋義]진령산秦嶺山은 괵주虢州 문향현閺鄕縣의 남쪽에 있으니, 둘레가 300리이다. 을 따라 동쪽으로 가고 
자오곡子午谷注+[釋義]장안長安의 산 이름이 진령秦嶺이고 골짜기 이름이 자오子午이다. 자子는 북방이요 오午는 남방이니, 남북을 통하는 길에 서로 위치하였기 때문에 자오곡子午谷이라 이름한 것이다.을 당하여 북쪽으로 진출해서 열흘을 넘기지 않고 
장안長安에 이를 수 있을 것입니다. 
      
                        			
                        		
                        		
	                     		
			                       	
			                       	
	                     		
		                        
                        	
		                        
		                        
		                        
		                        
                        		
                        	
		                        
		                        
		                        
		                        	
		                        	
		                        
		                        
                        		
                        		
                        			
			                        
			                        	하후무夏侯楙는 제가 갑자기 쳐들어 왔다는 말을 들으면 반드시 성城을 버리고 도망하여 달아날 것입니다. 
			                              
                        			
                        		
                        		
	                     		
			                       	
			                       	
	                     		
		                        
                        	
		                        
		                        
		                        
		                        
                        		
                        	
		                        
		                        
		                        
		                        	
		                        	
		                        
		                        
                        		
                        		
                        			
			                        
			                        	위魏나라가 동방에 군대를 집결할 때까지는
注+[通鑑要解]비比는 미침이다.  아직 20여 일이 남아 있고 
공公께서 
사곡斜谷을 따라 오시면 또한 충분히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일거에 함양咸陽 이서를 평정할 수 있습니다.” 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은 이것은 위험한 계책이니, 평안히 평탄한 길을 따라 편온하게 농우隴右를 취할 수 있는 것만 못하니, 이렇게 하는 것이 십분 안전하여 반드시 이기고 근심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이 직접 
대군大軍을 거느리고서 
기산祁山注+[釋義]기산祁山은 민주岷州 장도현長道縣 남쪽 10리 지점에 있다. 을 공격할 때에 
군진軍陣이 정돈되고 호령이 분명하고 엄숙하였다.
注+[原註]戎陳整齊 호령명숙號令明肅:위의 내용이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傳〉에는 “상벌이 엄숙하고 호령이 분명했다.”로 되어 있다.  
			                              
                        			
                        		
                        		
	                     		
			                       	
			                       	
	                     		
		                        
                        	
		                        
		                        
		                        
		                        
                        		
                        	
		                        
		                        
		                        
		                        	
		                        	
		                        
		                        
                        		
                        		
                        			
			                        
			                        	처음에 위魏나라는 한漢나라 소열제昭烈帝가 이미 죽었고 여러 해 동안 조용하여 들리는 것이 없다고 여겼다.
			                              
                        			
                        		
                        		
	                     		
			                       	
			                       	
	                     		
		                        
                        	
		                        
		                        
		                        
		                        
                        		
                        	
		                        
		                        
		                        
		                        	
		                        	
		                        
		                        
                        		
                        		
                        			
			                        
			                        	이 때문에 조금도 미리 대비함이 없었는데,
注+[通鑑要解]약무비예略無備豫는 미리 대비하지 않은 것이다.  갑자기 
제갈량諸葛亮이 출병했다는 말을 듣고 
조야朝野가 모두 두려워하였다.
      
                        			
                        		
                        		
	                     		
			                       	
			                       	
	                     		
		                        
                        	
		                        
		                        
		                        
		                        
                        		
                        	
		                        
		                        
		                        
		                        	
		                        	
		                        
		                        
                        		
                        		
                        			
			                        
			                        	이에 
천수天水‧
남안南安注+[釋義]남안南安은 광한군廣漢郡에 속하니, 소열제昭烈帝가 한수현漢壽縣으로 고쳤고 당唐나라가 남안주南安州를 설치하였으니, 지금의 대안군大安軍이 이곳이다. ‧
안정安定이 모두 배반하여 
제갈량諸葛亮에게 호응하니, 
관중關中이 이 소문을 듣고 진동하였다.
      
