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封建也者는 帝王所以順天理承天心公天下之大端大本也요 郡縣也者는 霸世暴主之所以縱人慾悖天道私一身之大孽大賊也라
		                            	 
									
                        			
                        			
                        		
	                     		
			                       	
			                       	
	                     		
	                     		
		                        
                        	
                        	
                        	
                        	
                        		
                        		
                        		
                        			
                        			
		                       		
		                       		
		                       		
		                        
		                        	
		                        		
									
                        			
                        			
                        		
	                     		
			                       	
			                       	
	                     		
	                     		
		                        
                        	
                        	
                        	
                        	
                        		
                        		
                        		
                        			
                        			
		                       		
		                       		
		                       		
		                        
		                        	
		                        		
		                            	 於是
에 有百里七十里五十里不能五十里邦國之制焉
注+記王制 “公侯田方百里, 伯七十里, 子男五十里. 不能五十里者, 不合於天子, 附於諸侯曰附庸.”하며 於是
에 有君朝卿大聘大夫小聘王巡守侯述職之禮樂法度焉
注+公羊傳注 “諸侯卽位, 比年使大夫小聘, 三年使上卿大聘, 四年又使大夫小聘, 五年一朝, 因助祭以述職.” 記王制 “天子五年一巡守.”하며 於是
에 有千雉百雉三之一五之一高城深池焉
注+左傳 “大都不過參國之一, 中五之一, 小九之一.” 註 “方丈曰堵, 三堵曰雉. 一雉, 長三丈高一丈. 天子千雉, 侯‧伯三百雉. 大都三分國城之一, 不過百雉, 中都五分之一, 不過六十雉, 小都九分之一, 不過三十三雉.”하며 於是
에 有井邑丘甸縣都之夫數焉
注+禮地官小司徒 “九夫爲井, 四井爲邑, 四邑爲丘, 四丘爲甸, 四甸爲縣, 四縣爲都, 以任地事而令貢賦, 凡稅斂之事.” 群書考索曰 “周禮所謂夫家之數者, 一夫受田百畝, 家出一夫而巳. 其合居者, 亦惟計其丁壯而用之, 與別居者無異.”하며 於是
에 有十乘百乘千乘萬乘之車數焉
注+禮地官小司徒註 “司馬法曰 ‘畝百爲夫, 夫三爲屋, 屋三爲井, 井十爲通, 通十爲成, 革車一乘. 十成爲終, 革車十乘. 十終爲同, 革車百乘.’” 諸侯大國, 一封三百六十六里, 兵車千乘. 天子畿內方千里, 兵車萬乘.하며 於是
에 有伍兩卒旅師軍之制焉
注+禮地官小司徒 “五人爲伍, 五伍爲兩, 四兩爲卒, 五卒爲旅, 五旅爲師, 五師爲軍. 以起軍旅, 以作田役.”하며 於是
에 有鄕大夫司徒樂正取士之法焉
注+禮 “鄕大夫受敎法于司徒, 退而頒之于其鄕吏. 三年則大比, 考其德行道藝, 而興賢者能者.” 記王制 “命鄕論秀士, 升之司徒曰選士. 司徒論選士之秀者, 升之學曰俊士. 樂正順先王詩書禮樂以造士.”하니라 
									
                        			
                        			
                        		
	                     		
			                       	
			                       	
	                     		
	                     		
		                        
                        	
                        	
                        	
                        	
                        		
                        		
                        		
                        			
                        			
		                       		
		                       		
		                       		
		                        
		                        	
		                        		
		                            	 邦國之制廢而郡縣之制作矣요 郡縣之制作而世襲之制亡矣요 世襲之制亡而數易之弊生矣요 數易之弊生而民無定志矣니라
		                            	 
									
                        			
                        			
                        		
	                     		
			                       	
			                       	
	                     		
	                     		
		                        
                        	
                        	
                        	
                        	
                        		
                        		
                        		
                        			
                        			
		                       		
		                       		
		                       		
		                        
		                        	
		                        		
		                            	 巡守述職之禮廢則上下之情이 不通하야 考文案而不究事實하며 信文案而不信仁賢이라 其弊有不可勝言者矣요
		                            	 
									
                        			
                        			
                        		
	                     		
			                       	
			                       	
	                     		
	                     		
		                        
                        	
                        	
                        	
                        	
                        		
                        		
                        		
                        			
                        			
		                       		
		                       		
		                       		
		                        
		                        	
		                        		
		                            	 城池之制廢而禁禦暴客威服四夷之法이 亡矣요 夫家之法이 廢而民數를 不可詳矣요 民數를 不可詳而車乘을 不可出矣요 車乘을 不可出而軍師不隱於農矣요 軍師不隱於農하야 坐食者衆而公私困窮矣니라
		                            	 
									
                        			
                        			
                        		
	                     		
			                       	
			                       	
	                     		
	                     		
		                        
                        	
                        	
                        	
                        	
                        		
                        		
                        		
                        			
                        			
		                       		
		                       		
		                       		
		                        
		                        	
		                        		
		                            	 世儒不知王政之本하야 反以亡秦爲可法이라하고 所謂明君良臣者도 亦未免以天下自私하야 無意於裁成輔相하야 使萬物各得其所하니 所以歷千五百餘歲로대 未有能復之者也니라
		                            	 
