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9)

자치통감강목(19)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9)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齊和帝寶融中興元年이요 魏景明二年이라
齊南康王 稱相國하여 以蕭頴冑爲左長史하고 蕭衍爲征東將軍하다 蕭衍 發襄陽하고 留弟偉總府州事하고 憺守壘城注+① 憺, 徒敢․徒濫二切. 壘城者, 築壘附近大城, 猶堡寨也.하다
魏彭城王勰 歸第어늘 以咸陽王禧爲太保하고 北海王詳爲大將軍錄尙書事하고 于烈爲領軍하다
魏太尉咸陽王禧 不親政務하고 驕奢貪淫커늘 魏主惡之하니
禧遣奴就領軍于烈하여 求羽林虎賁한대 以無詔拒之러니
復遣謂曰 我 天子叔父 身爲元輔 有所求須 與詔何異리요
厲色曰 烈非不知王之貴也 奈何使私奴索天子羽林 烈頭 可得이나 羽林 不可得이로다
하여 以烈爲恒州刺史하니 遂稱疾不出注+① 臥私第不出也.하다
北海王詳 密以禧過惡白帝하고 且言彭城王勰 大得人情하니 不宜久輔政이라한대
帝然之하여 詔勰以王歸第하고 進位太保注+② 進其位而奪之權.하고 爲大將軍錄尙書事하고 復以于烈爲領軍하여 軍國大事 皆得參焉하다
魏主時年十六이라 不能親决庶務하고 委之左右러니 於是 倖臣茹皓ㆍ趙脩 及外戚高肇等 始用事하여 魏政浸衰러라
脩尤親幸하여 旬月間 累遷至光祿卿하고 每遷官 魏主 親至其宅設宴하고 王公 皆從하다
二月 齊蕭衍 圍郢城하다
齊蕭衍 至竟陵하여 命王茂曹景宗爲前軍하여 至漢口러니 諸將 議併兵圍郢하고 分兵襲西陽武昌한대
曰 漢口 不闊一里하여 箭道交至하고 房僧寄 以重兵固守하여 與郢城爲掎角注+① 箭道交至, 謂船自中流而下, 敵人夾岸射之, 其箭交至也.하니 若悉衆前進하면 僧寄 必絶我軍後이라
不若遣王曹諸軍濟江하여 與荆州軍合以逼郢城하고 吾自圍魯山하여 以通沔漢하여 使鄖城竟陵之粟으로 方舟而下하고 江陵湘中之兵 相繼而至하여 兵多食足하면 何憂兩城之不拔이리오 天下之事 可以卧取之耳注+② 沔, 卽漢也, 一水二名. 鄖, 音云. 杜預曰 江夏雲杜縣東南, 有鄖城. 方, 泭也, 舟, 船也. 詩云就其深矣, 方之舟之. 泭, 音桴. 一說 “方舟者, 倂兩舟而行.”리라
乃使茂等濟江한대 張沖 遣兵迎戰커늘 茂等擊破之하니 沖嬰城自守하다
景宗 遂據石橋浦한대 連軍相續하여 下至加湖注+③ 加湖, 在江夏灄陽縣界. 湖水自北南注江, 去郢城三十里.러라 築漢口城하여 以守魯山하고 楊公則 擧湘州之衆하여 會于夏口하니 蕭穎冑 命荆州諸軍하여 皆受公則節度하고 以劉坦行湘州事하다
先嘗在湘州 多舊恩하여 迎者屬路注+④ 按劉坦傳, 先嘗在湘州, 蓋客遊也.러라
下車하여 選吏詣十郡하여 發民運租米三十餘萬斛하여 以助荆雍之軍하니 由是資糧不乏注+⑤ 湘州, 領長沙․桂陽․零陵․衡陽․營陽․湘東․邵陵․始興․臨賀․始安十郡.이러라
三月 張沖病卒커늘 將軍薛元嗣 與沖子孜内史程茂等으로 共守郢城하다
齊南康王寶融 即位於江陵하여 改元하고 以蕭穎冑爲尙書令荆州刺史하고 蕭衍爲左僕射征東大將軍都督征討諸軍하여 假黄鉞하고 夏侯詳爲中領軍하고 封庶人寶卷하여 爲涪陵王하니
寶卷 以陳伯之爲江州刺史하여 西擊荆雍하다
四月 蕭衍 出沔하여 命王茂等하여 逼郢城하니 薛元嗣 不敢出이러라 諸將 欲攻之어늘 衍不許注+① 衍欲持久, 以全力弊郢․魯二城.하다
夏五月 魏咸陽王禧 謀反이라가 伏誅하다
魏主 旣親政事 嬖倖 擅權커늘 禧意不自安하여 與妃兄李伯尙氐王楊集始等謀反이러니
魏主出獵北邙이어늘 禧欲發兵이라가 衆情不壹하여 至晡遂散하다
集始 旣出 即馳至北邙告之하니 魏主 倉猝不知所爲어늘 左中郎將于忠 曰 臣父留守하니 必無所慮니이다
魏主 遣忠馳觀之하니 于烈 已分兵嚴備하고 使忠還奏曰 此屬猖狂이나 不足爲慮 願陛下淸蹕徐還하사 以安物望하소서하다 魏主 遂還注+① 天子, 出則稱警, 示戒肅也. 入則言蹕, 所以止行人淸道也.하다
遣直閤叔孫侯하여 収禧하여 賜死於第하고 以其家財 分賜高肇趙脩之家及中外百官하다
魏主 以禧無故而反이라 由是 益疎忌宗室하다
巴西太守魯休烈 巴東太守蕭惠訓 不從蕭穎冑之命하고 惠訓 遣子璝하여 將兵擊穎冑하니 穎冑遣劉孝慶하여 屯峽口拒之注+① 此西陵峽口也, 在宜都夷陵界.하다
齊涪陵王寶卷 遣軍主吳子陽陳虎牙等하여 救郢州屯巴口注+① 虎牙, 伯之之子也, 水經注 “巴水出廬江雩婁縣之下靈山, 亦曰巴山, 南流注于江, 謂之巴口.”하다
六月 西臺 遣席闡文하여 勞蕭衍軍하고 齎蕭穎冑等議하여 謂衍曰 今頓兵兩岸하고 不併軍圍郢하여 定西陽武昌하여 取江州하니 此機已失이라 莫若請救於魏注+② 江陵在西, 故曰西臺.이로다
衍曰 漢口 路通荆雍하고 控引秦梁하여 糧運資儲 仰此氣息이니 所以兵壓漢口하여 連結數州注+③ 泝漢水而上至漢中, 秦․梁二州刺史所治也, 故可以控引.
