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趙武靈王
이 北略中山之地
하야 至房子
注+略者, 巡行之名. 按行, 邊境也. 班志 “房子縣屬常山郡.”하고 遂之代
하야 北至無窮
注+戰國策 “武靈王曰 ‘昔先君襄王與代交地, 城境封之, 名曰無窮之門, 所以詔後而期遠也.’”하고 西至河
하야 登黃華之上
注+黃華, 西河側之山名.하고 
									
                        			
                        			
                        		
	                     		
			                       	
			                       	
	                     		
	                     		
		                        
                        	
                        	
                        	
                        	
                        		
                        		
                        		
                        			
                        			
		                       		
		                       		
		                       		
		                        
		                        	
		                        		
		                            	與肥義
로 謀胡服騎射
하야 以敎百姓曰
注+騎, 去聲, 下同. 
									
                        			
                        			
                        		
	                     		
			                       	
			                       	
	                     		
	                     		
		                        
                        	
                        	
                        	
                        	
                        		
                        		
                        		
                        			
                        			
		                       		
		                       		
		                       		
		                        
		                        	
		                        		
		                            	 愚者所笑를 賢者察焉하나니 雖驅世以笑我라도 胡地中山을 吾必有之호리라하고
		                            	 
									
                        			
                        			
                        		
	                     		
			                       	
			                       	
	                     		
	                     		
		                        
                        	
                        	
                        	
                        	
                        		
                        		
                        		
                        			
                        			
		                       		
		                       		
		                       		
		                        
		                        	
		                        		
									
                        			
                        			
                        		
	                     		
			                       	
			                       	
	                     		
	                     		
		                        
                        	
                        	
                        	
                        	
                        		
                        		
                        		
                        			
                        			
		                       		
		                       		
		                       		
		                        
		                        	
		                        		
									
                        			
                        			
                        		
	                     		
			                       	
			                       	
	                     		
	                     		
		                        
                        	
                        	
                        	
                        	
                        		
                        		
                        		
                        			
                        			
		                       		
		                       		
		                       		
		                        
		                        	
		                        		
									
                        			
                        			
                        		
	                     		
			                       	
			                       	
	                     		
	                     		
		                        
                        	
                        	
                        	
                        	
                        		
                        		
                        		
                        			
                        			
		                       		
		                       		
		                       		
		                        
		                        	
		                        		
		                            	今寡人이 作敎易服이어늘 而公叔이 不服하니 吾恐天下議之也일까하노라
		                            	 
									
                        			
                        			
                        		
	                     		
			                       	
			                       	
	                     		
	                     		
		                        
                        	
                        	
                        	
                        	
                        		
                        		
                        		
                        			
                        			
		                       		
		                       		
		                       		
		                        
		                        	
		                        		
		                            	制國有常하니 利民이 爲本이요 從政有經하니 令行이 爲上이라
		                            	 
									
                        			
                        			
                        		
	                     		
			                       	
			                       	
	                     		
	                     		
		                        
                        	
                        	
                        	
                        	
                        		
                        		
                        		
                        			
                        			
		                       		
		                       		
		                       		
		                        
		                        	
		                        		
		                            	明德
은 先論於賤而從政
은 先信於貴
注+德欲其下及, 故先論於賤. 卑賤者感其德, 則德廣所及可知矣. 法行自貴近始, 故先信於貴. 貴近者奉法, 則法之必行可知矣.니 
									
                        			
                        			
                        		
	                     		
			                       	
			                       	
	                     		
	                     		
		                        
                        	
                        	
                        	
                        	
                        		
                        		
                        		
                        			
                        			
		                       		
		                       		
		                       		
		                        
		                        	
		                        		
									
                        			
                        			
                        		
	                     		
			                       	
			                       	
	                     		
	                     		
		                        
                        	
                        	
                        	
                        	
                        		
                        		
                        		
                        			
                        			
		                       		
		                       		
		                       		
		                        
		                        	
		                        		
		                            	公子成이 再拜稽首曰 中國者는 聖賢之所敎요 禮樂之所用이요 遠方之所觀赴요 蠻夷之所則效也어늘
		                            	 
									
                        			
                        			
                        		
	                     		
			                       	
			                       	
	                     		
	                     		
		                        
                        	
                        	
                        	
                        	
                        		
                        		
                        		
                        			
                        			
		                       		
		                       		
		                       		
		                        
		                        	
		                        		
		                            	今王이 舍此而襲遠方之服하야 變古道逆人心하니 臣願王은 熟圖之也하소서 使者以報한대
		                            	 
									
                        			
                        			
                        		
	                     		
			                       	
			                       	
	                     		
	                     		
		                        
                        	
                        	