									
                        			
                        			
                        		
	                     		
			                       	
			                       	
	                     		
	                     		
		                        
                        	
                        	
                        	
                        	
                        		
                        		
                        		
                        			
                        			
		                       		
		                       		
		                       		
		                        
		                        	
		                        		
		                            	 聖人制四海之命하사 法天而不私하며 盡制而不曲防하야 分天下之地以爲萬國하야 而擧英才共焉하시니
		                            	 
									
                        			
                        			
                        		
	                     		
			                       	
			                       	
	                     		
	                     		
		                        
                        	
                        	
                        	
                        	
                        		
                        		
                        		
                        			
                        			
		                       		
		                       		
		                       		
		                        
		                        	
		                        		
		                            	 非後世擅天下者以大制小하며 以彊制弱之謀也라 誠盡制而已矣니라
		                            	 
									
                        			
                        			
                        		
	                     		
			                       	
			                       	
	                     		
	                     		
		                        
                        	
                        	
                        	
                        	
                        		
                        		
                        		
                        			
                        			
		                       		
		                       		
		                       		
		                        
		                        	
		                        		
		                            	 是以로 虞夏商周傳於長久를 皆千餘載하니 論興廢則均有焉이로대 語絶滅則至暴秦郡縣天下然後極也니라
		                            	 
									
                        			
                        			
                        		
	                     		
			                       	
			                       	
	                     		
	                     		
		                        
                        	
                        	
                        	
                        	
                        		
                        		
                        		
                        			
                        			
		                       		
		                       		
		                       		
		                        
		                        	
		                        		
		                            	 自秦滅先王之制로 海內蕩然하야 無有根本之固하니 有今世王天下而繼世無置錐之地者하며 有今年貴爲天子而明年欲爲匹夫不可得者하니
		                            	 
									
                        			
                        			
                        		
	                     		
			                       	
			                       	
	                     		
	                     		
		                        
                        	
                        	
                        	
                        	
                        		
                        		
                        		
                        			
                        			
		                       		
		                       		
		                       		
		                        
		                        	
		                        		
									
                        			
                        			
                        		
	                     		
			                       	
			                       	
	                     		
	                     		
		                        
                        	
                        	
                        	
                        	
                        		
                        		
                        		
                        			
                        			
		                       		
		                       		
		                       		
		                        
		                        	
		                        		
		                            	 物有其根則常而靜하고 安而久니 常靜安久則理得其終하며 物遂其性하나니
		                            	 
									
                        			
                        			
                        		
	                     		
			                       	
			                       	
	                     		
	                     		
		                        
                        	
                        	
                        	
                        	
                        		
                        		
                        		
                        			
                        			
		                       		
		                       		
		                       		
		                        
		                        	
		                        		
									
                        			
                        			
                        		
	                     		
			                       	
			                       	
	                     		
	                     		
		                        
                        	
                        	
                        	
                        	
                        		
                        		
                        		
                        			
                        			
		                       		
		                       		
		                       		
		                        
		                        	
		                        		
									
                        			
                        			
                        		
	                     		
			                       	
			                       	
	                     		
	                     		
		                        
                        	
                        	
                        	
                        	
                        		
                        		
                        		
                        			
                        			
		                       		
		                       		
		                       		
		                        
		                        	
		                        		
		                            	 理之易治하고 亂之難亡하며 扶之易興하고 亡之難滅하나니
		                            	 
									
                        			
                        			
                        		
	                     		
			                       	
			                       	
	                     		
	                     		
		                        
                        	
                        	
                        	
                        	
                        		
                        		
                        		
                        			
                        			
		                       		
		                       		
		                       		
		                        
		                        	
		                        		
									
                        			
                        			
                        		
	                     		
			                       	
			                       	
	                     		
	                     		
		                        
                        	
                        	
                        	
                        	
                        		
                        		
                        		
                        			
                        			
		                       		
		                       		
		                       		
		                       			
		                        			
		                        				
		                        				 
		                        			
		                       			
		                       			
		                       			
		                       				目
		                       		
		                       		
		                        		
			                            	[目] 
제齊나라 왕이 장차 
진秦나라로 조회하러 들어가려고 하였는데, 
옹문雍門 사마司馬가 왕에게 나아가 아뢰기를
注+옹雍(가려 막다)은 어용於用의 절切이다. 옹문雍門은 제齊나라 성문城門이다. 사마司馬는 군사軍事를 주관한다. 사마문司馬門은 궁궐 담장 안의 위병衛兵이 있는 곳이니, 궁궐의 사면에 모두 사마司馬가 있다. “왕을 세우는 것은 사직을 위해서입니까?”
注+위爲(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아래도 같다. 하니, 왕이 “사직을 위해서이다.”라고 답하였다.
 
									
                        			
                        			
                        		
	                     		
			                       	
			                       	
	                     		
		                        
                        	
		                        
		                        
		                        
		                        
                        		
                        	
		                        
		                        
		                        
		                        
                        		
                        		
                        		
                        			
                        			
		                       		
		                       		
		                       		
		                       		
		                        		
			                            	 사마가 아뢰기를 “사직을 위해서 왕을 세웠는데, 왕께서는 어찌 사직을 버리고 진秦나라로 들어가십니까?” 하니, 왕이 이에 돌아왔다.
			                             