今若併軍圍郢하고 又分兵前進하면 魯山 必阻沔路하여 搤吾咽喉리니 糧運不通하면 自然離散이어늘 何以持久리오
鄧元起 欲以三千兵往取尋陽하니 彼若知機 一説士足矣注+④ 說, 音稅. 脫距王師하면 固非三千兵所能下也 進退無據 未見其可注+⑤ 脫, 或也. 脫者, 未可必之辭. 距, 通作拒, 抵也.케라
西陽武昌 取之即得이나 然旣得之後 即應鎭守인댄 不減萬人이요 糧儲稱是로되 卒無所出注+⑥ 稱, 尺證切. 卒, 讀曰猝.이라
脫東軍有上者하여 以萬人攻一城하면 兩城 勢不得相救
若我分軍應援하면 則首尾俱弱이요 如其不遣이면 孤城必陷이리니 一城旣沒하면 相次土崩하여 大事去矣
若郢州旣拔하여 席卷沿流하면 西陽武昌 自然風靡 丈夫擧事 欲淸天步注+⑦ 天步, 天路也, 詩曰 “天步艱難.” 擁數州之兵하여 以誅群小 懸河注火 奚有不滅이리오
豈容北面請救戎狄하여 以示弱於天下리오
卿爲我輩白鎭軍하여 前途攻取 但以見付하고 但借鎭軍靖鎭之耳注+⑧ 穎冑, 時爲西臺尙書令, 蓋加號鎭軍將軍.
子陽等 進軍加湖하여 去郢三十里하여 築壘自固하다 房僧寄 病卒커늘 衆推軍主孫樂祖하여 代守魯山하다
齊涪陵王寶卷 作芳樂苑하여 山石皆塗以五采하고 望民家有好樹美竹이어든 則毁墻撤屋而徙之注+① 句.하고
於苑中立市하여 使宮人宦者 共爲裨販注+② 裨, 益也. 買賤賣貴, 以自裨益, 故曰裨販.하다 以潘貴妃爲市令하고 自爲錄事하여 小有得失이어든 妃則與杖注+③ 本紀, 小字上有帝字. 與杖, 使笞也.하다
又好巫覡이러니 左右詐云 見先帝러니 大嗔하여 不許數出이라하니 寶卷 大怒하여 拔刀尋之하고 旣不見 乃縛菰爲高宗形하여 北向斬之하고 懸首苑門注+④ 菰, 音孤, 雕胡也, 一名蔣. 江南人呼爲茭草.하다
雍州刺史張欣泰 與弟欣時密謀하여 結胡松及王靈秀鴻選等하여 誅諸姦倖하고 廢寶卷注+⑤ 鴻, 姓也.이러니
寶卷 遣中書舍人馮元嗣하여 救郢할새 茹法珍梅蟲兒李居士楊明泰 送之於中興堂注+⑥ 宋孝武帝卽位於新亭, 改新亭曰中興堂.이어늘 欣泰等 使人於坐 殺元嗣明泰하고 傷蟲兒注+⑦ 句.하니 居士法珍等 散走하다
靈秀 詣石頭하여 迎建康王寶寅하여 向臺城할새 百姓數千人 皆空手隨之注+⑧ 建康王, 當作建安王.로라
欣泰 聞事作하고 馳入宮注+⑨ 通鑑, 此下云 “冀法珍等在外, 東昏盡以城中處分見委, 表裏相應.”하니 法珍得返하여 閉門上仗하니 鴻選 亦不敢發注+⑩ 上, 時掌切. 通鑑 “閉門上仗, 不配欣泰兵, 鴻選在殿內, 亦不敢發.”이라
寶寅 至杜姥宅할새 日已暝 人皆潰去하고 寶寅 亦逃라가 三日乃出하니 寶卷 復其爵位하고 欣泰與胡松 皆被誅
齊蕭衍 克加湖하니 魯山郢城하다
齊蕭衍 使王茂曹仲宗等으로 乘水漲하여 襲加湖하니 加湖潰 於是 郢魯二城 相視奪氣
魯山乏糧하여 將奔夏口어늘 蕭衍 斷其走路하니 孫樂祖 以城降하고 程茂薛元嗣 亦以郢城降하다
郢城之初圍也 士民男女近十萬口러니 閉門二百餘日하여 疾疫流腫하여 死者什七八注+① 流腫, 言毒氣流注而浮腫也.이라
茂元嗣議降하여 使張孜爲書與衍한대 張沖故吏房長瑜曰 前使君 忠貫昊天하니 郎君 但當坐守畫一하여 以荷析薪注+② 前使君, 謂沖也. 畫一, 用漢書語. 蕭何爲法, 講若畫一, 曹參代之, 守而勿失, 此取守而勿失之義. 左傳 “其父析薪, 其子弗克負荷.” 長瑜意, 謂張孜當守其父成業, 以荷所析之也.이요 若天運不與 當幅巾待命하여 下從使君注+③ 下從, 謂死也.이라
今從諸人之計하면 非惟郢州士女 失高山之望이라 亦恐彼所不取也라호되 孜不能用注+④ 詩曰 “高山仰止.” 注云 “有高德, 則慕而仰之.” 彼, 謂蕭衍.이러라
蕭衍 以韋叡 行郢府事하여 收瘞死者하고 而撫其生者하니 郢人遂安하다 諸將 欲頓軍夏口어늘 以爲宜乘勝直指建康이라하고 張弘策庾域 亦以爲然하니
命衆軍即日上道하여 緣江至建康할새 凡磯浦村落 軍行宿次 立頓處所 弘策 逆爲圖畫하여 如在目中이러라
魏揚州刺史安國侯王肅注+① 安國縣, 漢屬中山國, 晉․魏屬搏陵郡.하다
以父死非命이라하여 四年不除喪이어늘 高祖曰 三年之喪 賢者不敢過라하고 命肅以祥禫之禮除喪이나 然肅 猶素服不聽樂終身이러니
至是하여 卒於壽陽하니 諡曰宣簡이라하다
齊殺其寧朔將軍崔偃하다
崔慧景之死也 其少子偃 逃潜得免이러니 及西臺建하여 以偃爲寧朔將軍하니
上書曰 臣 惟高宗之孝子忠臣이요 而昏主之賊臣亂子者 江夏王與陛下 先臣與鎭軍是也注+① 先臣, 謂其父慧景. 鎭軍, 指蕭穎冑. 雖成敗異術이나 而所由同方이니이다
