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2)

자치통감강목(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辛亥年(B.C. 250)
秦孝文王柱元 楚十三 燕五 魏二十七 趙十六十三 齊十五年이라
冬十月 秦王커늘 子楚立하다
孝文王 卽位三日而薨이어늘 子楚立하야 尊華陽夫人하야 爲華陽太后하고 夏姬 爲夏太后하다
伐齊拔聊城이어늘 齊伐取之하다
燕將 攻齊聊城하야 拔之注+將, 卽亮切. 聊城在濟水之北. 班志 “聊城縣屬東郡.”러니 譖之燕王한대 燕將 保聊城不敢歸어늘
齊田單 攻之하야 歲餘不下러니 魯仲連 乃爲書約之矢하야 以射城中하야 遺燕將曰注+約之矢, 纏束書於矢上. 爲公計者 不歸燕則歸齊
今獨守孤城하야 齊兵 日益하고 而燕救不至하니 將何爲乎
燕將 見書泣三日하야 猶豫不能決하야 遂自殺注+猶, 夷周‧余救二切. 猶, 獸名, 玃屬. 豫, 亦獸名, 象屬. 此二獸, 皆進退多疑. 人多疑惑者似之, 故謂之猶豫. 一云 “猶, 犬子也. 人將犬行, 犬好豫在人前, 待人不得, 又來迎候, 故謂不決曰猶豫.” 玃, 厥縛切.하니 聊城亂이어늘 田單 克之하고
歸言仲連於齊王하야 欲爵之한대
仲連 逃之海上曰 吾與富貴而詘於人으론 寧貧賤而輕世肆志焉注+詘, 與屈同, 勢相傾軋也. 輕世, 眇視天下也. 肆志, 放縱志意也.이라하더라
魏王 問天下之高士於子順한대 子順 曰 世無其人也어니와 抑可以爲次 其魯仲連乎인저


신해년(B.C. 250)
나라 효문왕孝文王 원년, 나라 고열왕考烈王 13년, 나라 왕 5년, 나라 안희왕安釐王 27년, 나라 효성왕孝成王 16년, 나라 환혜왕桓惠王 23년, 나라 왕 15년이다.
[綱] 겨울 10월에 나라 왕이 하자 아들 가 즉위하였다.
[目] 효문왕孝文王이 즉위한 지 3일 만에 하자 아들 가 즉위하여 화양부인華陽夫人을 높여 화양태후華陽太后로 삼고 하희夏姬하태후夏太后로 삼았다.
[綱] 나라가 나라를 정벌하여 요성聊城을 함락시키자 나라가 정벌하여 빼앗았다.
[目] 나라 장수가 나라 요성聊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注+(장수)은 즉량卽亮이다. 요성聊城제수濟水의 북쪽에 있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요성현聊城縣동군東郡에 속한다.”고 하였다. 어떤 자가 나라 왕에게 참소하자 나라 장수가 요성을 지킬 뿐 나라로 감히 돌아가지 못하였다.
나라 전단田單이 요성을 공격하였으나 1년이 넘도록 함락시키지 못하자, 노중련魯仲連이 이에 편지를 써서 화살에 묶어 성 안으로 쏘아 나라 장수에게 보냈는데, 그 편지에 말하기를注+약지시約之矢”는 화살 위에 편지를 묶은 것이다. “그대를 위한 계책은 나라로 돌아가지 않으면 나라로 귀순하는 것이다.
지금 홀로 고립된 성을 지키는데, 나라 군사는 날로 늘어나고 나라의 구원병은 오지 않으니 장차 어떻게 하겠는가?” 하였다.
나라 장수가 편지를 읽고 3일 동안 울면서 머뭇머뭇 결정을 못하다가 마침내 자살하여注+이주夷周여구余救이다. 는 짐승의 이름이니, 원숭이 부류이다. 도 짐승의 이름이니, 코끼리 부류이다. 이 두 짐승은 모두 나아가고 물러날 때에 의심이 많으니, 사람이 의심이 많은 경우에 이와 비슷하므로 이러한 것을 유예猶豫라고 부른다. 일설에, “는 개이다. 사람이 개를 끌고 길을 가면 개는 미리 사람의 앞에 가서 있는 것을 좋아하는데, 사람을 기다리다가 오지 않으면 다시 돌아와서 사람을 맞이한다. 그러므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을 유예猶豫라고 한다.”고 하였다. (원숭이)은 궐박厥縛이다. 요성이 혼란에 빠지자 전단이 공격하여 이겼다.
전단이 돌아와 나라 왕에게 노중련에 대해 아뢰어 작위를 주려고 하였다.
노중련이 바닷가로 달아나 말하기를 “내가 부귀하면서 남에게 굴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빈천하면서 세상을 가벼이 보고 내 뜻대로 하리라.”注+과 같으니, 세력으로 서로 밀쳐내는 것이다. “경세輕世”는 천하를 경시하는 것이다. “사지肆志”는 뜻대로 방종하게 하는 것이다. 하였다.
이 천하의 고상한 선비를 에게 묻자 자순이 대답하기를 “세상에 그러한 사람이 없습니다만, 그 다음이 될 만한 사람이라면 노중련일 것입니다.” 하였다.


역주
역주1 (三)[二] : 저본에는 ‘三’으로 되어 있으나, 전후의 紀年을 참고하여 ‘二’로 바로잡았다.
역주2 魏나라 왕 : 魏 安釐王(안희왕)을 가리킨다.
역주3 子順 : 孔斌의 字이다. 魏나라 사람으로, 孔子의 6세손이다. 공빈에 대해서는 《資治通鑑綱目》 제1권 하 周 赧王 56년조에 보인다.

자치통감강목(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