									
                        			
                        			
                        		
	                     		
			                       	
			                       	
	                     		
		                        
                        	
		                        
		                        
		                        
		                        
                        		
                        	
		                        
		                        
		                        
		                        
                        		
                        		
                        		
                        			
                        			
		                       		
		                       		
		                       		
		                       		
		                        		
			                            	즉묵대부卽墨大夫가 그 소식을 듣고 왕을 만나 아뢰기를 “제齊나라는 영토가 사방 수천 리이고 군사가 수백만입니다.
			                             
									
                        			
                        			
                        		
	                     		
			                       	
			                       	
	                     		
		                        
                        	
		                        
		                        
		                        
		                        
                        		
                        	
		                        
		                        
		                        
		                        
                        		
                        		
                        		
                        			
                        			
		                       		
		                       		
		                       		
		                       		
		                        		
			                            	 지금 
삼진三晉의 
대부大夫로서 
진秦나라를 마땅하게 여기지 않아 
아阿와 
견鄄 사이에 와서 있는 자가 백여 명이니, 왕께서 그들을 거두어 보살피고 그들에게 수만의 군사를 주어 그들로 하여금 
삼진三晉의 옛 땅을 수복하게 하신다면 바로 
임진관臨晉關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注+삼진三晉의 병사를 수합하여 하동河東으로부터 진秦나라를 공격하면 임진관臨晉關으로 들어간다. 《사기정의史記正義》에 “임진관臨晉關은 바로 포진관蒲津關이다.”라고 하였는데, 풍익馮翊 임진현臨晉縣에 있으며, 이로 인해 명칭을 삼았다. 
									
                        			
                        			
                        		
	                     		
			                       	
			                       	
	                     		
		                        
                        	
		                        
		                        
		                        
		                        
                        		
                        	
		                        
		                        
		                        
		                        
                        		
                        		
                        		
                        			
                        			
		                       		
		                       		
		                       		
		                       		
		                        		
			                            	언영鄢郢의 
대부大夫로서 
진秦나라의 신하가 되고 싶지 않아 
남성南城의 아래에 와서 있는 자가 백여 명이니,
注+. 왕께서 그들을 거두어 보살피고 그들에게 수만의 군사를 주어 그들로 하여금 
초楚나라의 옛 땅을 수복하게 하신다면 바로 
무관武關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注+초楚나라가 진秦나라를 공격할 때에 남양南陽으로부터 무관武關으로 들어간다. 
			                             
									
                        			
                        			
                        		
	                     		
			                       	
			                       	
	                     		
		                        
                        	
		                        
		                        
		                        
		                        
                        		
                        	
		                        
		                        
		                        
		                        
                        		
                        		
                        		
                        			
                        			
		                       		
		                       		
		                       		
		                       		
		                        		
			                            	이렇게 하면 제齊나라의 위엄을 세울 수 있을 것이고 진秦나라를 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니, 어찌 국가를 보전할 수 있을 뿐이겠습니까.” 하였는데, 왕이 말을 듣지 않았다.
			                             
									
                        			
                        			
                        		
	                     		
			                       	
			                       	
	                     		
		                        
                        	
		                        
		                        
		                        
		                        
                        		
                        	
		                        
		                        
		                        
		                        
                        		
                        		
                        		
                        			
                        			
		                       		
		                       		
		                       		
		                       			
		                        			
		                        				
		                        				 
		                        			
		                       			
		                       			
		                       			
		                       				目
		                       		
		                       		
		                        		
			                            	[目] 사마온공司馬溫公이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합종과 연횡의 설이 비록 변화가 매우 많았지만, 합종하는 것이 여섯 나라에게 이익이었다.
			                             
									
                        			
                        			
                        		
	                     		
			                       	
			                       	
	                     		
		                        
                        	
		                        
		                        
		                        
		                        
                        		
                        	
		                        
		                        
		                        
		                        
                        		
                        		
                        		
                        			
                        			
		                       		
		                       		
		                       		
		                       		
		                        		
			                            	 만약 여섯 나라가 신의로써 서로 결집하였더라면, 진秦나라가 비록 강포하였지만 어떻게 여섯 나라를 망하게 할 수 있었겠는가.
			                             
									
                        			
                        			
                        		
	                     		
			                       	
			                       	
	                     		
		                        
                        	
		                        
		                        
		                        
		                        
                        		
                        	
		                        
		                        
		                        
		                        
                        		
                        		
                        		
                        			
                        			
		                       		
		                       		
		                       		
		                       		
		                        		
			                            	 대개 
삼진三晉으로 
제齊나라와 
초楚나라를 공격하게 한 것은 자신의 뿌리를 스스로 잘라버리는 짓이었고,
注+저柢는 음이 제帝이니, 또한 뿌리이다.제齊나라와 
초楚나라로 
삼진三晉을 공격하게 한 것은 자신의 울타리를 스스로 철거하는 짓이었다.
注+철撤은 음이 철轍이니, 제거한다는 뜻이다. 
									