陛下初登至尊하여 與天合符할새 天下纎芥之屈 尙望陛下申之어든 況先帝之子 陛下之兄이며 所行之道 即陛下所由哉잇가
此尙弗恤이면 其餘何冀리잇가 豈可幸小民之無識而罔之注+② 以非道欺人謂之罔.리오
若使曉然知其情節하여 相帥而逃하면 陛下將何以應之哉잇가 事寢不報하다
偃又上疏曰 近冒陳江夏之寃 非敢以父子之親으로 而傷至公之義 誠不曉聖朝所以然之意니이다
若以狂主雖狂이나 而實是天子 江夏雖賢이나 而實是人臣이니
先臣 奉臣逆君 爲不可라하면 未審今之嚴兵勁卒 方指象魏者 其故何哉
臣謹按鎭軍將軍臣穎冑 中領軍臣詳 皆社稷之臣也 同知先臣 股肱江夏하고 匡濟王室이라가 天命未遂하여 主亡與亡이나 而不爲陛下瞥然一言注+③ 爲, 去聲. 瞥, 普滅切. 瞥然, 暫見也.이니이다
知而不言 不忠이요 不知而不言 不智 臣言畢矣 乞就湯鑊이니이다
然先臣之忠 有識所知 南董之筆 千載可期 亦何待陛下屈申하여 而爲褒貶이리잇가 顧小臣惓惓之愚 爲陛下計耳注+④ 南․董, 謂齊南史․晉董狐也. 崔杼弒齊莊公, 太史書曰 “崔杼弒其君.” 崔子殺之. 其弟嗣書, 而死者二人, 其弟又書, 乃舍之. 南史氏聞太史盡死, 執簡以往, 聞旣書矣, 乃還. 晉趙盾弟穿弒靈公, 董狐以盾不討賊, 書曰 “趙盾弒其君.” 以示於朝. 孔子曰 “董狐古之良史也, 書法不隱.”니이다
齊主優詔報之러니 尋収下獄殺之하다
八月 齊蕭衍 克尋陽하다
齊涪陵王寶巻 遣陳伯之하여 鎭江州하여 以爲吳子陽等聲援이러니
子陽等 旣敗 蕭衍 曰 用兵 未必須實力이며 所聽 威聲耳 今陳虎牙 狼狽犇歸하니 尋陽人情理當恟懼 可傳檄而定也라하고
乃命搜囚俘하여 得伯之幢主蘇隆之하여 厚加賜與하고 使説伯之호되하면 即用爲江州注+리라하니
隆之 返命호되 雖許歸附 而云大軍 未須遽下라하니
曰 伯之意 首鼠 及其猶豫하여 急往逼之하면 勢不得不降이라하고 乃引兵下至尋陽하니 伯之束甲請罪하다
巴東之亂 司馬席恭祖 不從見殺注+② 席恭祖, 上二十八卷齊永明八年作席恭穆.이러니 至是하여 其子謙 爲新蔡太守하여 從伯之鎭尋陽이라가
聞衍東下하고 曰 我家世忠貞하니 有隕不二라한대 伯之殺之注+③ 蕭子顯齊志 “江州有南新蔡郡, 豫州有北新蔡郡.”하다
以伯之 爲江州刺史하고 虎牙 爲徐州刺史하다
齊巴東西軍 至上明하다
齊魯休烈蕭璝 破峽口하고 進至上明하니 江陵大震注+① 上明, 縣名.이러라 蕭穎冑하여 馳告蕭衍하여 令遣楊公則하여 還援根本한대
曰 公則 泝流上江하니 何能及事리오 休烈等 烏合之衆이라 尋自退散하니 政須少時持重耳
良須兵力인댄 兩弟在雍하니 指遣往徴하면 不爲難至注+② 良, 信也. 兩弟在雍, 謂偉總雍州事, 憺守壘城也. 指, 謂上指. 徵, 徵兵也.라하니 頴冑 乃遣蔡道恭하여 拒璝하다
九月 齊蕭衍 引兵東下하다
齊主寶融 詔蕭衍하되 若定京邑하면 得以便宜從事하라하다
留鄭紹叔하여 守尋陽하고 引兵東下할새 謂曰 卿 吾之蕭何寇恂也注+① 漢高祖委蕭何以關中, 光武任寇恂以河內, 使給餽餉.라하더니 比克建康 紹叔 督江湘糧運하여 未嘗乏絶하다
築洛陽諸坊하다
魏司州牧廣陽王嘉 請築洛陽三百二十五坊 各坊三百步하여 曰 雖有暫勞 姦盜永息이라한대 詔發畿内夫五萬人築之하여 四旬而罷하다
魏立后于氏하다
烈弟勁之女也
冬十月 齊蕭衍圍建康하다
旣克江郢 涪陵王寶巻 遊騁如故러니 聞至近道하고 乃聚兵爲固守之計
遣曹景宗等하여 進頓江寧注+① 沈約曰 “晉武帝太康元年, 分秣陵立臨江縣. 二年, 更名江寧, 其治所蓋臨江濱.”하니 李居士 自新亭選精騎薄之注+② 是年八月, 東昏侯以太子左率李居士摠督西討諸軍事, 屯新亭. 金陵覽古云 “新亭, 去江寧十里.”어늘
景宗 奮擊破之하고 因乘勝而前하니 新亭城主江道林 引兵出戰이라가 被擒하다
至新林하여 遣呂僧珍하여 據白板橋注+③ 據陶弘景書, 板橋, 時屬江寧縣界.러니 李居士 帥銳卒萬人하여 直來薄壘어늘
僧珍 曰 吾衆하여 不可逆戰이니 可勿遙射하고 須至塹裏하여 當併力破之라호라
俄而皆越塹拔柵커늘 僧珍 分人上城하여 矢石俱發하고 自帥馬步三百人하여 出其後하고
城上人 復踰城而下하여 内外奮擊하니 居士敗走러라
衍諸弟 皆自建康自拔赴軍이러라
十月 寶巻 遣將軍王珍國胡虎牙하여 將精兵十萬하여 陳於朱雀航南注+① 珍國, 廣之之子也.하고 王寶孫 持白虎幡督戰하여 開航背水하여 以絶歸路注+② 寶孫, 宦官.하니 衍軍 小却이러라
王茂 下馬하여 單刀直前하고 其甥韋欣慶 執鐵纒矟以翼之하여 衝擊東軍하여 應時而陷注+③ 鐵纏矟, 以鐵線纏矟把.하니
曹景宗縱兵乗之하고 呂僧珍 縱火焚營하여 將士皆殊死戰하여 鼓譟震天地注+④ 焚營, 通鑑作焚其營.
