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2)

통감절요(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庚子]六年이라
春二月 詔有司하야 問郡國所擧賢良文學民所疾苦 敎化之要한대 皆對願罷鹽鐵均輸官注+[釋義]百官表 武帝時 有均輸令丞이라 註云 諸州郡所當輸於官者 皆令輸其土地所饒하고 平其所在時價하야 官自轉遷於所無之地賣之하니 輸者旣便而官有利 故曰均輸라하니라하야 毋與天下爭利하야 示以儉節이니
然後 敎化可興이리이다
桑弘羊하야 以爲 此 國家大業이라 所以制四夷 安邊足用之本이니 不可廢也라한대
於是 鹽鐵之議起焉하니라
〈出田千秋傳〉
○ 初 杖漢節牧羊이러니 臥起 操持하니 盡落이라
單于立 國內乖離하니 於是 衛律 謀與漢和親이라
漢使至하야 求武等한대 匈奴言武死어늘
常惠私敎使者하야 謂單于言호되 天子射上林中하야 得雁하니 足有繫帛書하야 言武等在某澤中이라한대
使者如惠語하야 以讓單于하니 單于驚謝하고 乃歸武하다
武留匈奴凡十九歲
始以彊壯出이러니 及還 鬚髮 盡白注+[通鑑要解]武留匈奴十九年한대 而孝昭嘉之하야 詔武奉一太牢하야 謁武帝廟하고 拜爲典屬國하니 秩中二千石이라 賜錢三百萬, 公田二千頃, 宅一區하고 以錢三十萬으로 贖於匈奴하야 率歸子通하야 與之하니라이러라
〈出本紀〉
罷榷酤官하니 從賢良文學之議也러라
武帝之末 海內虛耗하야 戶口減半이라
霍光 知時務之要하야 輕徭薄賦하야 與民休息이러니 至是하야 匈奴和親하고 百姓 充實하야 稍復文, 景之業焉이러라
〈出本紀〉


시원始元 6년(경자 B.C.81)
봄 2월에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군국郡國에서 천거한 현량賢良문학文學들에게 백성들이 고통스러워하는 바와 교화敎化의 요점을 물었는데, 모두 대답하기를 “염철관鹽鐵官주각酒榷균수관均輸官注+[釋義]한서漢書》 〈백관표百官表〉에 “무제武帝 때에 균수均輸이 있었다.” 하였는데, 에 이르기를 “여러 주군州郡에서 마땅히 관청에 바쳐야 할 것을 모두 그 토지에서 많이 생산되는 것을 바치게 하고, 그 소재지所在地시가時價를 공평하게 하여 관청에서 직접 물건이 없는 곳으로 수송하여 파니, 바치는 자들이 이미 편리하였고 관청에 이익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것을 균수均輸라 한다.” 하였다. 없애어 천하와 더불어 이익을 다투지 말아서 검소하고 절약함을 보이소서.
그런 뒤에야 교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상홍양桑弘羊이 논란하여 이르기를 “이는 국가의 큰 사업이라 사이四夷를 제재하고 변경을 편안히 하며 재용財用을 풍족히 하는 근본이니, 폐할 수 없다.” 하였다.
이에 염철鹽鐵에 대해 비난하는 의론이 일어났다.
- 《사기史記전천추전田千秋傳》에 나옴 -
예전에 소무蘇武가 북쪽 바닷가로 옮겨간 뒤에 나라의 (깃발)을 잡고 양을 길렀는데 눕거나 일어날 적에 을 잡으니, 의 털이 다 빠졌다.
호연제선우壺衍鞮單于가 즉위하자 국내國內가 괴리되니, 이에 위율衛律나라와 화친할 것을 도모하였다.
나라 사자使者흉노匈奴에 이르러 소무蘇武 등을 내놓으라고 요구하자, 흉노匈奴소무蘇武가 죽었다고 속여서 말하였다.
상혜常惠가 은밀히 사자使者를 시켜 선우單于에게 말하기를 “천자天子상림원上林苑 가운데에서 활을 쏘아 기러기를 잡았는데, 기러기 발에 비단에 쓴 글이 매여 있어, 그 글에 ‘소무蘇武 등이 어느 늪 가운데에 있다.’고 씌어있었다.”하고 추궁하게 하였다.
사자使者상혜常惠의 말대로 선우單于를 꾸짖으니, 선우單于가 놀라 사죄하고 마침내 소무蘇武를 돌려보냈다.
소무蘇武흉노匈奴에 억류된 것이 모두 19년이었다.
처음에는 건장한 몸으로 나갔었는데, 돌아올 때에는 수염과 머리가 다 세었다.注+[通鑑要解]소무蘇武흉노匈奴에 억류된 것이 19년이었는데, 효소제孝昭帝가 가상히 여기고 명령을 내려 소무蘇武에게 한 태뢰太牢를 받들어 올리게 하고 무제武帝의 사당에 배알하게 하였으며 전속국典屬國에 임명하니, 품계가 중이천석中二千石이었다. 3백만 공전公田 2천 과 집 한 채를 하사하였으며, 흉노匈奴에게 30만 을 주고 거기서 낳은 아들인 을 데려오게 하여 이것을 주었다.
- 《한서漢書무제기武帝紀》에 나옴 -
가을에 각고관榷酤官을 없애니, 현량賢良문학文學의 건의를 따른 것이었다.
무제武帝 말년에 해내海內가 피폐해져서 호구戶口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곽광霍光시무時務의 요점을 알아 요역徭役을 가볍게 하고 부세를 적게 거두어 백성들과 함께 휴식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흉노匈奴가 화친하고 백성들이 충실하여 차츰 문제文帝경제景帝의 업적을 회복하였다.
- 《한서漢書무제기武帝紀》에 나옴 -


역주
역주1 酒榷 : 이에 대한 내용은 앞의 武帝天漢 3年條釋義註에 보인다.
역주2 蘇武旣徙北海上 : 蘇武의 일은 앞의 天漢元年條에 보인다.
역주3 節旄 : 節은 들소 꼬리털을 묶어서 만든 깃발로, 사신이 외국에 갈 때에 이것을 신표로 삼는 바, 대나무의 마디 모양을 본떠 만들기 때문에 節이라고 이름하였다. 旄는 節 위의 꼬리털을 이른다.
역주4 壺衍鞮 : 호연제
역주5 : 궤
동영상 재생
1 [경자] 6년
동영상 재생
2 [경자] 6년 307
동영상 재생
3 [경자] 6년 412
동영상 재생
4 [경자] 6년 186

통감절요(2) 책은 2022.01.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