                        			
                        			
                        		
	                     		
			                       	
			                       	
	                     		
		                        
                        	
		                        
		                        
		                        
		                        
                        		
                        	
		                        
		                        
		                        
		                        
                        		
                        		
                        		
                        			
                        			
		                       		
		                       		
		                       		
		                       		
		                        		
			                            	어떻게 자신의 울타리를 철거하여 도적에게 아양을 떨면서 ‘도적이 나를 사랑해서 공격하지 않을 거야.’라고 할 수 있단 말인가.
			                             
									
                        			
                        			
                        		
	                     		
			                       	
			                       	
	                     		
		                        
                        	
		                        
		                        
		                        
		                        
                        		
                        	
		                        
		                        
		                        
		                        
                        		
                        		
                        		
                        			
                        			
		                       		
		                       		
		                       		
		                       		
		                        		
									
                        			
                        			
                        		
	                     		
			                       	
			                       	
	                     		
		                        
                        	
		                        
		                        
		                        
		                        
                        		
                        	
		                        
		                        
		                        
		                        	
		                        	
		                        
		                        
                        		
                        		
                        		
                        			
                        			
		                       		
		                       		
		                       		
		                       			
		                        			
		                        				
		                        				 
		                        			
		                       			
		                       			
		                       			
		                       				目
		                       		
		                       		
		                        		
									
                        			
                        			
                        		
	                     		
			                       	
			                       	
	                     		
		                        
                        	
		                        
		                        
		                        
		                        
                        		
                        	
		                        
		                        
		                        
		                        
                        		
                        		
                        		
                        			
                        			
		                       		
		                       		
		                       		
		                       		
		                        		
			                            	“옛 성인은 시세에 맞게 호칭하였으니, 제帝가 황皇보다 못한 것이 아니고 왕王이 제帝보다 못한 것이 아니었다.
			                             
									
                        			
                        			
                        		
	                     		
			                       	
			                       	
	                     		
		                        
                        	
		                        
		                        
		                        
		                        
                        		
                        	
		                        
		                        
		                        
		                        
                        		
                        		
                        		
                        			
                        			
		                       		
		                       		
		                       		
		                       		
		                        		
			                            	 후세에 이러한 뜻을 알지 못하여 마침내 황제皇帝로 자처하고 왕王으로 신하를 봉하였으니, 매우 잘못한 일이다. 
			                             
									
                        			
                        			
                        		
	                     		
			                       	
			                       	
	                     		
		                        
                        	
		                        
		                        
		                        
		                        
                        		
                        	
		                        
		                        
		                        
		                        
                        		
                        		
                        		
                        			
                        			
		                       		
		                       		
		                       		
		                       		
		                        		
			                            	왕王이라는 명칭은 하늘의 뜻을 계승하여 세상을 다스리는 것을 말한다.
			                             
									
                        			
                        			
                        		
	                     		
			                       	
			                       	
	                     		
		                        
                        	
		                        
		                        
		                        
		                        
                        		
                        	
		                        
		                        
		                        
		                        
                        		
                        		
                        		
                        			
                        			
		                       		
		                       		
		                       		
		                       		
		                        		
			                            	 본래 이러한데, 신하로 하여금 왕을 칭하게 할 수 있겠는가. 
			                             
									
                        			
                        			
                        		
	                     		
			                       	
			                       	
	                     		
		                        
                        	
		                        
		                        
		                        
		                        
                        		
                        	
		                        
		                        
		                        
		                        
                        		
                        		
                        		
                        			
                        			
		                       		
		                       		
		                       		
		                       		
		                        		
			                            	공자孔子께서 《춘추春秋》를 지으시며 주周나라를 높여 호칭을 제정하여 왕王을 천天에다 붙여서 〈천왕天王이라〉 쓰셨으니, 그 예법이 성대한 것이었다.
			                             
									
                        			
                        			
                        		
	                     		
			                       	
			                       	
	                     		
		                        
                        	
		                        
		                        
		                        
		                        
                        		
                        	
		                        
		                        
		                        
		                        
                        		
                        		
                        		
                        			
                        			
		                       		
		                       		
		                       		
		                       		
		                        		
			                            	 천하를 소유한 자가 이것으로 법을 삼아 작위를 나눔에 공公으로부터 〈후侯‧백伯‧자子‧남男으로〉 내려가게 하면 명칭이 바르고 말이 이치에 맞게 되어 백세 이후에 성인을 기다리더라도 의혹하지 않을 것이다.”
			                             
									
                        			
                        			
                        		
	                     		
			                       	
			                       	
	                     		
		                        
                        	
		                        
		                        
		                        
		                        
                        		
                        	
		                        
		                        
		                        
		                        	
		                        	
		                        
		                        
                        		
                        		
                        		
                        			
                        			
		                       		
		                       		
		                       		
		                       			
		                        			
		                        				
		                        				 
		                        			
		                       			
		                       			
		                       			
		                       				目
		                       		
		                       		
		                        		
			                            	[目] 승상 
왕관王綰 등이 아뢰기를 “
연燕나라, 
제齊나라, 
형荊나라(
초楚나라)는 거리가 머니, 아들들을 왕으로 세워 진무하소서.”
注+관綰은 오판烏板의 절切이다. 관綰은 성이 왕王이다. 전塡(진정하다)은 진鎭과 통용하여 쓰인다. 하니, 시황이 이 일을 논의에 부쳤다.
 
