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初子思言苟變於衛侯曰 其材可將五百乘
注+苟, 姓也.이니이다 公曰 吾知其可將
이나 
									
                        			
                        			
                        		
	                     		
			                       	
			                       	
	                     		
	                     		
		                        
                        	
                        	
                        	
                        	
                        		
                        		
                        		
                        			
                        			
		                       		
		                       		
		                       		
		                        
		                        	
		                        		
		                            	然變이 嘗爲吏하야 賦於民而食人二雞子하니 故弗用也하노라
		                            	 
									
                        			
                        			
                        		
	                     		
			                       	
			                       	
	                     		
	                     		
		                        
                        	
                        	
                        	
                        	
                        		
                        		
                        		
                        			
                        			
		                       		
		                       		
		                       		
		                        
		                        	
		                        		
		                            	子思曰 夫聖人之官人은 猶匠之用木也하야 取其所長하고 棄其所短이라
		                            	 
									
                        			
                        			
                        		
	                     		
			                       	
			                       	
	                     		
	                     		
		                        
                        	
                        	
                        	
                        	
                        		
                        		
                        		
                        			
                        			
		                       		
		                       		
		                       		
		                        
		                        	
		                        		
		                            	故杞梓連抱而有數尺之朽
라도 良工
은 不棄
注+杞梓, 皆木名. 連抱, 言兩人方合圍.하나니 
									
                        			
                        			
                        		
	                     		
			                       	
			                       	
	                     		
	                     		
		                        
                        	
                        	
                        	
                        	
                        		
                        		
                        		
                        			
                        			
		                       		
		                       		
		                       		
		                        
		                        	
		                        		
		                            	今君
이 處戰國之世
하야 選爪牙之士而以二卵
으로 棄干城之將
하니 此不可使聞於隣國也
注+處, 昌呂切. 爪牙, 鳥獸所用以爲威者也. 干城, 皆所以禦亂也.로소이다 
									
                        			
                        			
                        		
	                     		
			                       	
			                       	
	                     		
	                     		
		                        
                        	
                        	
                        	
                        	
                        		
                        		
                        		
                        			
                        			
		                       		
		                       		
		                       		
		                        
		                        	
		                        		
		                            	衛侯言計非是而群臣和者如出一口
注+和, 去聲, 下同.이어늘 
									
                        			
                        			
                        		
	                     		
			                       	
			                       	
	                     		
	                     		
		                        
                        	
                        	
                        	
                        	
                        		
                        		
                        		
                        			
                        			
		                       		
		                       		
		                       		
		                        
		                        	
		                        		
		                            	子思曰 以吾觀衛
컨대 所謂君不君臣不臣者也
로다 公丘懿子曰 何乃若是
注+公丘, 複姓. 懿, 諡.오 
									
                        			
                        			
                        		
	                     		
			                       	
			                       	
	                     		
	                     		
		                        
                        	
                        	
                        	
                        	
                        		
                        		
                        		
                        			
                        			
		                       		
		                       		
		                       		
		                        
		                        	
		                        		
									
                        			
                        			
                        		
	                     		
			                       	
			                       	
	                     		
	                     		
		                        
                        	
                        	
                        	
                        	
                        		
                        		
                        		
                        			
                        			
		                       		
		                       		
		                       		
		                        
		                        	
		                        		
		                            	事是而臧之
라도 猶却衆謀
어든 況和非以長惡乎
注+長, 知文切.아 
									
                        			
                        			
                        		
	                     		
			                       	
			                       	
	                     		
	                     		
		                        
                        	
                        	
                        	
                        	
                        		
                        		
                        		
                        			
                        			
		                       		
		                       		
		                       		
		                        
		                        	
		                        		
		                            	夫不察事之是非而悅人讚己闇莫甚焉
注+闇, 與暗同.이요 不
理之所在而阿諛求容
이 諂莫甚焉
注+度, 大各切. 諛, 音兪.이라 
									
                        			
                        			
                        		
	                     		
			                       	
			                       	
	                     		
	                     		
		                        
                        	
                        	
                        	
                        	
                        		