                        	
                        	
                        		
                        		
                        		
                        			
                        			
		                       		
		                       		
		                       		
		                        
		                        	
		                        		
		                            	王이 自往請之曰 吾國이 東有齊中山하고 北有燕東胡하고 西有樓煩秦韓之邊하니
		                            	 
									
                        			
                        			
                        		
	                     		
			                       	
			                       	
	                     		
	                     		
		                        
                        	
                        	
                        	
                        	
                        		
                        		
                        		
                        			
                        			
		                       		
		                       		
		                       		
		                        
		                        	
		                        		
		                            	無騎射之備
면 則何以守之哉
注+胡, 北狄也. 其國在匈奴之東者曰東胡. 漢雁門郡樓煩縣, 樓煩胡所居地.리오 
									
                        			
                        			
                        		
	                     		
			                       	
			                       	
	                     		
	                     		
		                        
                        	
                        	
                        	
                        	
                        		
                        		
                        		
                        			
                        			
		                       		
		                       		
		                       		
		                        
		                        	
		                        		
		                            	先時
에 中山
이 負齊之彊
하야 侵暴吾地
하야 引水圍鄗
注+先, 悉薦切. 鄗, 音霍, 趙邑.하니 微社稷之神靈則鄗幾於不守也
라 
									
                        			
                        			
                        		
	                     		
			                       	
			                       	
	                     		
	                     		
		                        
                        	
                        	
                        	
                        	
                        		
                        		
                        		
                        			
                        			
		                       		
		                       		
		                       		
		                        
		                        	
		                        		
		                            	先君이 醜之하시니 故寡人이 變服騎射하야 欲以備四境之難하며 報中山之怨이어늘
		                            	 
									
                        			
                        			
                        		
	                     		
			                       	
			                       	
	                     		
	                     		
		                        
                        	
                        	
                        	
                        	
                        		
                        		
                        		
                        			
                        			
		                       		
		                       		
		                       		
		                        
		                        	
		                        		
		                            	而叔이 順中國之俗하고 惡變服之名하야 以忘鄗事之醜하니 非寡人之所望也로다
		                            	 
									
                        			
                        			
                        		
	                     		
			                       	
			                       	
	                     		
	                     		
		                        
                        	
                        	
                        	
                        	
                        		
                        		
                        		
                        			
                        			
		                       		
		                       		
		                       		
		                        
		                        	
		                        		
		                            	公子成이 聽命이어늘 乃賜胡服以朝하고 而始出令焉하다
		                            	 
									
                        			
                        			
                        		
	                     		
			                       	
			                       	
	                     		
	                     		
		                        
                        	
                        	
                        	
                        	
                   			
                    			
                    				
                    				 
                    			
                   			
                        	
                        	
                        	
                        	
	                       	
	                       	
	                       	
	                       	
							                       	
	                        
	                        
	                        	
	                        
	                        	
	                        
	                        	
	                        
	                        	
	                        
	                        	
	                        
	                        	
	                        
	                        	
	                        
	                        	
	                        
	                        	
	                        
	                        	
	                        
	                        	
	                        
	                        	
	                        
	                        	
	                        
	                        	
	                        
	                        	
	                        
	                        	
	                        
	                        	
	                        
	                        	
	                        
	                        	
	                        
	                        	
	                        
	                        	
	                        
	                        	
	                        
	                        	
	                        
	                        	
	                        
	                        	
	                        
	                        	
	                        
	                        	
	                        
	                        	
	                        
	                        	
	                        
	                        	
	                        
	                        	
	                        
	                        	
	                        
	                        	
	                        
	                        	
	                        
	                        	
	                        
	                        	
	                        
	                        	
	                        
	                        	
	                        
	                        	
	                        
	                        	
	                        
	                        	
	                        
	                        	
	                        
	                        	
	                        
	                        	
	                        
	                        	
	                        
	                        	
	                        
	                        	
	                        
	                        	
	                        
	                        	
	                        
	                        	
	                        
	                        	
	                        
	                        	
	                        
	                        	
	                        
	                        	
	                        
	                        	
	                        
	                        	
	                        
	                        	
	                        
	                        	
	                        
	                        	
	                        
	                        	
	                        
	                        
	                        
                        	
		                        
		                        
		                        
		                        
                        		
                        	
		                        
		                        
		                        
		                        	
		                        	
		                        
		                        
                        		
                        		
                        		
                        			
                        			
		                       		
		                       		
		                       		
		                       			
		                       			
		                       			
		                       				目
		                       		
		                       		
		                        		