									
                        			
                        			
                        		
	                     		
			                       	
			                       	
	                     		
		                        
                        	
		                        
		                        
		                        
		                        
                        		
                        	
		                        
		                        
		                        
		                        
                        		
                        		
                        		
                        			
                        			
		                       		
		                       		
		                       		
		                       		
		                        		
			                            	정위廷尉 이사李斯가 아뢰기를
注+정위廷尉는 관직명이다. 옥사獄事를 다스릴 때에 반드시 조정에 물어 여러 사람들과 함께 다스린다. 군사軍事와 옥사獄事는 제도를 함께하므로 정위廷尉라 부른다. 일설에 “정廷은 공평하다는 뜻이니, 옥사를 다스림에 공평함을 귀하게 여기므로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라고 한다. 사斯는 이사李斯이다. “
주周나라가 봉한 
자제子弟와 
동성同姓들이 매우 많았으나, 후대의 친속이 소원해져서 서로 원수처럼 공격하였는데, 천자가 막을 수 없었습니다.
 
			                             
									
                        			
                        			
                        		
	                     		
			                       	
			                       	
	                     		
		                        
                        	
		                        
		                        
		                        
		                        
                        		
                        	
		                        
		                        
		                        
		                        
                        		
                        		
                        		
                        			
                        			
		                       		
		                       		
		                       		
		                       		
		                        		
			                            	 지금 사해 안이 폐하의 신령스러움에 힘입어 통일되어 모두 군현郡縣이 되었습니다.
			                             
									
                        			
                        			
                        		
	                     		
			                       	
			                       	
	                     		
		                        
                        	
		                        
		                        
		                        
		                        
                        		
                        	
		                        
		                        
		                        
		                        
                        		
                        		
                        		
                        			
                        			
		                       		
		                       		
		                       		
		                       		
		                        		
			                            	 아들과 공신에게 공가公家의 부세賦稅로 후하게 상을 하사하시면 매우 풍족해지고 제어하기 쉬울 것이며, 천하 사람들이 다른 마음을 품지 않게 되면, 이것이 편안할 수 있는 방책입니다.
			                             
									
                        			
                        			
                        		
	                     		
			                       	
			                       	
	                     		
		                        
                        	
		                        
		                        
		                        
		                        
                        		
                        	
		                        
		                        
		                        
		                        
                        		
                        		
                        		
                        			
                        			
		                       		
		                       		
		                       		
		                       		
		                        		
									
                        			
                        			
                        		
	                     		
			                       	
			                       	
	                     		
		                        
                        	
		                        
		                        
		                        
		                        
                        		
                        	
		                        
		                        
		                        
		                        
                        		
                        		
                        		
                        			
                        			
		                       		
		                       		
		                       		
		                       		
		                        		
			                            	시황始皇이 말하기를 “천하가 함께 전쟁이 끊이지 않는 고통을 겪었던 것은 후왕侯王이 있었기 때문이다.
			                             
									
                        			
                        			
                        		
	                     		
			                       	
			                       	
	                     		
		                        
                        	
		                        
		                        
		                        
		                        
                        		
                        	
		                        
		                        
		                        
		                        
                        		
                        		
                        		
                        			
                        			
		                       		
		                       		
		                       		
		                       		
		                        		
			                            	 종묘의 보우에 힘입어 천하가 처음 평정되었는데, 다시 제후의 나라를 세우면 이것은 전란을 야기하는 것이니, 편안히 쉬기를 바라는 것이 어찌 어렵지 않겠느냐. 
			                             
									
                        			
                        			
                        		
	                     		
			                       	
			                       	
	                     		
		                        
                        	
		                        
		                        
		                        
		                        
                        		
                        	
		                        
		                        
		                        
		                        
                        		
                        		
                        		
                        			
                        			
		                       		
		                       		
		                       		
		                       		
		                        		
			                            	정위廷尉의 의론이 옳다.”
注+수樹는 세운다는 뜻이다. 하고는
 
			                             
									
                        			
                        			
                        		
	                     		
			                       	
			                       	
	                     		
		                        
                        	
		                        
		                        
		                        
		                        
                        		
                        	
		                        
		                        
		                        
		                        
                        		
                        		
                        		
                        			
                        			
		                       		
		                       		
		                       		
		                       		
		                        		
			                            	 천하를 나누어 36개 
군郡으로 만들고 
군郡마다 
수守, 
위尉, 
감監을 두었고,
注+삼천군, 하동군, 남양군, 남군, 구강군, 장군, 회계군, 영천군, 탕군, 사수군, 설군, 동군, 낭야군, 제군,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 대군, 거록군, 한단군, 상당군, 태원군, 운중군, 구원군, 안문군, 상군, 농서군, 북지군, 한중군, 파군, 촉군, 검중군, 장사군이니 모두 35개 군이고, 와 더불어 36개 군郡이다. 수守, 위尉, 감監은 모두 관직명이다. 군수郡守는 해당 군을 다스리는 일을 맡는다. 군위郡尉는 군수를 도와 무관武官과 병사兵士를 담당하는 일을 맡는다. 감어사監御史는 군을 감시하는 일을 맡는다. 위감尉監의 감監(관직명)은 거성去聲이고, 감군監郡의 감監(감시하다)은 평성平聲이다. 
									