珍國等 不能抗커늘 寶孫 切罵諸將한대 將軍席豪 發憤하여 突陳而死하니 軍遂大潰
衍軍 長驅至宣陽門하여 諸將 移營稍前하니 寶巻將軍徐元瑜 以東府城降하고 李居士 以新亭降이러라
鎭石頭할새 寶巻閉門自守어늘 命諸軍築長圍守之하고 遣弟秀鎭京口하고 恢鎭破墩하고 從弟景鎭廣陵注+⑤ 破墩, 卽破岡. 景本名昺, 李延壽作南史, 避唐廟諱改昺爲景, 通鑑因之.하다
十一月 魏以北海王詳爲司徒하다
欲奪彭城王勰司徒 故譛而黜之하고 又以司空長史于忠 鯁直이라하여 忿之한대
忠曰 人生 自有定分하니 若應死於王手 避亦不免이요 若其不爾 王不能殺이니이다
以討咸陽王禧功으로 封魏郡公하여 遷武衛將軍이러니 因忠表讓하여 勸魏主詔停其封하고 優進太府卿하다
穎冑以蕭璝與蔡道恭으로 相持不決이라하여 憂憤而卒注+① 穎冑以蕭衍東伐, 所向戰克, 而己輔南康居江陵, 近不能制蕭璝, 外無以服姦雄之心, 而內有肘腋之寇, 此其所以憂憤成疾也.커늘 夏侯詳祕之하고 徴兵雍州한대 蕭憺 將兵赴之
璝等 亦聞建康已危하고 衆懼而潰어늘 及魯休烈皆降이라
乃發穎冑喪하고 贈丞相諡獻武하다 於是 衆望 盡歸於衍이라
請與憺共參軍國하니 詔以詳爲僕射荆州刺史하고 憺行府州事하다
魏以任城王澄都督淮南軍事하다
魏鎭南將軍元英 上書曰 蕭寶巻 驕縱日甚하여 虐害無辜하고 其雍州刺史蕭衍 掃土興兵하여 順流東下하니 唯有孤城이요 更無重衛注+① 此謂襄陽空虛也.
乃皇天授我之日이요 曠載一逢之秋 此而不乗이면 將欲何待리오
臣乞躬帥步騎三萬하여 直指沔陰하여 據襄陽之城하고 斷黑水之路하고 長驅南出하여 進拔江陵이면 則三楚可収 岷蜀斷絶注+② 襄陽, 在沔南, 水南爲陰. 水經註 “黑水出南鄭北山, 南流入漢.” 英蓋謂得襄, 則梁州之路斷也. 太史公曰 “楚有三, 俗自淮․․陳․汝南․南郡, 此西楚也. 彭城以東, 東海․吳․廣陵, 此東楚也. 衡山․九江․江南․豫章․長沙, 此南楚也.” 胡三省曰 若取荊․湘, 則岷․蜀趣建康之道, 亦絕矣.이리이다
又命揚徐하여 聲言俱擧하면 建業 窮蹙하여 文軌可齊리니 一爽此期하면 則并吞無日矣리이다호되 不報注+③ 魏揚州治壽陽, 徐州治彭城. 文軌可齊, 謂可混一區宇也, 中庸曰 “今天下車同軌書同文.” 爽, 差也.하다
車騎大將軍源懷 亦言廣陵淮陰 觀望得失하니 宜東西齊擧하여 以成席巻之勢 若使蕭衍克濟하여 上下同心하면 豈惟後圖之難이리오
亦恐揚州危逼이니 何則 壽春之去建康 纔七百里注+④ 魏置揚州於壽春. 彼若内外無虞하고 君臣分定하여 乗舟籍水하여 倐忽而至하면 未易當也니이다
魏主 乃以任城王澄으로 爲都督淮南諸軍事揚州刺史하여 使爲經略이러니 旣而不果하다
賀之子也
注+① 宋文帝元嘉二十五年以豫部蠻民置二十八縣, 赤亭其一也. 水經注 “擧水, 自湖陂城南流逕赤亭下, 謂之赤亭水.” 西陽水蠻, 赤亭, 其一也.하다
魏東豫州刺史田益宗 上表曰 蕭氏君臣 交爭하여 無暇外維州鎭하니 請使兩荆之衆으로 西擬隨雍하고 揚州之卒 頓于建安하고 二豫之軍으로 直據南關하면 不過十旬하여 克之必矣注+① 兩荊, 謂魏置荊州於穰城ㆍ東荊州於沘陽也. 隨ㆍ雍, 謂隨郡ㆍ襄陽也. 二豫, 謂魏置豫州於汝南ㆍ東豫州於新息也. 南關, 謂陰山關라하고
元英 又奏義陽孤絶하고 密邇王土하니 若失此不取하면 恐爲深患이라하니 魏主 從之
益宗 遂侵齊하니 齊建寧太守黄天賜 與戰이라가 敗績注+② 宋有建寧左郡, 孝武大明八年, 省建寧左郡爲建寧縣, 屬西陽郡, 後復爲郡. 隋志 “黃州麻城縣, 舊置建寧郡.”하다
十二月
齊人 弑涪陵王寶巻注+① 壽, 十九.하다 蕭衍 入建康하여 以太后令으로 追廢寶巻하여 爲東昬侯하고 自爲大司馬承制
하다
齊崔慧景之逼建康也 涪陵王寶卷爲鍾山王이러니 及衍至 又尊爲靈帝하여 迎入後堂하여 使巫禱祀하고 悉以軍事委王珍國이러라
城中實甲 猶七萬人이라 寶卷 常於殿中 騎馬出入하고 以金銀爲鎧冑하여 飾以孔翠하고 畫眠夜起 一如平常注+① 孔․翠, 孔雀․翡翠也.이러라
及長圍旣立 屢戰不勝호되 尤惜金錢하여 不肯賞賜하고 雕鏤雜物 倍急於常하니 衆情 怨怠하여 皆思早亡호되 莫敢先發이러라