                        		
                        		
                        			
                        			
		                       		
		                       		
		                       		
		                        
		                        	
		                        		
		                            	君闇臣諂하야 以居百姓之上이면 民不與也니 若此不已면 國無類矣리라
		                            	 
									
                        			
                        			
                        		
	                     		
			                       	
			                       	
	                     		
	                     		
		                        
                        	
                        	
                        	
                        	
                        		
                        		
                        		
                        			
                        			
		                       		
		                       		
		                       		
		                        
		                        	
		                        		
		                            	子思言於衛侯曰 君之國事將日非矣로소이다 公曰 何故오
		                            	 
									
                        			
                        			
                        		
	                     		
			                       	
			                       	
	                     		
	                     		
		                        
                        	
                        	
                        	
                        	
                        		
                        		
                        		
                        			
                        			
		                       		
		                       		
		                       		
		                        
		                        	
		                        		
									
                        			
                        			
                        		
	                     		
			                       	
			                       	
	                     		
	                     		
		                        
                        	
                        	
                        	
                        	
                        		
                        		
                        		
                        			
                        			
		                       		
		                       		
		                       		
		                        
		                        	
		                        		
		                            	君出言自以爲是어든 而卿大夫莫敢矯其非하고 卿大夫出言亦自以爲是어든 而士庶人莫敢矯其非하야
		                            	 
									
                        			
                        			
                        		
	                     		
			                       	
			                       	
	                     		
	                     		
		                        
                        	
                        	
                        	
                        	
                        		
                        		
                        		
                        			
                        			
		                       		
		                       		
		                       		
		                        
		                        	
		                        		
		                            	君臣이 旣自賢矣어든 而群下同聲賢之하니 賢之則順而有福하고 矯之則逆而有禍하나니
		                            	 
									
                        			
                        			
                        		
	                     		
			                       	
			                       	
	                     		
	                     		
		                        
                        	
                        	
                        	
                        	
                        		
                        		
                        		
                        			
                        			
		                       		
		                       		
		                       		
		                        
		                        	
		                        		
									
                        			
                        			
                        		
	                     		
			                       	
			                       	
	                     		
	                     		
		                        
                        	
                        	
                        	
                        	
                        		
                        		
                        		
                        			
                        			
		                       		
		                       		
		                       		
		                        
		                        	
		                        		
		                            	詩曰 具曰予聖이라하니 誰知烏之雌雄고하니 抑亦似君之君臣乎인저
		                            	 
									
                        			
                        			
                        		
	                     		
			                       	
			                       	
	                     		
	                     		
		                        
                        	
                        	
                        	
                        	
                   			
                    			
                    				
                    				 
                    			
                   			
                        	
                        	
                        	
                        	
	                       	
	                       	
	                       	
	                       	
							                       	
	                        
	                        
	                        	
	                        
	                        	
	                        
	                        	
	                        
	                        	
	                        
	                        	
	                        
	                        	
	                        
	                        	
	                        
	                        	
	                        
	                        	
	                        
	                        	
	                        
	                        	
	                        
	                        	
	                        
	                        	
	                        
	                        	
	                        
	                        	
	                        
	                        	
	                        
	                        	
	                        
	                        	
	                        
	                        	
	                        
	                        	
	                        
	                        	
	                        
	                        	
	                        
	                        	
	                        
	                        	
	                        
	                        	
	                        
	                        	
	                        
	                        	
	                        
	                        	
	                        
	                        	
	                        
	                        	
	                        
	                        	
	                        
	                        	
	                        
	                        	
	                        
	                        	
	                        
	                        	
	                        
	                        	
	                        
	                        	
	                        
	                        	
	                        
	                        	
	                        
	                        	
	                        
	                        
	                        
                        	
		                        
		                        
		                        
		                        
                        		
                        	
		                        
		                        
		                        
		                        	
		                        	
		                        
		                        
                        		
                        		
                        		
                        			
                        			
		                       		
		                       		
		                       		
		                       			
		                       			
		                       			
		                       				目
		                       		
		                       		
		                        		