                        			
                        		
                        		
	                     		
			                       	
			                       	
	                     		
		                        
                        	
		                        
		                        
		                        
		                        
                        		
                        	
		                        
		                        
		                        
		                        	
		                        	
		                        
		                        
                        		
                        		
                        			
			                        
			                        	조정의 신하들이 계책을 낼 바를 알지 못했는데, 위주魏主 조예曹叡가 말하기를 “제갈량諸葛亮이 산을 막아 견고하게 지켰는데 이제 스스로 왔으니, 이는 바로 병서兵書에 사람을 오게 하는 방법과 부합한다. 
			                              
                        			
                        		
                        		
	                     		
			                       	
			                       	
	                     		
		                        
                        	
		                        
		                        
		                        
		                        
                        		
                        	
		                        
		                        
		                        
		                        	
		                        	
		                        
		                        
                        		
                        		
                        			
			                        
			                        	제갈량諸葛亮을 틀림없이 격파할 수 있다.” 하고는 마침내 병사와 군마軍馬를 무장하여 보병步兵과 기병騎兵 5만 명을 거느리고 우장군右將軍 장합張郃을 보내어 이들을 독려해서 서쪽으로 제갈량諸葛亮을 막게 하였다.
			                              
                        			
                        		
                        		
	                     		
			                       	
			                       	
	                     		
		                        
                        	
		                        
		                        
		                        
		                        
                        		
                        	
		                        
		                        
		                        
		                        	
		                        	
		                        
		                        
                        		
                        		
                        			
			                        
			                        	[新增]내(劉剡)가 살펴보건대 
선유先儒의 말에 “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소열제昭烈帝를 보좌
注+[頭註]좌우左右는 좌우佐佑(도움)와 통한다. 하여 
한漢나라를 위해 역적을 토벌해서 
대의大義를 천하에 밝혔으니, 
공功은 비록 이루지 못하였으나 명분은 바르다.” 하였다.
      
                        			
                        		
                        		
	                     		
			                       	
			                       	
	                     		
		                        
                        	
		                        
		                        
		                        
		                        
                        		
                        	
		                        
		                        
		                        
		                        	
		                        	
		                        
		                        
                        		
                        		
                        			
			                        
			                        	그런데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로부터 위魏나라를 위주로 하여 으레 ‘입구入寇’라고 썼으니, 진수陳壽는 진실로 만대萬代의 죄인인데 사마온공司馬溫公이 또한 이것을 그대로 인습하여 씀은 어째서인가?
			                              
                        			
                        		
                        		
	                     		
			                       	
			                       	
	                     		
		                        
                        	
		                        
		                        
		                        
		                        
                        		
                        	
		                        
		                        
		                        
		                        	
		                        	
		                        
		                        
                        		
                        		
                        			
			                        
			                        	지금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에 의거하여 소열昭烈로 한漢나라의 대통大統을 이었다.
			                              
                        			
                        		
                        		
	                     		
			                       	
			                       	
	                     		
		                        
                        	
		                        
		                        
		                        
		                        
                        		
                        	
		                        
		                        
		                        
		                        	
		                        	
		                        
		                        
                        		
                        		
                        			
			                        
			                        	그러므로 제갈공명諸葛孔明이 군대를 일으킨 경우에는 ‘위魏나라를 정벌했다.[伐魏]’고 고쳐 쓰고, 위魏나라 군대가 국경을 침범한 경우에는 ‘입구入寇’라고 고쳐 썼으니, 이렇게 한 뒤에야 명분이 바르고 말이 순해서 올바름과 거짓됨의 구분이 저절로 밝아지는 것이다.
			                              
                        			
                        		
                        		
	                     		
			                       	
			                       	
	                     		
		                        
                        	
		                        
		                        
		                        
		                        
                        		
                        	
		                        
		                        
		                        
		                        	
		                        	
		                        
		                        
                        		
                        		
                        			
			                        
			                        	뒤는 모두 이를 따랐으니, 다시 거듭 말하지 않는다.
			                              
                        			
                        		
                        		
	                     		
			                       	
			                       	
	                     		
		                        
                        	
		                        
		                        
		                        
		                        
                        		
                        	
		                        
		                        
		                        
		                        	
		                        	
		                        
		                        
                        		
                        		
                        			
			                        
			                        	처음에 월수태수越嶲太守 마속馬謖이 재주와 기국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서 군대의 계책을 논하기 좋아하니, 제갈량諸葛亮이 깊이 소중히 여기고 특이하게 여겼다. 
			                              