                        			
                        			
                        		
	                     		
			                       	
			                       	
	                     		
		                        
                        	
		                        
		                        
		                        
		                        
                        		
                        	
		                        
		                        
		                        
		                        
                        		
                        		
                        		
                        			
                        			
		                       		
		                       		
		                       		
		                       		
		                        		
			                            	 천하의 병기를 거두어 녹여 종과 종을 매다는 틀, 
금인金人을 만들어 궁정 가운데 두었고,
注+거鐻는 음이 거巨이니, 거虡와 통용하여 쓰인다. 종을 거는 것이니, 가로로 된 틀을 순筍이라 하고 세로로 된 틀을 거虡라고 한다. 이해에 거인巨人 12명이 임조臨洮에 나타났는데, 신장이 5장丈이고 발이 6척尺이었으며, 모두 오랑캐의 복장을 입고 있었다. 시황始皇이 길조로 여겨 이에 병기를 녹여 금인金人을 주조하여 그 모양을 본떴다. 각각의 무게가 천 석이고, 앉은 높이가 2장丈이었는데, 옹중翁仲이라고 불렀다. 
									
                        			
                        			
                        		
	                     		
			                       	
			                       	
	                     		
		                        
                        	
		                        
		                        
		                        
		                        
                        		
                        	
		                        
		                        
		                        
		                        
                        		
                        		
                        		
                        			
                        			
		                       		
		                       		
		                       		
		                       		
		                        		
			                            	을 통일하였으며,
注+120근斤이 1석石이고, 10척尺이 1장丈이며, 10촌寸이 1척尺이다. 천하의 호걸 12만 호를 
함양咸陽으로 이주시켰다.
注+호걸豪桀은 세력과 돈이 있고 사나우면서 교활한 사람을 말한다. 
									
                        			
                        			
                        		
	                     		
			                       	
			                       	
	                     		
		                        
                        	
		                        
		                        
		                        
		                        
                        		
                        	
		                        
		                        
		                        
		                        
                        		
                        		
                        		
                        			
                        			
		                       		
		                       		
		                       		
		                       			
		                        			
		                        				
		                        				 
		                        			
		                       			
		                       			
		                       			
		                       				目
		                       		
		                       		
		                        		
			                            	[目] 
호씨胡氏가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注+. 
									
                        			
                        			
                        		
	                     		
			                       	
			                       	
	                     		
		                        
                        	
		                        
		                        
		                        
		                        
                        		
                        	
		                        
		                        
		                        
		                        
                        		
                        		
                        		
                        			
                        			
		                       		
		                       		
		                       		
		                       		
		                        		
			                            	“성인聖人이 천하를 다스림에 만물이 각기 제자리를 찾는 것을 최고의 이상으로 삼는다. 
			                             
									
                        			
                        			
                        		
	                     		
			                       	
			                       	
	                     		
		                        
                        	
		                        
		                        
		                        
		                        
                        		
                        	
		                        
		                        
		                        
		                        
                        		
                        		
                        		
                        			
                        			
		                       		
		                       		
		                       		
		                       		
		                        		
			                            	봉건封建이라는 것은 제왕帝王이 천리天理를 따르고 천심天心을 받들어서 천하를 공평하게 하는 큰 단서요 큰 근본이고, 군현郡縣이라는 것은 세상을 제패한 포악한 군주가 인욕人慾을 부리고 천리天理를 어겨서 일신만을 이롭게 하는 큰 재앙이고 큰 도적이다.
			                             
									
                        			
                        			
                        		
	                     		
			                       	
			                       	
	                     		
		                        
                        	
		                        
		                        
		                        
		                        
                        		
                        	
		                        
		                        
		                        
		                        
                        		
                        		
                        		
                        			
                        			
		                       		
		                       		
		                       		
		                       		
		                        		