			                            	[目] 처음에 
자사子思가 
위후衛侯에게 
구변苟變에 대하여 말하기를 “그 재주가 
병거兵車 500
승乘을 거느릴 만합니다.”
注+① 구苟는 성姓이다.라고 하니, 
공公이 대답하기를 “나도 그럴 만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구변이 일찍이 관리가 되었을 때 백성에게 세금을 거두며 남의 계란 두 개를 먹었기 때문에 쓰지 않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자사가 말하기를 “성인聖人이 사람에게 벼슬을 주는 것은 장인匠人이 나무를 쓰는 것과 같아서 그 장점을 취하고 그 단점을 버립니다.
			                             
									
                        			
                        			
                        		
	                     		
			                       	
			                       	
	                     		
		                        
                        	
		                        
		                        
		                        
		                        
                        		
                        	
		                        
		                        
		                        
		                        
                        		
                        		
                        		
                        			
                        			
		                       		
		                       		
		                       		
		                       		
		                        		
			                            	그러므로 몇 아름이 되는 
기杞나무와 
재梓나무는 몇 자 정도의 썩은 부분이 있더라도 훌륭한 장인은 버리지 않습니다.
注+② 기杞와 재梓는 모두 나무 이름이다. 연포連抱는 두 사람이 팔로 둘러싸는 것을 말한다. 
									
                        			
                        			
                        		
	                     		
			                       	
			                       	
	                     		
		                        
                        	
		                        
		                        
		                        
		                        
                        		
                        	
		                        
		                        
		                        
		                        
                        		
                        		
                        		
                        			
                        			
		                       		
		                       		
		                       		
		                       		
		                        		
			                            	지금 임금께서는 나라가 서로 싸우는 세상에 처하여 
조아爪牙와 같은 
무인武人을 선발하여야 되는데 계란 두 개 때문에 
간성干城과 같은 장수를 버리시니, 이는 이웃 나라에 알려지게 해서는 안 됩니다.”
注+③ 처處(처하다)는 창려昌呂의 절切이다. 조아爪牙(손톱과 어금니)는 조수鳥獸가 사용하여 위협하는 것이다. 간성干城(방패와 성城)은 모두 난亂을 막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위후衛侯가 옳지 않은 계책을 말하는데도, 여러 신하들은 마치 한입에서 나오는 것처럼 호응하였다.
注+④ 화和(화답하다)는 거성去聲이고 아래도 같다. 
			                             
									
                        			
                        			
                        		
	                     		
			                       	
			                       	
	                     		
		                        
                        	
		                        
		                        
		                        
		                        
                        		
                        	
		                        
		                        
		                        
		                        
                        		
                        		
                        		
                        			
                        			
		                       		
		                       		
		                       		
		                       		
		                        		
			                            	자사가 “내가 
위衛나라를 보건대 이른바 임금은 임금답지 못하고 신하는 신하답지 못한 경우입니다.”라고 하니, 
공구의자公丘懿子가 “어찌하여 이처럼 되었습니까?”
注+⑤ 공구公丘는 복성複姓이고 의懿는 시諡이다.라고 하였다.
 
									
                        			
                        			
                        		
	                     		
			                       	
			                       	
	                     		
		                        
                        	
		                        
		                        
		                        
		                        
                        		
                        	
		                        
		                        
		                        
		                        
                        		
                        		
                        		
                        			
                        			
		                       		
		                       		
		                       		
		                       		
		                        		
			                            	자사가 이르기를 “임금이 스스로 옳다고 여기면 다른 사람들의 계책은 나오지 않습니다.
注+⑥ 장藏은 선善이다. 
									
                        			
                        			
                        		
	                     		
			                       	
			                       	
	                     		
		                        
                        	
		                        
		                        
		                        
		                        
                        		
                        	
		                        
		                        
		                        
		                        
                        		
                        		
                        		
                        			
                        			
		                       		
		                       		
		                       		
		                       		
		                        		
			                            	일이 옳아서 옳다고 하더라도 오히려 다른 사람의 계책을 막는데, 하물며 잘못된 일에 호응하여 
악惡을 키우는 것이야 말해서 무엇하겠습니까?
注+⑦ 장長(장점)은 지문知文의 절切이다. 
									