法珍蟲兒 說寶卷曰 大臣 不留意하여 使圍不解하니 宜悉誅之니이다
珍國 及其副張稷 懼禍하여 謀弑寶卷할새 使後閤舍人錢彊으로 夜開雲龍門注+② 稷, 瓌之弟也. 後閤舍人, 蓋江左所置, 使主殿後閤者也.하고 珍國稷 引兵入殿하니 御刀豐勇之 爲内應注+③ 豊, 姓也.하다
寶卷 方在含德殿하여 作笙歌어늘 兵入斬之하고 召僕射王亮等하여 令百僚署牋하고 以黄油裹寶卷首하여 遣博士范雲等하여 送詣石頭注+④ 亮, 瑩之從弟也. 黃絹施油, 可以禦雨, 謂之黃油. 以黃油裹物, 表可見裏, 蓋欲蕭衍易於審視也.하니
右衛將軍王志 歎曰 冠雖弊 何可加足이리오 取庭中樹葉하여 挼服之하고 僞悶不署名注+⑤ 挼, 奴禾切, 兩手相切摩也.하니 覽牋無志名하고 心嘉之러라
僧虔之子也
與雲有舊 即留參帷幄하고 在朝 以依違取容이러니 至新林 百僚 皆間道送欵호되 獨不遣이러라
城中出者 多被刼剝하니 楊公則 獨帥麾下하여 親衛送之러라
使張弘策으로 先入清宫하여 封府庫圖籍하니 城内珍寶 委積호되 弘策 禁勒部曲하여 秋毫無犯하고 收潘妃及法珍蟲兒咺之等四十一人하여 皆以屬吏하고
以宣德太后令으로 追廢寶卷하여 爲東昏侯하고 以衍爲大司馬錄尚書事하고 依晉武陵王遵承制故事하여 百僚 致敬하고 以王亮爲長史注+① 晉安帝元興三年, 桓玄敗, 逼帝西上, 劉裕稱受密詔, 以武陵王遵承制, 揔百官行事.하다
入屯閱武堂하여 下令大赦하고 凡昏制謬賦淫刑濫役 悉皆除盪注+② 閱武堂, 在建康子城北.하다
潘妃有國色하여 衍欲留之하여 以問領軍王茂한대 茂曰 亡齊者此物이니 留之하면 恐貽外議라커늘 乃并法珍等誅之하고 以宫女二千으로 分賚將士하다
齊蕭衍之東下也 豫州刺史馬仙琕 擁兵不附注+① 琕, 浦眠切.어늘 使其故人姚仲賓説之한대 仙琕 先爲設酒하고 乃斬於軍門以徇하다
圍宮城하니 州郡 皆請降호되 吳興太守袁昻 獨拒境不受命하니 覬之子也注+② 覬, 通鑑作顗.
使江革으로 爲書與昻曰 竭力昏主 未足爲忠이요 家門屠滅 非所謂孝 豈若翻然改圖하여 自招多福이리오
昻復書曰 一餐微施 尙復投隕커든 況食人之祿하여 而頓忘一旦이면 非惟物議不可 亦恐明公鄙之 所以躊躇하여 未遑薦璧注+③ 餐, 水澆飯也. 施, 去聲. 投隕, 言投命隕身也. 薦, 進也, 薦璧, 謂銜璧而降也.이로다
武康令傅暎 謂昻曰注+④ 吳分烏程․餘杭, 立永安縣, 晉武帝太康元年, 更名武康, 屬吳興郡. 太尉 遭元嘉之禍 開闢未有 故殺身以明節注+⑤ 太尉, 謂昻叔祖淑也. 淑死, 見宋文帝元嘉三十年.하고
司徒 當寄託之重하여 理無茍全이라 故不顧夷險하여 以徇名義注+⑥ 司徒, 謂昻叔父粲也. 一說 “司徒, 謂昂父顗也.” 顗死, 見宋明帝泰始二年.
嗣主 昏虐不悛하고 荆雍 協擧하니 天人之意 亦可知矣 願明府深慮하여 無取後悔하라
及建康平 使豫州刺史李元履 巡撫東土하여 勅曰 袁昻 道素之門이요 世有忠節이라
天下須共容之 勿以兵威陵辱注+① 道素, 有道義而潔白也.하라 元履하여 宣衍旨호되 亦不請降하고 開門撤備而已러라
仙琕 聞臺城不守하고 號泣謂將士曰 我受人任寄어든 義不容降이나 君等 皆有父母하니 我爲忠臣하고 君爲孝子 不亦可乎아하고 乃悉遣兵出降이나 餘壯士數十 閉門獨守러니
俄而兵入 仙琕 令士皆持滿하니 兵不敢近이러라
日暮 仙琕 乃投弓曰 諸軍 但來見取하라 我義不降이로다
乃檻送石頭하니 釋之하고 使待袁昻至하여 俱入 曰 令天下 見二義士라하고 皆厚遇之하다
◯ 齊始興内史王僧粲하여 襲湘州 不克하다
僧粲 自稱湘州刺史하고 引兵襲長沙하여 去城百餘里할새 長沙人 皆欲走어늘 行事劉坦 悉聚其舟焚之하고 遣軍拒僧粲이나 數戰不利러라
前鎭軍鍾玄紹 刻日翻城應僧粲이러니 坦聞其謀하고 陽爲不知하여 因理訟至夜하고 而城門遂不閉以疑之하니 玄紹未發하다
明旦어늘 坦問其故하다 坦久留與語하고 密遣親兵하여 収其家書하여 具得本末하고 於坐斬之하고 焚其文書 餘黨無所問하니 州郡 遂安하다
建康平이어늘 楊公則 還州하니 僧粲等散走하다 公則 克己廉愼하고 輕刑薄賦하니 頃之 湘州户口 幾復其舊러라


齊나라 和帝 蕭寶融 中興 원년이고 北魏 世宗 宣武帝 元恪 景明 2년이다.
