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7)

자치통감강목(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丙子年(A.D.16)
三年이라
春二月 地震하다
大司空王邑 以地震으로 乞骸骨한대 不許曰 夫地有動有震하니 震者有害 動者不害
春秋記地震하고 易繫坤動호되 動靜辟翕하여 萬物生焉注+辟, 通作闢, 開也. 翕, 收斂也. 易上繫之辭曰 “夫坤, 其動也闢, 其靜也翕, 是以廣生焉.”이라하니 其好自誣飾 皆此類也러라
大雨雪하다
雪深一丈하여 竹柏 或枯하다
하다
先是 以制作未定이라하여 上自公卿으로 下至小吏 皆不得俸祿이러니 至是 始賦吏祿注+賦, 布也, 與也.하다
又曰 古者 歲豐則充其禮하고 災害則有所損하니 上計時 通計天下하여 幸無災害者 太官膳羞 備品하고
卽有災害 以什率多少而損膳焉注+以十爲率, 視災害所減多少而制分數.하고 公卿以下 各分州郡國邑하여 保其災害하여 亦以什率多少而損其祿注+東嶽, 太師․立國將軍, 保東方三州一部二十五郡. 南嶽, 太傅․前將軍, 保南方二州一部二十五郡, 西嶽, 國師․寧始將軍, 保西方一州二部二十五郡. 北嶽, 國將․衛將軍, 保北方二州一部二十五郡. 大司馬, 保納卿․言卿․仕卿․作卿․京尉․扶尉․兆隊․右隊․中部左洎前七部. 大司徒, 保樂卿․典卿․宗卿․秩卿․翼尉․光尉․左隊․前隊․中部․右部, 有五郡. 大司空, 保予卿․虞卿․共卿․工卿․師尉․烈尉․祈隊․後隊․中部洎後十郡. 及六司六卿, 皆隨所屬之公, 保其災害.하고
中都官吏食祿者 以太官膳羞備損而爲節하라하니 莽之制度 煩碎如此하여 課計不可理 吏終不得祿하니
各因官職爲姦하여 受取賕賂하여 以自共給焉注+共, 讀曰供.하니라
長平岸하여 壅涇水어늘 注+長平岸, 長平館西岸也, 館在涇水之南原.하다
群臣 以岸崩이라하여 上壽曰 河圖所謂以土塡水 匈奴滅亡之祥也注+河圖讖文, 有九篇. 塡, 與鎭同.라한대
乃遣將擊匈奴하여 至邊하다
秋七月晦 日食하다
◑冬 大發兵하여 擊益州蠻이라가 不克하니 越巂蠻 亦殺其太守하다
莽兵擊蠻者 疾疫死十六七이요 賦斂民財하여 什取伍하니 益州虛耗而不克이라 更遣將하여 大發天水, 隴西騎士十萬人擊之하니
始至 頗斬首數千이러니 其後 軍糧 前後不相及하여 士卒饑疫이어늘 復大賦斂하다
就都大尹馮英注+莽於蜀郡廣都縣, 置就都大尹.호되 今調發諸郡兵穀注+句.하여 訾民什取其四하시면 空破梁州하여 功終不遂注+訾民什取其四, 言發人訾財, 十取其四也. 莽改益州曰梁州.하리니
宜罷兵屯田하고 明設購賞이니이다하여 免英官하니 越巂蠻夷任貴 遂殺太守枚根하고 自立爲邛穀王注+枚根, 太守之姓名.하다
遣五威將王駿하여 出西域이러니 焉耆襲殺之하다
遣駿하여 與都護李崇으로 出西域한대 諸國郊迎하고 送兵穀하다
焉耆詐降而聚兵自備라가 駿等至 伏兵襲殺之하니 西域 遂絶하다


