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4)

통감절요(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丁丑]二年이라
太后兄衛尉馬廖 慮美業難終하야 上疏勸成德政曰 夫改政移風 必有其本이라
傳曰 吳王 好劍客하니 百姓 多創瘢注+[釋義]王氏曰 吳王 春秋吳公子光也 僭號稱王이라 劍客 光皆善客待之故 百姓亦多以劍相擊刺而有創瘢이라 讀曰瘡이니 刀所傷也 痕也하고 楚王 好細腰하니 宮中 多餓死注+[釋義]王氏曰 楚王 春秋楚靈王圉也 楚國策 莫敖子華對威王曰 昔者 先君靈王 好小腰하시니 楚士約食하야 馮(憑)而能立하고 式而能起라하니라라하며
長安語曰 城中 好高結(髻)注+[原註] 讀曰髻 束髮也하니 四方 高一尺이요
城中 好廣眉하니 四方 且半額이요 城中 好大袖하니 四方 全匹帛注+[釋義]王氏曰 古者製帛 長丈八尺曰匹이니 言城外四方 皆效爲大袖하야 將費帛全匹也이라하니
斯言 如戲 有切事實이니이다 太后深納之하다
〈出馬廖傳〉
○ 第五倫 上疏曰 光武承王莽之餘하야 頗以嚴猛爲政하시니 後代因之하야 遂成風化
郡國所擧 類多辦職俗吏 殊未有寬博之選으로 以應上求者也니이다
秦以酷急亡國하고 王莽 亦以苛法自滅이라
勤勤懇懇 寔在於此니이다 善之
雖天性峭直이나이나 常疾俗吏苛刻하야 論議每依寬厚云이러라
〈出本傳〉


건초建初 2년(정축 77)
태후太后의 오라비인 위위衛尉 마료馬廖가 아름다운 기업基業을 잘 마치기 어려움을 염려해서 상소하여 덕정德政을 이룰 것을 권하여 말하기를 “정사를 바꾸고 풍속을 고침은 반드시 근본이 있어야 합니다.
옛글에 이르기를 ‘오왕吳王검객劍客을 좋아하자 백성들 중에 흉터 있는 자가 많았고,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기를 “오왕吳王춘추시대春秋時代 나라 공자公子 (闔閭)이니, 참칭하여 이라 칭하였다. 검객劍客전제專諸의 무리이니, 검술劍術하는 자들을 으로 잘 대우하였기 때문에 백성들 또한 으로 서로 공격하고 찔러 흉터가 있는 자가 많았던 것이다.” 하였다. 으로 읽으니 칼에 찔려 상처가 난 것이요, 은 흔적(흉터)이다. 초왕楚王이 허리 가는 사람을 좋아하자 궁중에 굶어 죽은 자가 많았다.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초왕楚王춘추시대春秋時代 나라 영왕靈王 이다. 《전국책戰國策》 〈 위왕威王〉에 막오자화莫敖子華위왕威王에게 대답하기를 ‘옛날 선군先君영왕靈王께서 허리 가는 사람을 좋아하시니, 나라 선비들이 밥을 적게 먹어 몸이 약해져서 기대야만 서 있을 수가 있었고 수레에 가로댄 나무를 붙잡아야만 일어날 수 있었습니다.’ 하였다.” ’ 하였으며,
장안長安 사람들의 말에 이르기를 ‘도성 안에서 높게 튼 상투注+[原註]로 읽으니, 머리를 묶는 것(상투)이다. 를 좋아하자 사방(지방)에서는 상투 높이가 한 자나 되었고,
도성 안에서 눈썹이 넓은 것을 좋아하자 사방에서는 눈썹이 거의 이마의 절반이나 되었고, 도성 안에서 소매가 넓은 옷을 좋아하자 사방에서는 비단 한 필을 온전히 다 썼다.注+[釋義]城中……全匹帛: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옛날 비단을 만들 때에 길이가 1 8인 것을 이라 하였으니, 성 밖의 사방四方에서는 모두 도성 사람들을 흉내 내어 소매가 넓은 옷을 만들어서 비단 한 필을 허비하게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 하였으니,
이 말이 농담 같으나 사실에 매우 가깝습니다.” 하니, 태후가 그 말을 깊이 받아들였다.
- 《후한서後漢書 마료전馬廖傳》에 나옴 -
제오륜第五倫상소上疏하기를 “광무제光武帝왕망王莽의 뒤를 이어서 자못 위엄으로 정사를 하시니, 후대에 이것을 인습해서 마침내 풍화風化를 이루었습니다.
그리하여 군국郡國에서 거용擧用한 자들은 대부분 직책만을 수행하는 속리俗吏가 많고, 관대하여 백성들을 포용할 수 있는 자를 선발하여 윗사람의 요구에 부응하는 자가 전혀 없습니다.
나라는 혹독함과 급함으로 나라를 망쳤고, 왕망王莽 또한 까다로운 법으로 스스로 멸망하였습니다.
부지런하고 정성스럽게 힘쓰는 것이 진실로 이 너그러움에 있어야 합니다.” 하니, 이 그의 말을 좋게 여겼다.
제오륜第五倫은 천성이 굳세고 곧았으나 항상 속리俗吏들의 까다롭고 각박함을 미워하여 의론이 매번 관후寬厚함을 따랐다.
- 《후한서後漢書 제오륜전第五倫傳》에 나옴 -


역주
역주1 專設諸 : 춘추시대 吳나라의 刺客인 專諸를 가리키는 바, 吳나라 公子 光을 위하여 吳王 僚를 죽이려고 계획하여 비수를 물고기 뱃속에 숨겨 가지고 들어가 그를 찔러 죽였으나 자신도 그 자리에서 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春秋左傳》에는 ‘鱄設諸’ 혹은 ‘剸諸’, ‘鱄諸’로 되어 있다.

통감절요(4)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