【綱】 봄 정월에 齊나라 南康王 蕭寶融이 相國을 칭하고 蕭衍이 襄陽에서 출발하였다.
【目】 齊나라 南康王이 相國을 칭하고서 蕭頴冑를 左長史로 삼고, 소연을 征東將軍으로 삼았다. 소연이 襄陽을 출발하고서 아우 蕭偉에게 남아서 府와 州의 사무를 총괄하게 하고, 蕭憺에게 壘城을 지키도록 하였다.注+① 憺은 徒敢과 徒濫 두 개의 切이다. 壘城이란 큰 성 부근에 성채를 축조하는 것이니, 堡寨와 비슷하다.
【綱】 北魏 彭城王 元勰이 〈사임하고〉 집으로 돌아가자 咸陽王 元禧를 太保로 삼고, 北海王 元詳을 大將軍 錄尙書事로 삼고, 于烈을 領軍으로 삼았다.
【目】 北魏 太尉 咸陽王 元禧가 정무를 직접 처리하지 않고 교만하고 사치하고 탐욕하고 음탕하자, 魏主(元恪)가 싫어하였다.
원희가 집안 노복을 보내 領軍 于烈에게 가서 羽林軍과 虎賁軍의 병사를 달라고 하자, 우렬이 詔勅이 없다며 거절하였다.
원희가 다시 사람을 보내 이르기를 “나는 천자의 숙부이고 정승[元輔]의 신분이니 요구하는 것이 있으면 조칙과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라고 하자,
우렬이 정색하며 말하기를 “왕이 귀한 존재임을 내가 모르진 않으나, 어떻게 私奴를 시켜서 천자의 우림군을 요구할 수 있단 말인가. 내 머리는 얻을 수 있어도 우림군은 얻을 수 없다.”라고 하였다.
원희가 노하여 우렬을 恒州刺史로 좌천시키자, 우렬이 병을 핑계로 들며 결국 나가지 않았다.注+① 〈“稱疾不出”은〉 사저에 머물며 나가지 않은 것이다.
北海王 元詳이 몰래 원희의 과오를 황제에게 보고하고, 또 彭城王 元勰이 민심을 크게 얻고 있으므로 輔政하는 자리에 오랫동안 있는 것이 마땅치 않다고 하자,
황제가 이를 받아들여 원협에게 조칙을 내려 王爵을 가진 채 사저에 돌아가게 하고, 원희는 太保로 진급시키고,注+② 〈“進位太保”는〉 작위만 올려주고 권한은 빼앗은 것이다. 원상은 大將軍 錄尙書事로 삼고, 우렬은 다시 領軍으로 삼아 軍國의 주요 업무를 모두 관여하게 하였다.
魏主는 이때 열여섯 살이어서 여러 정무를 직접 결정하지 못하고 좌우 신하들에게 맡겼는데, 이를 틈타 측근인 茹皓와 趙脩, 외척 高肇 등이 권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여 북위의 정사가 점차 쇠락하였다.
조수가 임금에게 더욱 총애를 받아서 한 달 사이에 승진을 거듭해 光祿卿에 이르렀다. 승진이 있을 때마다 魏主가 직접 그의 집에 가서 연회를 베풀었는데 이때에 王과 公이 모두 황제를 따라 참석하였다.
【綱】 2월에 齊나라 蕭衍이 郢城을 포위하였다.
【目】 齊나라 蕭衍이 竟陵에 도착해 王茂와 曹景宗을 前軍으로 삼아 漢口에 도착하였다. 諸將들이 군사를 합쳐서 郢城을 포위하고 병사를 나누어 西陽과 武昌을 습격하는 것을 논의하였는데,
소연이 말하기를 “한구는 水面의 폭이 채 1리도 안 돼서, 화살을 쏘면 가는 배에 이르고 房僧寄가 강한 병력을 거느리고 굳게 지켜서 영성과 掎角之勢를 이루고 있다.注+① “箭道交至”는 배가 강 가운데서 물결을 타고 내려갈 때 적들이 강안의 양쪽에서 화살을 쏴 화살이 빗발치듯 닿는다는 말이다. 만약 모든 군사를 이끌고 전진하게 되면 방승기가 반드시 우리 군의 후미를 끊을 것이다.
따라서 왕무와 조경종에게 江水를 건너 荊州軍과 합쳐 영성을 압박하고, 나는 직접 魯山을 포위해 沔水ㆍ漢水의 운송로를 통하게 하여 鄖城과 竟陵의 곡식을 뱃길로 내려오게 하고 江陵과 湘中의 병사들이 연이어 이르게 해서, 병사가 많고 군량이 충분하게 하는 것만 못하니, 그렇게 하면 두 성을 함락시키지 않은 것을 어찌 걱정할 필요가 있겠는가. 천하의 일을 쉽게 취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注+② 沔水는 곧 漢水로, 하나의 물이 두 개의 이름을 갖고 있는 것이다. 鄖의 음은 云이다. 杜預가 말하기를 “江夏 雲杜縣 동남쪽에 鄖城이 있다.”라고 하였다. 方은 뗏목[泭]이고, 舟는 배이니 ≪詩經≫ 〈邶風 谷風〉에 “깊은 곳으로 나갈 때, 뗏목도 타고 배도 탄다.”라고 하였다. 泭는 음이 桴이다. 일설에 “方舟란 두 척의 배를 나란히 하여 가는 것이다.” 하였다.
그리하여 왕무 등에게 강수를 건너가게 하였는데 張沖이 병사를 보내 맞아 싸우자 왕무 등이 격파하니, 장충이 직접 성에 올라 지켰다.
조경종이 마침내 石橋浦를 점거하자 군사들이 연합하여 이어져 加湖까지 이르렀다.注+③ 加湖는 江夏 灄陽縣 경계에 있으며, 湖水 북남으로 江水에 흘러든다. 郢城과의 거리가 30리이다. 소연이 한구에 城을 축조하여 魯山을 막고, 楊公則이 湘州의 군대를 이끌고 夏口에서 모이자, 蕭穎冑가 荆州의 諸軍에게 명하여 모두 양공칙의 지휘를 받도록 하고, 劉坦을 行湘州事로 삼았다.