                        			
                        			
                        		
	                     		
			                       	
			                       	
	                     		
		                        
                        	
		                        
		                        
		                        
		                        
                        		
                        	
		                        
		                        
		                        
		                        
                        		
                        		
                        		
                        			
                        			
		                       		
		                       		
		                       		
		                       		
		                        		
			                            	일의 옳고 그름을 살피지 아니하고 남이 자신을 칭찬하는 것을 기뻐함이 가장 심한 어리석음이고
注+⑧ 암闇(어리석다)은 암暗과 같다., 이치가 있는 곳을 헤아리지 않고 아첨하여 용납되기를 구함이 가장 심한 아첨이다.
注+⑨ 탁度(헤아리다)은 대각大各의 절切이다. 유諛(아첨하다)는 음이 유兪이다. 
									
                        			
                        			
                        		
	                     		
			                       	
			                       	
	                     		
		                        
                        	
		                        
		                        
		                        
		                        
                        		
                        	
		                        
		                        
		                        
		                        
                        		
                        		
                        		
                        			
                        			
		                       		
		                       		
		                       		
		                       		
		                        		
			                            	임금은 어리석고 신하는 아첨하면서 백성의 위에 있으면 백성들이 따르지 않을 것이니, 이와 같이 하는 것을 그만두지 않으면 나라에 남는 백성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자사가 위후衛侯에게 말하기를 “임금의 나랏일이 장차 날로 잘못될 것입니다.”라고 하니, 공公이 말하기를 “무슨 까닭이오.”라고 하였다.
			                             
									
                        			
                        			
                        		
	                     		
			                       	
			                       	
	                     		
		                        
                        	
		                        
		                        
		                        
		                        
                        		
                        	
		                        
		                        
		                        
		                        
                        		
                        		
                        		
                        			
                        			
		                       		
		                       		
		                       		
		                       		
		                        		
									
                        			
                        			
                        		
	                     		
			                       	
			                       	
	                     		
		                        
                        	
		                        
		                        
		                        
		                        
                        		
                        	
		                        
		                        
		                        
		                        
                        		
                        		
                        		
                        			
                        			
		                       		
		                       		
		                       		
		                       		
		                        		
			                            	임금이 말을 하고 스스로 옳다고 여기면 경대부卿大夫가 감히 그 잘못을 바로잡지 못하고, 경대부卿大夫가 말을 하고 또한 스스로 옳다고 여기면 사서인士庶人이 감히 그 잘못을 바로잡지 못합니다.
			                             
									
                        			
                        			
                        		
	                     		
			                       	
			                       	
	                     		
		                        
                        	
		                        
		                        
		                        
		                        
                        		
                        	
		                        
		                        
		                        
		                        
                        		
                        		
                        		
                        			
                        			
		                       		
		                       		
		                       		
		                       		
		                        		
			                            	임금과 신하가 이미 스스로 현명하다고 하면 아랫사람들이 같은 소리로 현명하다고 하니, 현명하다고 하면 윗사람의 뜻에 순종하여 복福이 있고, 바로잡으려고 하면 거역하여 화禍가 있습니다.
			                             
									
                        			
                        			
                        		
	                     		
			                       	
			                       	
	                     		
		                        
                        	
		                        
		                        
		                        
		                        
                        		
                        	
		                        
		                        
		                        
		                        
                        		
                        		
                        		
                        			
                        			
		                       		
		                       		
		                       		
		                       		
		                        		
			                            	이와 같다면 선善이 어디로부터 생겨나겠습니까?
			                             
									
                        			
                        			
                        		
	                     		
			                       	
			                       	
	                     		
		                        
                        	
		                        
		                        
		                        
		                        
                        		
                        	
		                        
		                        
		                        
		                        
                        		
                        		
                        		
                        			
                        			
		                       		
		                       		
		                       		
		                       		
		                        		
			                            	’라고 하였으니, 또한 임금님의 
군신君臣과 같습니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