                        			
                        		
                        		
	                     		
			                       	
			                       	
	                     		
		                        
                        	
		                        
		                        
		                        
		                        
                        		
                        	
		                        
		                        
		                        
		                        	
		                        	
		                        
		                        
                        		
                        		
                        			
			                        
			                        	소열제昭烈帝가 임종할 때에 제갈량諸葛亮에게 말하기를 “마속馬謖은 말이 실제보다 지나쳐 크게 쓸 수 없으니, 군君은 살피라.” 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은 그래도 그렇지 않다고 여기고, 
마속馬謖을 
참군參軍으로 삼아 매번 인견하여 
담론談論할 때에 낮부터 밤에 이르곤 하였는데, 
기산祁山으로 출병하게 되자 
제갈량諸葛亮이 
구장舊將인 
위연魏延과 
오의吳懿 등을 
선봉先鋒으로 삼지 않고, 
마속馬謖으로 하여금 
제군諸軍을 독려하면서 앞에 있게 하여 
장합張郃과 
가정街亭注+[釋義]《방여승람方輿勝覽》의 흥원부興元府 가정조街亭條 주註에 “위魏나라 장합張郃이 촉한蜀漢의 마속馬謖과 이곳에서 싸웠다.” 하였다. 에서 싸우게 되었다.
 
			                              
                        			
                        		
                        		
	                     		
			                       	
			                       	
	                     		
		                        
                        	
		                        
		                        
		                        
		                        
                        		
                        	
		                        
		                        
		                        
		                        	
		                        	
		                        
		                        
                        		
                        		
                        			
			                        
			                        	그런데 마속馬謖이 제갈량諸葛亮의 절도節度(지휘)를 어겨 거조擧措가 번거롭고 요란하였으며 물이 있는 곳을 버리고 산으로 올라가서, 내려와 산 아래의 성城을 점거하지 않았다. 
			                              
                        			
                        		
                        		
	                     		
			                       	
			                       	
	                     		
		                        
                        	
		                        
		                        
		                        
		                        
                        		
                        	
		                        
		                        
		                        
		                        	
		                        	
		                        
		                        
                        		
                        		
                        			
			                        
			                        	장합張郃이 물을 길어 가는 통로를 차단하고 공격해서 대파하니, 사졸들이 뿔뿔이 흩어졌다. 
			                              
                        			
                        		
                        		
	                     		
			                       	
			                       	
	                     		
		                        
                        	
		                        
		                        
		                        
		                        
                        		
                        	
		                        
		                        
		                        
		                        	
		                        	
		                        
		                        
                        		
                        		
                        			
			                        
			                        	제갈량諸葛亮은 진군進軍해도 점거할 곳이 없어서 마침내 서현西縣의 천여 가호를 공략하였다. 
			                              
                        			
                        		
                        		
	                     		
			                       	
			                       	
	                     		
		                        
                        	
		                        
		                        
		                        
		                        
                        		
                        	
		                        
		                        
		                        
		                        	
		                        	
		                        
		                        
                        		
                        		
                        			
			                        
			                        	한중漢中으로 돌아온 다음 마속馬謖을 체포하여 하옥시켜 죽이고는 제갈량諸葛亮이 직접 상喪에 가서 제사하여 그를 위하여 눈물을 흘리고 그의 어린 자식을 어루만져 은혜가 평소와 같았다. 
			                              
                        			
                        		
                        		
	                     		
			                       	
			                       	
	                     		
		                        
                        	
		                        
		                        
		                        
		                        
                        		
                        	
		                        
		                        
		                        
		                        	
		                        	
		                        
		                        
                        		
                        		
                        			
			                        
			                        	제갈량諸葛亮은 이에 작은 공로를 살피고 국가를 위해 
장렬壯烈하게 전사한 자를 선발하며,
注+[頭註]견甄은 분별함이요, 살핌이다.  잘못을 자신의 책임으로 삼아 잘못한 바를 
경내境內에 알리고 병기를 예리하게 하였고 
무예武藝를 익혀 후일을 도모하니, 군대의 일이 간략하고 단련되었으며 백성들이 그 실패를 잊었다.
 