			                            	[目]
조趙나라 
무령왕武靈王이 북쪽으로 
중산中山 지역을 순행하여 
방자房子에 이르렀고
注+① 약略은 순행巡行을 나타내는 명칭이고, 행行은 변경邊境을 뜻한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방자현房子縣은 상산군常山郡에 속한다.”고 하였다., 드디어 
대代에 가서 북쪽으로 
무궁無窮에 이르고
注+② 《전국책戰國策》 〈조책趙策 이二〉에 “무령왕武靈王이 ‘옛날에 선군先君 양왕襄王이 대代와 인접한 지역의 경계에 성城을 쌓아 국경으로 정하고 이름을 무궁지문無窮之門(끝없이 영토를 확장하는 문)이라 한 것은 후세에 알려 원대함을 기원한 것이다.’라고 말하였다.”고 하였다., 서쪽으로 
하수河水에 이르러 
황화산黃華山의 정상에 올랐다.
注+③ 황화黃華는 서하西河 옆의 산 이름이다. 
									
                        			
                        			
                        		
	                     		
			                       	
			                       	
	                     		
		                        
                        	
		                        
		                        
		                        
		                        
                        		
                        	
		                        
		                        
		                        
		                        
                        		
                        		
                        		
                        			
                        			
		                       		
		                       		
		                       		
		                       		
		                        		
			                            	비의肥義와 함께 
호복胡服과 
기사騎射를 
백성百姓에게 가르칠 것을 모의하며 말하기를
注+④ 기騎(기병)는 거성去聲이고 아래도 같다. 
			                             
									
                        			
                        			
                        		
	                     		
			                       	
			                       	
	                     		
		                        
                        	
		                        
		                        
		                        
		                        
                        		
                        	
		                        
		                        
		                        
		                        
                        		
                        		
                        		
                        			
                        			
		                       		
		                       		
		                       		
		                       		
		                        		
			                            	 “어리석은 사람이 웃는 바를 현명한 사람은 살피니, 비록 세상 사람을 몰아 나를 비웃더라도 오랑캐 지역의 중산中山을 내가 반드시 차지하겠다.”라고 하고,
			                             
									
                        			
                        			
                        		
	                     		
			                       	
			                       	
	                     		
		                        
                        	
		                        
		                        
		                        
		                        
                        		
                        	
		                        
		                        
		                        
		                        
                        		
                        		
                        		
                        			
                        			
		                       		
		                       		
		                       		
		                       		
		                        		
			                            	 드디어 호복胡服을 입었는데, 나라 사람들이 모두 따르려고 하지 않았다.
			                             
									
                        			
                        			
                        		
	                     		
			                       	
			                       	
	                     		
		                        
                        	
		                        
		                        
		                        
		                        
                        		
                        	
		                        
		                        
		                        
		                        
                        		
                        		
                        		
                        			
                        			
		                       		
		                       		
		                       		
		                       		
		                        		
			                            	공자公子 성成이 병을 핑계 대고 조회에 나오지 아니하였다.
			                             
									
                        			
                        			
                        		
	                     		
			                       	
			                       	
	                     		
		                        
                        	
		                        
		                        
		                        
		                        
                        		
                        	
		                        
		                        
		                        
		                        
                        		
                        		
                        		
                        			
                        			
		                       		
		                       		
		                       		
		                       		
		                        		
			                            	왕王이 사람을 시켜서 그를 청하며 말하기를 “집에서는 어버이의 말을 듣고 나라에서는 임금의 말을 듣습니다.
			                             
									
                        			
                        			
                        		
	                     		
			                       	
			                       	
	                     		
		                        
                        	
		                        
		                        
		                        
		                        
                        		
                        	
		                        
		                        
		                        
		                        
                        		
                        		
                        		
                        			
                        			
		                       		
		                       		
		                       		
		                       		
		                        		
			                            	지금 과인寡人이 복장을 바꾸는 것을 가르치려고 하는데, 공숙公叔(公子 성成)이 따르지 않으니 나는 천하天下가 이 일을 의논할까 염려됩니다.
			                             
									
                        			
                        			
                        		
	                     		
			                       	
			                       	
	                     		
		                        
                        	
		                        
		                        
		                        
		                        
                        		
                        	
		                        
		                        
		                        
		                        
                        		
                        		
                        		
                        			
                        			
		                       		
		                       		
		                       		
		                       		
		                        		
			                            	나라를 통제하는 데 원칙이 있으니 백성을 이롭게 하는 것이 근본이 되고, 정사를 처리하는 데 원칙이 있으니 명령이 행해지는 것이 으뜸이 됩니다.
			                             