			                            	 천하를 나누어 덕德이 있고 공功이 있는 자에게 땅을 주어야지, 감히 천하를 개인의 소유로 만들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100리, 70리, 50리, 50리가 못 되는 
방국邦國의 제도가 있으며,
注+《예기禮記》 〈왕제王制〉에 “공公과 후侯는 녹전祿田이 사방 100리이고, 백伯은 70리이고, 자子와 남男은 50리이다. 50리가 못 되는 자는 천자에 직접 소속되지 않고 제후에 소속되는데, 부용附庸이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임금은 조회하고 
경卿은 
대빙大聘하고 
대부大夫가 
소빙小聘하고 
왕王은 
하고 
제후諸侯는 
하는 예악과 법도가 있으며,
注+《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주注에 “제후가 즉위하여 매년 대부大夫를 천자에게 보내 소빙小聘을 하고, 3년마다 상경上卿을 보내 대빙大聘을 하고, 4년마다 다시 대부大夫를 보내 소빙小聘하고, 5년마다 1번 조회하는데, 제사를 돕는 일을 통해 술직述職한다.”고 하였다. 《예기禮記》 〈왕제王制〉에 “천자는 5년에 한 번 순수巡守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1,000
치雉, 100
치雉, 도성 1/3, 1/5 높이의 높은 성곽과 깊은 해자가 있으며,
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대도大都의 성城은 국도國都의 3분의 1, 중도中都는 국도國都의 5분의 1, 소도小都는 국도國都의 9분의 1을 넘지 못한다.”고 하였고, 그 주에 “사방 1장丈을 도堵라 하고, 3도를 치雉라 하는데, 1치는 길이가 3장이고 높이가 1장이다. 천자의 성은 1,000치이고, 후와 백의 성은 300치이다. 대도大都는 국성國城의 3분의 1이니 100치를 넘을 수 없고, 중도中都는 국성國城의 5분의 1이니 60치를 넘을 수 없고, 소도小都는 9분의 1이니 33치를 넘을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정井, 
읍邑, 
구丘, 
전甸, 
현縣, 
도都의 
부수夫數(세대수)가 있으며,
注+《주례周禮》 〈지관地官 소사도小司徒〉에 “9부夫가 1정井이 되고, 4정이 1읍邑이 되고, 4읍이 1구丘가 되고, 4구가 1전甸이 되고, 4전이 1현縣이 되고, 4현이 1도都가 되는데, 농사를 맡겨 공물과 부역을 내게 하고 모든 세금과 관련된 일을 담당한다.”고 하였다. 에 “《주례周禮》에서 말한 부가夫家의 수라는 것은 1부夫가 100묘畝의 토지를 받으니, 한 집에서 1부夫를 낼 뿐이다. 같이 사는 경우에는 또한 단지 장정壯丁의 수를 계산하여 쓰니, 따로 사는 경우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십승十乘, 
백승百乘, 
천승千乘, 
만승萬乘의 
거수車數가 있으며,
注+《주례周禮》 〈지관地官 소사도小司徒〉의 주에 “《사마법司馬法》에 이르기를 ‘100묘畝가 1부夫가 되고 3부가 1옥屋이 되고, 3옥이 1정井이 되고, 10정이 1통通이 된다. 10통이 1성成이 되는데, 1성에는 혁거革車 1승乘이 난다. 10성이 1종終이 되는데, 혁거 10승이 난다. 10종이 1동同이 되는데, 혁거 100승이 난다.’ 하였다.”고 하였다. 제후로서 큰 나라는 하나의 봉지가 366리이니, 병거 1,000승이 난다. 천자의 기내는 사방 1,000리이니, 병거 10,000승이 난다. 그러므로 
오伍, 
양兩, 
졸卒, 
여旅, 
사師, 
군軍의 제도가 있으며,
注+《주례周禮》 〈지관地官 소사도小司徒〉에 “5인人이 1오伍가 되고, 5오가 1양兩이 되고, 4냥이 1졸卒이 되고, 5졸이 1여旅가 되고, 5려가 1사師가 되고, 5사가 1군軍이 된다. 이들로써 군대를 일으키고, 이들로써 사냥 때에 부역으로 삼는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향대부鄕大夫, 
사도司徒, 
악정樂正이 선비를 취하는 법이 있는 것이다.
注+《주례周禮》 〈지관地官 소사도小司徒〉에 “향대부鄕大夫는 사도司徒에게 교법을 받고 물러나와 그 향리에게 반포한다. 3년이 되면 시험을 시행하여 덕행과 학문을 살펴 어진 자와 재능이 있는 자를 추천한다.”고 하였다. 《예기禮記》 〈왕제王制〉에 “향관鄕官에게 우수한 선비를 논하여 사도司徒에게 올리게 하니 이를 선사選士라고 부른다. 사도는 선사 가운데 우수한 자를 시험하여 국학國學에 올리게 하니 이를 준사俊士라고 부른다. 악정樂正은 선왕의 시詩, 서書, 예禮, 악樂에 따라 선비를 성취시킨다.”고 하였다. 
									
                        			
                        			
                        		
	                     		
			                       	
			                       	
	                     		
		                        
                        	
		                        
		                        
		                        
		                        
                        		
                        	
		                        
		                        
		                        
		                        
                        		
                        		
                        		
                        			
                        			
		                       		
		                       		
		                       		
		                       		
		                        		
			                            	방국邦國의 제도가 폐지되자 군현郡縣의 제도가 만들어졌고, 군현의 제도가 만들어지자 세습世襲의 제도가 없어졌으며, 세습의 제도가 없어지자 수령守令을 자주 바꾸는 폐단이 발생했고, 수령을 자주 바꾸는 폐단이 발생하자 백성들에게 안정된 마음이 없어졌다. 
			                             