			                              
                        			
                        		
                        		
	                     		
			                       	
			                       	
	                     		
		                        
                        	
		                        
		                        
		                        
		                        
                        		
                        	
		                        
		                        
		                        
		                        	
		                        	
		                        
		                        
                        		
                        		
                        			
			                        
			                        	○ 오왕吳王이 파양태수鄱陽太守 주방周魴으로 하여금 사람을 보내어 전문牋文을 가지고 가서 양주도독揚州都督 조휴曹休를 유인하여 “군郡을 바치고 항복하고자 한다.”고 말하게 하니,
			                              
                        			
                        		
                        		
	                     		
			                       	
			                       	
	                     		
		                        
                        	
		                        
		                        
		                        
		                        
                        		
                        	
		                        
		                        
		                        
		                        	
		                        	
		                        
		                        
                        		
                        		
                        			
			                        
			                        	 조휴曹休가 보병步兵과 기병騎兵 10만 명을 이끌고 주방周魴에게 호응하였다가 육손陸遜과 석정石亭에서 싸워 대패하고 돌아갔다.
			                              
                        			
                        		
                        		
	                     		
			                       	
			                       	
	                     		
		                        
                        	
		                        
		                        
		                        
		                        
                        		
                        	
		                        
		                        
		                        
		                        	
		                        	
		                        
		                        
                        		
                        		
                        			
			                        
			                        	○ 
승상丞相 제갈량諸葛亮은 
조휴曹休가 패전했다는 말을 듣고 다시 출병하여 
위魏나라를 공격하고자 하니, 여러 신하들이 대부분 의심하였다.
注+[通鑑要解]기산祁山에서 패전함으로 인하여 위魏나라를 칠 수 없다고 의심한 것이다.       
                        			
                        		
                        		
	                     		
			                       	
			                       	
	                     		
		                        
                        	
		                        
		                        
		                        
		                        
                        		
                        	
		                        
		                        
		                        
		                        	
		                        	
		                        
		                        
                        		
                        		
                        			
			                        
			                        	제갈량諸葛亮이 황제에게 다음과 같이 상언上言하였다.
			                              
                        			
                        		
                        		
	                     		
			                       	
			                       	
	                     		
		                        
                        	
		                        
		                        
		                        
		                        
                        		
                        	
		                        
		                        
		                        
		                        	
		                        	
		                        
		                        
                        		
                        		
                        			
			                        
			                        	“
선제先帝께서는 
한漢과 
적賊(魏나라)이 
양립兩立할 수 없고 
왕업王業이 한쪽 구석인 
촉도蜀都에서 편안할 수 없음
注+[頭註]왕업불편안王業不偏安은 왕업王業을 한쪽 구석인 촉도蜀都에서 보전할 수 없음을 이른다. 을 깊이 염려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신에게 적을 토벌하는 일을 맡기셨으니, 선제先帝의 밝으신 지혜로 신의 재주를 헤아리심에 진실로 신이 적을 토벌하는 것이 신의 재주는 약하고 적은 강하다는 것을 당연히 아셨습니다.
			                              
                        			
                        		
                        		
	                     		
			                       	
			                       	
	                     		
		                        
                        	
		                        
		                        
		                        
		                        
                        		
                        	
		                        
		                        
		                        
		                        	
		                        	
		                        
		                        
                        		
                        		
                        			
			                        
			                        	그러나 적을 토벌하지 않으면 
왕업王業이 또한 망할 것이니, 생각건대
注+[頭註]유惟는 생각함이다.  앉아서 망하기를 기다리기는 것보다는 차라리 적을 토벌하는 것이 낫다고 여기셨기
注+[頭註]여與는 같음이다.  때문에 신에게 맡기고 의심하지 않으신 것입니다.
      
                        			
                        		
                        		
	                     		
			                       	
			                       	
	                     		
		                        
                        	
		                        
		                        
		                        
		                        
                        		
                        	
		                        
		                        
		                        
		                        	
		                        	
		                        
		                        
                        		
                        		
                        			
			                        
			                        	지금 적이 마침 서쪽에서 피폐하고
注+[頭註]피어서疲於西는 5년(魏 명제明帝 태화太和 5년으로 서기 231)에 제갈량諸葛亮이 기산祁山을 공격하자, 남안군南安郡‧천수군天水郡‧안정군安定郡 세 군郡이 모두 위魏나라를 배반하고 제갈량諸葛亮에게 호응한 일을 가리킨다.  또 동쪽에서 일(전쟁)을 벌이고
注+[頭註]무어동務於東은 조휴曹休가 오吳나라 육손陸遜과 가정街亭에서 싸워 크게 패한 일을 가리킨다.  있습니다. 
      