유탄이 일찍이 상주에 머문 적이 있었는데. 그때 은혜를 입은 사람이 많아, 그를 맞이하는 사람들이 길가에 이어졌다.注+④ ≪梁書≫ 〈劉坦傳〉에 의거하건대 일찍이 湘州에 있었다고 한 것은 객으로 지냈던 것이다.
임지에 도착한 뒤에 관리를 선발해 관할 10개의 郡으로 보내서 백성을 징발하여 30여만 斛의 租米를 운송해 荊州와 雍州의 군대를 도우니, 이로 인해 군량이 부족하지 않았다.注+⑤ 湘州는 長沙, 桂陽, 零陵, 衡陽, 營陽, 湘東, 邵陵, 始興, 臨賀, 始安 10개 군을 관할하였다.
3월에 장충이 병으로 卒하자 장군 薛元嗣가 장충의 아들 張孜, 内史 程茂 등과 함께 영성을 지켰다.
【綱】 3월에 齊나라 相國 南康王 蕭寶融이 임금 蕭寶卷을 폐위시켜 涪陵王으로 삼고 자신이 황제로 등극하였다.
【目】 齊나라 南康王 蕭寶融이 江陵에서 즉위하여 연호를 바꾸고, 蕭穎冑를 尙書令 荆州刺史로 삼고, 蕭衍을 左僕射 征東大將軍 都督征討諸軍事로 삼아 을 내주고, 夏侯詳을 中領軍으로 삼고, 庶人 蕭寶卷을 涪陵王에 봉하였다.
소보권이 陳伯之를 江州刺史로 삼아서 서쪽으로 荆州와 雍州를 공격하게 하였다.
4월에 소연이 沔水로 나가 왕무 등에게 명하여 郢城을 압박하도록 하니, 설원사가 감히 나오지 못하였다. 제장이 공격하려 했으나 소연이 허락하지 않았다.注+① 소연이 지구전을 펼치며 전력을 다해 郢城ㆍ魯城 두 성을 피폐시키려 하였다.
【綱】 여름 5월에 北魏 咸陽王 元禧가 모반을 일으켰다가 伏誅되었다.
【目】 魏主(元恪)가 정사를 직접 관장하고 나서 측근들이 권력을 전횡하자, 元禧가 내심 불안해하여 왕비의 오라버니 李伯尙, 氐王 楊集始 등과 반란을 모의하였다.
마침 魏主가 성을 나가 北邙山에서 사냥을 하고 있었는데, 원희가 병사를 출동시키려 하다가,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晡時(오후 3시~5시) 무렵에 결국 해산하였다.
양집시가 나오고 나서 즉시 북망산으로 달려가 이를 고발하니, 魏主가 창졸간에 어찌할 바를 몰라 하자, 左中郎將 于忠이 말하기를 “신의 부친이 서울에서 지키고 있으니 굳이 염려할 것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魏主가 우충을 보내 서둘러 살펴보게 하였는데, 于烈이 이미 병사를 나누어 빈틈없이 대비하고 있었고, 우충에게 돌아가 아뢰게 하기를 “이들 무리가 미쳐 날뛴다 한들 염려할 것이 못 되니, 폐하께서는 辟除하시며 서서히 돌아오셔서 민심을 안정시키소서.”라고 하니, 魏主가 마침내 돌아왔다.注+① 천자가 길을 나설 때면 ‘警’이라 일컫는데, 조심하고 엄숙히 할 것을 알리는 것이고, 들어올 때면 ‘蹕’이라 말하는데 행인들을 멈추게 하고 길을 정리하는 것이다.
우렬이 直閤將軍 叔孫侯를 보내 원희를 체포한 뒤 집에서 자살하도록 하고, 모든 가산을 高肇ㆍ趙脩의 집안과 중외의 백관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魏主는 원희가 까닭 없이 모반을 일으킨 것을 계기로 宗室들을 더욱 멀리하고 꺼렸다.
【綱】 齊나라의 巴東郡과 巴西郡이 병사를 파견해 荆州를 공격하였다.
【目】 巴西太守 魯休烈과 巴東太守 蕭惠訓이 蕭穎冑의 명을 듣지 않고, 소혜훈이 아들 蕭璝를 보내서 병사를 이끌고 소영주를 공격하게 하니, 소영주가 劉孝慶을 보내서 협곡의 입구에 주둔하여 이들을 막게 하였다.注+① 이곳은 西陵峽口이며 宜都 夷陵 경계에 있다.
【綱】 齊나라 涪陵王(蕭寶卷)이 군사를 파견하여 郢州를 구원하였다. 〈제나라 군대가〉 加湖에 주둔하였다.
【目】 齊나라 涪陵王 蕭寶卷이 郢州를 구원하기 위해 軍主 吳子陽과 陳虎牙 등을 파견하였는데, 巴口에 주둔하였다.注+① 陳虎牙는 陳伯之의 아들이다. ≪水經注≫에 “巴水는 廬江 雩婁縣 下靈山에서 발원하니, 또는 巴山이라 한다. 남쪽으로 흘러 江水로 유입되는데 이곳을 巴口라 한다.” 하였다.
6월에 西臺(蕭寶融)가 席闡文을 보내 蕭衍의 군사를 위로하고, 蕭穎冑 등의 의견을 전하여 소연에게 말하기를 “지금 長江의 양쪽 연안에 병사를 주둔하고, 군대를 합쳐 郢城을 포위하여 西陽과 武昌을 평정시켜 江州를 탈취하지 않고 있으니, 이는 기회를 잃는 것이다. 차라리 北魏에게 구원병을 요청하느니만 못하다.”라고 하였다.注+② 강릉이 서쪽에 있으므로 西臺라 말한 것이다.
소연이 말하기를 “漢口는 荆州ㆍ雍州와 길이 통하여 秦州ㆍ梁州를 제압할 수 있는 지역이어서 군량을 운반하고 물자를 저장하는 것이 마치 여기에 의지해 숨을 쉬는 것과 같으니, 병사를 동원해 漢口를 제압해서 여러 州와 연결시키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注+③ 漢水를 거슬러 올라가 漢中에 이르니, 秦州와 梁州 두 州의 刺史가 관할하는 곳이므로 제압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 병사를 합쳐서 영성을 포위하고 다시 병사를 나누어 전진하게 되면 魯山의 적군이 반드시 沔水의 길을 끊어 우리의 목을 억누를 것이니, 이로 인해 양식을 운반하는 길이 막히면 군사들이 자연히 흩어질 터인데 어떻게 오래 버틸 수 있겠는가.