병자년丙子年(A.D.16)
나라 왕망 천봉王莽 天鳳 3년이다.
】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왕망王莽대사공 왕읍大司空 王邑이 지진이 일어난 이유로 물러날 것을 청하자, 왕망은 허락하지 않으며 말하기를 “땅에는 이 있고 이 있으니, 은 해로움이 있고 은 해롭지 않다.
춘추春秋≫에 지진地震을 기록하고, ≪주역周易≫의 〈계사전繫辭傳〉에 함을 말하였는데, ‘하고 함에 열리고 합하여 만물萬物이 생겨난다.’고 했다.”注+과 통하니 열림이고, 수렴收斂함이다. ≪주역周易≫의 〈계사전 상繫辭傳 上〉에 이르기를 “함에 열리고 함에 합하니, 이 때문에 넓음이 생긴다.” 하였다. 하였으니, 왕망이 스스로를 속이고 꾸미기를 좋아함이 모두 이와 비슷했다.
】 함박눈이 내렸다.
】 눈의 깊이가 한 길이나 되어서 대나무와 측백나무가 혹 말라죽기도 하였다.
】 여름에 왕망王莽이 처음으로 관리들에게 녹봉을 나누어주었다.
】 이보다 앞서 왕망王莽이 제도가 아직 정해지지 못했다 하여, 위로는 공경公卿으로부터 아래로는 낮은 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두 녹봉을 받지 못하였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처음으로 관리들에게 녹봉을 주었다.注+는 베풂이요, 줌이다.
】 〈왕망王莽이〉 또 말하기를 “옛날에는 그해에 풍년이 들면 수라상의 음식 수를 예법대로 채워 행하고 재해가 있으면 수라상의 음식 수를 줄여 행하였으니, 상계上計할 적에 천하를 통계하여 다행히 재해가 없으면 태관太官이 수라상의 음식을 종류대로 모두 구비하고,
만일 재해가 있으면 10분을 기준율로 하여 많고 적음에 따라 음식의 수를 줄이라.注+〈“이십률다소이손선언以什率多少而損膳焉”은〉 10분을 기준율로 하여 재해로 인해 감소한 정도를 살펴보아 분수分數를 제정하는 것이다. 공경公卿 이하가 각각 주군州郡국읍國邑을 나누어 그 재해를 보증하되 또한 10분을 기준율로 하여 많고 적음에 따라 그 녹봉을 줄이라.注+
중도中都의 관리로서 녹봉을 먹는 자는 태관太官이 수라상의 음식을 종류별로 구비하거나 줄임에 따라 녹봉을 주는 절도로 삼으라.” 하니, 왕망의 제도가 번거롭고 자질구레함이 이와 같아서 제대로 회계會計를 할 수 없고 관리들이 끝내 녹봉을 받지 못하니,
각각 관직에 따라 간악한 짓을 하여 뇌물을 받아 스스로 녹봉을 충당하였다.注+(공급하다)은 으로 읽는다.
장평長平강안江岸이 무너져서 경수涇水를 막자, 왕망王莽이 다시 군대를 징발하여 흉노匈奴를 공격하였다.注+장평안長平岸장평관長平館서안西岸이니, 장평관長平館경수涇水의 남쪽 언덕에 있었다.
왕망王莽의 신하들이 강안江岸이 무너졌다 하여 축수祝壽하기를 “하도河圖에 이른바 ‘흙으로 물을 진정鎭靜시킨다.’는 것이니, 흉노匈奴가 멸망할 상서祥瑞입니다.” 注+하도河圖도참문圖讖文이 9이 있었다. (진정시키다)은 과 같다.하였다.
이에 왕망은 장수를 보내 흉노를 공격하여 변경에 이르러 주둔하게 하였다.
】 가을 7월 그믐에 일식이 있었다.
】 겨울에 왕망王莽이 군대를 크게 징발하여 익주益州만이蠻夷를 공격하다가 이기지 못하니, 월수越巂(월수)의 만이蠻夷 또한 자기들의 태수太守를 죽였다.
만이蠻夷를 공격하는 왕망王莽의 병사들 중에 역질로 죽은 자가 10명에 6, 7명이고 백성들의 재물을 세금으로 거두어서 10분의 5를 착취하니, 익주益州가 텅 비고 재정이 고갈되어 이기지 못하였다. 왕망이 다시 장수를 보내 천수天水농서隴西기병騎兵 10만 명을 크게 징발하여 공격하였다.
처음 도착했을 때에는 자못 수천 명에 이르는 적의 수급을 베었으나, 그 후 군량이 앞뒤로 서로 이어지지 못하여 사졸士卒들이 기아에 허덕이고 역질에 시달리자, 세금을 다시 크게 징수하고자 하였다.
취도대윤 풍영就都大尹 馮英이 말하기를注+왕망王莽촉군蜀郡광도현廣都縣취도대윤就都大尹을 두었다. “지금 여러 의 군대와 곡식을 징발하고자 하여注+여기서 를 뗀다. 백성들의 재물의 10분의 4를 세금으로 취하신다면 양주梁州(익주益州)를 텅 비어 무너지게 하여 전공戰功은 끝내 이루지 못할 것이니,注+자민십취기사訾民什取其四”는 백성들의 재물을 징발해서 그 10분의 4를 취함을 말한다. 왕망王莽익주益州를 고쳐 양주梁州라 하였다.
마땅히 군대를 해산하여 둔전屯田을 하고 분명하게 현상금을 내걸어야 합니다.” 하자, 왕망이 노하여 풍영을 면직하니, 월수越巂만이蠻夷임귀任貴가 마침내 태수 매근太守 枚根을 죽이고 스스로 서서 공곡왕邛穀王이라 하였다.注+매근枚根태수太守성명姓名이다.
왕망王莽오위장 왕준五威將 王駿을 보내 서역西域으로 출동하게 하였는데, 언기焉耆가 이들을 습격하여 죽였다.
왕망王莽왕준王駿을 보내 도호 이숭都護 李崇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출동하게 하자, 여러 나라에서 교외郊外까지 나와 맞이하고 군대와 곡식을 보내었다.
언기焉耆는 거짓으로 항복하고 병력을 모아 스스로 대비하였는데, 왕준 등이 이르자 군대를 매복했다가 습격하여 죽이니, 서역西域이 마침내 중국中國과 단절되었다.


역주
역주1 莽始賦吏祿 : “‘처음으로 祿俸을 주었다.’라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늦다고 여긴 것이다. 王莽이 天子의 지위를 찬탈한 지 8년이 되었는데도 제도를 정하지 못하여 이때에 처음으로 녹봉을 준 것이다.[書始賦 何 緩也 莽簒位八年矣 制度未定 於是始賦祿焉]다” ≪書法≫
역주2 東嶽은……보증하였다 : 본서 389쪽 지도3 ‘新나라 四輔․三公 감찰 지역’ 참조.
역주3 復發兵擊匈奴 : “‘復’라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王莽이 약속을 저버렸기 때문이니, 왕망은 이미 匈奴와 화친하였었다.[書復 何 莽背約也 旣與和親矣]다” ≪書法≫
역주4 (止)[上] : 저본에는 ‘止’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에 의거하여 ‘上’으로 바로잡았다.

자치통감강목(7) 책은 2019.10.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