                        			
                        		
                        		
	                     		
			                       	
			                       	
	                     		
		                        
                        	
		                        
		                        
		                        
		                        
                        		
                        	
		                        
		                        
		                        
		                        	
		                        	
		                        
		                        
                        		
                        		
                        			
			                        
			                        	병법兵法에 ‘적의 피로한 틈을 타라.’ 하였으니, 이는 우리가 진취할 때입니다.
			                              
                        			
                        		
                        		
	                     		
			                       	
			                       	
	                     		
		                        
                        	
		                        
		                        
		                        
		                        
                        		
                        	
		                        
		                        
		                        
		                        	
		                        	
		                        
		                        
                        		
                        		
                        			
			                        
			                        	고제高帝께서는 밝음이 
일월日月과 같으시고 
모신謀臣들은 지혜가 깊었으나 그런데도 위험을 겪고 상처를 입어서
注+[通鑑要解]창創은 상처이니 한漢나라 조참曹參은 전투하다가 몸에 70군데의 상처를 입었다.  위태로운 뒤에야 편안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폐하는 밝음이 
고제高帝에 미치지 못하시고 
모신謀臣들의 지혜도 
장량張良과 
진평陳平注+[頭註]양평良平은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이다. 만 못한데도 장구한 계책으로 승리를 취하여 가만히 앉아서 천하를 평정하고자 하시니 이는 신이 이해할 수 없는 점입니다.
      
                        			
                        		
                        		
	                     		
			                       	
			                       	
	                     		
		                        
                        	
		                        
		                        
		                        
		                        
                        		
                        	
		                        
		                        
		                        
		                        	
		                        	
		                        
		                        
                        		
                        		
                        			
			                        
			                        	조조曹操는 
지모智謀가 보통 사람보다 크게 뛰어나 
용병用兵하는 것이 
손무孫武‧
오기吳起注+[頭註]손오孫吳는 손빈孫臏과 오기吳起이다. 와 방불하였습니다.
 
			                              
                        			
                        		
                        		
	                     		
			                       	
			                       	
	                     		
		                        
                        	
		                        
		                        
		                        
		                        
                        		
                        	
		                        
		                        
		                        
		                        	
		                        	
		                        
		                        
                        		
                        		
                        			
			                        
			                        	그런데도 
남양南陽에서 곤궁하고
注+[頭註]곤어남양困於南陽은 조조曹操가 장수張繡와 남양南陽의 완현宛縣에서 싸울 때에 유시流矢에 맞은 일을 가리킨다. 오소烏巢에서 위험을 겪고
注+[頭註]험어오소險於烏巢는 원소袁紹가 관도官渡에서 조조曹操와 대치할 때에 원소袁紹는 치중거輜重車 만여 대가 오소烏巢에 있었는데, 이때 조조曹操는 군량이 부족하여 허도許都로 돌아가고자 하였던 일을 가리킨다. 기련祁連에서 위태롭고
注+[頭註]기련祁連은 서역西域의 나라 이름이다. 여양黎陽에서 핍박을 받고
注+[頭註]핍어여양偪於黎陽은 원담袁譚이 여양黎陽을 점거하고 있었는데, 조조曹操가 오吳‧촉蜀과 전쟁을 벌이자, 원담袁譚이 그 후미를 핍박한 일을 가리킨다. 북산北山에서 패할 뻔하고
注+[附註]기패북산幾敗北山은 상권上卷(23권) 기해년조己亥年條(建安 24)에 조조曹操가 한중漢中을 다투었는데, 조운趙雲이 뒤를 따르니 조조曹操의 군대가 자기들끼리 서로 밟혀 한수漢水에 빠져 죽은 일을 가리킨다. 《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북산北山이 백산伯山으로 되어 있는 바,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에 “오환烏桓과 백랑산白狼山에서 싸울 때이다.” 하였다. 동관潼關에서 죽을 뻔한
注+[附註]태사동관殆死潼關은 마초馬超와 한수韓遂가 동관潼關을 점거하자 조조曹操가 이들을 토벌하였는데, 마초馬超가 공격하여 화살이 비처럼 쏟아졌다. 허저許褚가 조조曹操를 부축하여 배에 오르니, 뱃사공이 화살에 맞아 죽었다. 허저許褚가 왼손으로는 말안장을 들어 조조曹操의 몸을 가리고, 오른손으로는 배를 저어 마침내 건너갈 수 있었던 일을 가리킨다.  뒤에야 거짓으로(임시로)
注+[頭註]비록 한때를 평정하는 공功을 이루었으나 한漢나라를 찬탈하려는 마음이 있으므로 위정僞定이라고 한 것이다.  한때를 평정할 수 있었습니다.
      