									
                        			
                        			
                        		
	                     		
			                       	
			                       	
	                     		
		                        
                        	
		                        
		                        
		                        
		                        
                        		
                        	
		                        
		                        
		                        
		                        
                        		
                        		
                        		
                        			
                        			
		                       		
		                       		
		                       		
		                       		
		                        		
			                            	덕을 밝히는 것은 천한 사람에게서 먼저 의논해야 하고 정사를 처리하는 것은 귀한 사람에게서 먼저 신임을 얻어야 합니다.
注+⑤ 덕德은 아래까지 미치고자 하므로 먼저 천한 사람에게 논의되어야 한다. 비천한 사람이 그 덕德을 느끼면 덕德이 넓게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법法은 집행을 귀하고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하므로 먼저 귀한 사람에게 신뢰를 받아야 한다. 귀하고 가까운 사람이 법을 지키면 법이 반드시 시행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바라건대 공숙을 흠모하는 뜻으로 호복胡服으로 바꾸는 공적을 이루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공자 성이 두 번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기를 “중국中國은 성현聖賢이 가르친 곳이고 예악禮樂이 쓰이는 곳이며, 먼 지방에서 보러 오는 곳이며 만이蠻夷가 본받는 곳입니다.
			                             
									
                        			
                        			
                        		
	                     		
			                       	
			                       	
	                     		
		                        
                        	
		                        
		                        
		                        
		                        
                        		
                        	
		                        
		                        
		                        
		                        
                        		
                        		
                        		
                        			
                        			
		                       		
		                       		
		                       		
		                       		
		                        		
			                            	지금 왕王이 이를 버리고 먼 지방의 복장을 이어받아 옛 도道를 변화시키고 인심人心을 거스르니, 신臣은 바라건대 왕은 심사숙고하여 도모하소서.”라고 하고, 사자使者에게 보고하게 하였다.
			                             
									
                        			
                        			
                        		
	                     		
			                       	
			                       	
	                     		
		                        
                        	
		                        
		                        
		                        
		                        
                        		
                        	
		                        
		                        
		                        
		                        
                        		
                        		
                        		
                        			
                        			
		                       		
		                       		
		                       		
		                       		
		                        		
			                            	왕이 스스로 가서 청하며 말하기를 “우리나라가 동쪽으로는 제齊나라와 중산中山이 있고, 북쪽으로는 연燕나라와 동호東胡가 있고, 서쪽으로는 누번樓煩과 진秦나라와 한韓나라의 변경이 있습니다.
			                             
									
                        			
                        			
                        		
	                     		
			                       	
			                       	
	                     		
		                        
                        	
		                        
		                        
		                        
		                        
                        		
                        	
		                        
		                        
		                        
		                        
                        		
                        		
                        		
                        			
                        			
		                       		
		                       		
		                       		
		                       		
		                        		
			                            	기사騎射의 준비가 없으면 어떻게 지킬 수 있겠습니까.
注+⑥ 호胡는 북쪽 오랑캐이다. 그 나라가 흉노匈奴의 동쪽에 있으므로 동호東胡라 하였다. 한漢나라 안문군雁門郡 누번현樓煩縣이 있는데, 누번樓煩이라는 오랑캐가 호胡가 거주한 곳이다. 
			                             
									
                        			
                        			
                        		
	                     		
			                       	
			                       	
	                     		
		                        
                        	
		                        
		                        
		                        
		                        
                        		
                        	
		                        
		                        
		                        
		                        
                        		
                        		
                        		
                        			
                        			
		                       		
		                       		
		                       		
		                       		
		                        		
			                            	옛날에 
중산中山이 
제齊나라의 강함을 등에 업고 우리 땅을 침범하여 포학하게 하며 물을 끌어당겨 
곽鄗을 포위하였는데
注+⑦ 선先은 실천悉薦의 절切이다. 호鄗은 음이 곽霍이니 조趙나라 읍邑이다., 
사직社稷의 신령함이 아니었으면 
호鄗은 거의 지키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선군先君이 이를 부끄럽게 여겼으므로 과인寡人이 호복으로 바꾸어 기사騎射를 편리하게 하여 사방 국경의 어려움을 대비하며 중산中山의 원한을 갚고자 합니다.
			                             
									
                        			
                        			
                        		
	                     		
			                       	
			                       	
	                     		
		                        
                        	
		                        
		                        
		                        
		                        
                        		
                        	
		                        
		                        
		                        
		                        
                        		
                        		
                        		
                        			
                        			
		                       		
		                       		
		                       		
		                       		
		                        		
			                            	그런데 공숙이 중국中國의 풍속을 따르고 복장을 바꾼다는 명분을 싫어하여 호鄗의 일에 대한 부끄러움을 잊고자 하니 과인이 바라는 바가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공자 성이 명을 따르니 마침내 호복胡服을 하사하여 조회에 나오게 하고 비로소 변복의 명령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