									
                        			
                        			
                        		
	                     		
			                       	
			                       	
	                     		
		                        
                        	
		                        
		                        
		                        
		                        
                        		
                        	
		                        
		                        
		                        
		                        
                        		
                        		
                        		
                        			
                        			
		                       		
		                       		
		                       		
		                       		
		                        		
			                            	순수巡守와 술직述職의 예가 없어지니, 윗사람과 아래 사람의 마음이 통하지 않게 되어 문서만 살필 뿐 사실을 구명하지 않게 되었으며, 문서만 믿을 뿐 어진 사람도 신뢰하지 않게 되었으니, 그 폐단을 이루 다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성곽과 해자의 제도가 없어지자 사나운 도적을 막고 사방의 오랑캐를 굴복시킬 방법이 없어졌고, 
부가夫家의 법이 없어지자 백성의 수를 자세히 알 수 없어졌고, 백성의 수를 자세히 알 수 없게 되자 
병거兵車를 낼 수 없게 되었고, 병거를 낼 수 없게 되자 
, 군사가 농사에 숨어 있을 수 없게 되자 일하지 않고 먹는 자가 많아져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곤궁해졌다.
 
									
                        			
                        			
                        		
	                     		
			                       	
			                       	
	                     		
		                        
                        	
		                        
		                        
		                        
		                        
                        		
                        	
		                        
		                        
		                        
		                        
                        		
                        		
                        		
                        			
                        			
		                       		
		                       		
		                       		
		                       		
		                        		
			                            	세상의 선비들은 
왕도정치王道政治의 근본을 몰라서 도리어 망한 
진秦나라를 본받을 만한 것으로 여기고, 이른바 명철한 군주와 어진 신하도 천하를 개인의 소유로 만드는 것을 면치 못하여, 
하여 만물로 하여금 각기 제자리를 찾게 하는 것에는 뜻을 두지 않으니, 1,500여 년 동안에 이것을 회복한 자가 있지 않았다. 
 
									
                        			
                        			
                        		
	                     		
			                       	
			                       	
	                     		
		                        
                        	
		                        
		                        
		                        
		                        
                        		
                        	
		                        
		                        
		                        
		                        
                        		
                        		
                        		
                        			
                        			
		                       		
		                       		
		                       		
		                       		
		                        		
			                            	성인聖人이 사해의 명을 제어하여 하늘을 본받고 사사롭게 하지 못하게 하며, 제도를 다하고 
 천하의 땅을 만 개의 제후국으로 나누어 
영재英才를 등용하여 함께 다스렸다.
 
			                             
									
                        			
                        			
                        		
	                     		
			                       	
			                       	
	                     		
		                        
                        	
		                        
		                        
		                        
		                        
                        		
                        	
		                        
		                        
		                        
		                        
                        		
                        		
                        		
                        			
                        			
		                       		
		                       		
		                       		
		                       		
		                        		
			                            	 이는 후세에 천하를 독점한 자가 큼으로써 작음을 제어하고 강함으로써 약함을 제어하는 계책이 아니라, 진실로 제도를 다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虞나라, 하夏나라, 상商나라, 주周나라가 장구하게 왕위를 전하여 모두 천여 년을 누렸으니, 성쇠盛衰를 논한다면 모두 논할 만한 점이 있으나, 끊어져 없어진 것으로 말한다면 포악한 진秦나라가 천하를 군현郡縣으로 만든 뒤에 극에 달하였던 것이다.
			                             
									
                        			
                        			
                        		
	                     		
			                       	
			                       	
	                     		
		                        
                        	
		                        
		                        
		                        
		                        
                        		
                        	
		                        
		                        
		                        
		                        
                        		
                        		
                        		
                        			
                        			
		                       		
		                       		
		                       		
		                       		
		                        		
			                            	진秦나라가 선왕先王의 제도를 없앤 이후로 사해 안에 근본의 견고함이 깡그리 없어졌으니, 당대에는 천하에서 왕 노릇을 하다가 다음 세대에는 송곳을 꽂을 땅조차 없는 자가 있었으며, 당년에는 천자天子가 되었다가 다음 해에는 필부匹夫가 되고자 해도 될 수 없었던 자가 있었다.
			                             
									
                        			
                        			
                        		
	                     		
			                       	
			                       	
	                     		
		                        
                        	
		                        
		                        
		                        
		                        
                        		
                        	
		                        
		                        
		                        
		                        
                        		
                        		
                        		
                        			
                        			
		                       		
		                       		
		                       		
		                       		
		                        		
			                            	 천자도 오히려 그러한데, 그 아래에 있는 자들은 어떠하겠는가.
			                             
									
                        			
                        			
                        		
	                     		
			                       	
			                       	
	                     		
		                        
                        	
		                        
		                        
		                        
		                        
                        		
                        	
		                        
		                        
		                        
		                        
                        		
                        		
                        		
                        			
                        			
		                       		
		                       		
		                       		
		                       		
		                        		
			                            	 사물은 근본이 있으면 꾸준하고 조용하며 편안하고 오래가니, 꾸준하고 조용하며 편안하고 오래가면 이치는 규명되고 사물은 본성에 순응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하가 분별되고 백성의 마음이 안정되며, 교화가 행해지고 풍속이 아름다워진다.
			                             
									
                        			
                        			
                        		
	                     		
			                       	
			                       	
	                     		
		                        
                        	
		                        
		                        
		                        
		                        
                        		
                        	
		                        
		                        
		                        
		                        
                        		
                        		
                        		
                        			
                        			
		                       		
		                       		
		                       		
		                       		
		                        		
			                            	 다스리면 쉽게 다스려지고 혼란시켜도 망하기 어려우며, 도와주면 쉽게 일어나고 없애려 해도 없애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