                        			
                        		
                        		
	                     		
			                       	
			                       	
	                     		
		                        
                        	
		                        
		                        
		                        
		                        
                        		
                        	
		                        
		                        
		                        
		                        	
		                        	
		                        
		                        
                        		
                        		
                        			
			                        
			                        	더구나 신은 재주가 미약한데, 위태롭지 않고서 천하를 평정하고자 할 수 있겠습니까.
			                              
                        			
                        		
                        		
	                     		
			                       	
			                       	
	                     		
		                        
                        	
		                        
		                        
		                        
		                        
                        		
                        	
		                        
		                        
		                        
		                        	
		                        	
		                        
		                        
                        		
                        		
                        			
			                        
			                        	신은 몸을 굽히고
注+[通鑑要解]그 몸을 굽히는 것을 국鞠이라 한다.  힘을 다하여 죽은 뒤에야 그만둘 것이니, 성공과 실패, 유리함과 불리함에 이르러서는 신의 지혜로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12월에 제갈량諸葛亮이 군대를 이끌고 산관散關으로 나와 진창陳倉을 포위하였는데, 진창陳倉이 이미 대비가 있었다.
			                              
                        			
                        		
                        		
	                     		
			                       	
			                       	
	                     		
		                        
                        	
		                        
		                        
		                        
		                        
                        		
                        	
		                        
		                        
		                        
		                        	
		                        	
		                        
		                        
                        		
                        		
                        			
			                             
                        			
                        		
                        		
	                     		
			                       	
			                       	
	                     		
		                        
                        	
		                        
		                        
		                        
		                        
                        		
                        	
		                        
		                        
		                        
		                        	
		                        	
		                        
		                        
                        		
                        		
                        			
			                        
			                        	○ 위주魏主 조예曹叡가 장합張郃을 방성方城에서 불러와 제갈량諸葛亮을 공격하게 하였다.
			                              
                        			
                        		
                        		
	                     		
			                       	
			                       	
	                     		
		                        
                        	
		                        
		                        
		                        
		                        
                        		
                        	
		                        
		                        
		                        
		                        	
		                        	
		                        
		                        
                        		
                        		
                        			
			                        
			                        	이때 
위주魏主 조예曹叡가 
장합張郃에게 묻기를 “장군이 도착하기를 기다리면
注+[原註]지遲는 거성去聲이니 기다림이다. 제갈량諸葛亮이 이미 
진창陳倉을 점령하지 않겠는가?” 하니, 
장합張郃은 
제갈량諸葛亮이 깊이 쳐들어와 식량이 없음을 알고는 손가락을 꼽아 계산하며 말하기를 “신이 도착할 때쯤이면 
제갈량諸葛亮은 이미 달아났을 것입니다.” 하였다. 
      
                        			
                        		
                        		
	                     		
			                       	
			                       	
	                     		
		                        
                        	
		                        
		                        
		                        
		                        
                        		
                        	
		                        
		                        
		                        
		                        	
		                        	
		                        
		                        
                        		
                        		
                        			
			                        
			                        	장합張郃이 새벽부터 밤늦도록 길을 달려 도착하기 전에 제갈량諸葛亮은 군량이 떨어져 군대를 이끌고 떠나갔다. 
			                              
                        			
                        		
                        		
	                     		
			                       	
			                       	
	                     		
		                        
                        	
		                        
		                        
		                        
		                        
                        		
                        	
		                        
		                        
		                        
		                        	
		                        	
		                        
		                        
                        		
                        		
                        			
			                        
			                        	장군將軍 왕쌍王雙이 추격하자 제갈량諸葛亮은 왕쌍王雙을 공격하여 목을 베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