鄧元起가 3천의 병사를 이끌고 尋陽으로 쳐들어가려 하는데, 적들이 사세의 추이를 안다면 설득을 잘하는 선비 한 사람만 보내도 충분하겠지만,注+④ 說(설득하다)는 음이 稅이다 만약 저들이 王師(西臺의 군사)에 저항한다면 3천 명의 병사가 함락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전진하고 후퇴하는 데 모두 근거를 잃게 될 것이니, 그것이 옳은 일인지 잘 모르겠다.注+⑤ 脫은 ‘혹시’이니, 脫이란 단언할 수 없다는 말이다. 距는 拒와 통용하여 쓰니, 저지한다는 뜻이다.
西陽과 武昌은 공격해서 바로 취할 수 있지만 취하고 나서 그곳을 지키려면 최소 1만 명 이상의 병사가 필요하고, 양식과 물자 또한 이에 걸맞아야 하는데 이것은 갑자기 마련할 수가 없다.注+⑥ 稱(걸맞다)은 尺證의 切이다. 卒(갑자기)은 猝로 읽는다.
만약 東軍(蕭寶卷의 군사)이 서쪽으로 올라가서 만 명 정도로 성 하나를 공격하게 되면 두 성이 형세로 보아 서로 구원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군사를 나누어 구원하게 되면 머리와 꼬리가 모두 허약해질 것이고, 그렇다고 군사를 파견하지 않으면 고립무원의 성은 반드시 함락될 것이다. 한 성이 함락되면 흙이 무너지듯 차례로 무너져 대사를 그르칠 것이다.
만약 우리가 郢州를 함락시키고 강물을 따라 석권해 나가면 서양과 무창은 자연스레 무너질 것이다. 장부가 대사를 일으키는 것은 國運을 정돈하려 함이니,注+⑦ “天步”는 天路(國運)이니, ≪詩經≫ 〈小雅 白華〉에서 “천운이 몹시 어렵구나.”라고 하였다. 몇 州의 병사를 가지고 하찮은 무리를 주벌하는 일은 강물을 쏟아 불을 끄는 격이니, 어찌 저들을 멸하지 못할 리가 있겠는가.
어찌 北面하여 오랑케(北魏)에게 구원병을 요청하여 천하에 나약한 모습을 보이려 하는가.
경은 우리를 위해 鎭軍將軍(소영주)께 보고하기를 ‘전진하여 공격하는 일은 오로지 우리에게 맡기고, 오로지 진군장군의 명성만 빌려 국면을 진정하게 해주십시오.’라고 하라.”라고 하였다.注+⑧ 蕭穎冑가 당시에 西臺의 尙書令이었는데 거기에 鎭軍將軍의 호칭을 더한 것이다.
오자양 등이 加湖에 진군하여 성으로부터 30리 떨어진 지점에 성루를 쌓아 견고하게 지켰다. 房僧寄가 병으로 죽자 무리들이 軍主 孫樂祖(손악조)를 추대하여 魯山을 대신 지키게 하였다.
【綱】 가을 7월에 齊나라 雍州刺史 張欣泰가 建康王 蕭寶寅을 황제로 옹립할 것을 모의하다 성공하지 못하고 죽었다.
【目】 齊나라 涪陵王 蕭寶卷이 芳樂苑을 만들면서 산과 돌에 다섯 가지 채색을 모두 바르고, 민가에 좋은 나무나 대나무가 있는 것을 보면 담장을 허물거나 집을 무너뜨려서 방악원 안으로 옮겨 심었다.注+① 여기서 句를 뗀다.
방락원 안에 시장을 만들어 궁녀나 환관을 裨販(판매인)으로 삼았다.注+② 裨는 보탬이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스스로 이익을 취하므로 ‘裨販’이라 한 것이다. 潘貴妃를 으로 삼고 자신은 가 되어 자신이 조금이라도 잘못을 범하면 반귀비가 매질하게 하였다.注+③ ≪南史≫ 〈齊本紀〉에는 小字 위에 帝字가 있다. “與杖”은 매질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무당을 좋아했는데, 측근들이 그를 속여, “돌아가신 先帝를 뵈었는데 크게 노하시며 외유를 자주 하지 못하게 하셨습니다.”라고 하자, 소보권이 크게 노하여 칼을 뽑아들고 선제의 혼령을 찾아 나섰고, 찾지 못하자 꼴을 묶어 高宗(蕭鸞)의 형상을 만들고서 북쪽을 향하게 한 뒤에 참수하고 그 머리를 방락원의 문에 걸었다注+.
雍州刺史 張欣泰가 아우 張欣時와 함께 은밀하게 모략을 꾸며 胡松, 王靈秀, 鴻選 등과 결탁해 간악한 무리들을 죽이고 소보권을 폐위시키려 하였다.注+⑤ 鴻은 성이다.
그런데 마침 소보권이 郢城을 구원하기 위해 中書舍人 馮元嗣를 파견할 적에 茹法珍, 梅蟲兒, 李居士, 楊明泰가 中興堂에서 그를 전송하였는데,注+⑥ 宋 孝武帝(劉駿)가 新亭에서 즉위하며 신정을 中興堂이라 개칭하였다. 장흔태 등이 사람을 시켜 모여 있는 자리에서 풍원사와 양명태를 살해하고 매충아에게 상해를 입히니,注+⑦ 여기서 句를 뗀다. 이거사와 여법진 등은 흩어져 달아났다.
왕영수가 石頭城으로 가서 建康王 蕭寶寅을 맞이하여 臺城(宮城)으로 향했는데, 수천 명의 백성들이 모두 빈손으로 뒤따랐다.注+⑧ 建康王은 建安王으로 써야 한다.
장흔태가 사건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서둘러 궁으로 들어가려 하였는데,注+⑨ ≪資治通鑑≫에서는 이 아래에 말하기를 “茹法珍 등이 밖에 있었는데 東昏侯(蕭寶卷)가 성곽 내의 권한을 그(張欣泰)에게 일임하여 안팎이 서로 호응하기를 바란 것이다.” 하였다. 마침 여법진이 궁으로 되돌아와 궁문을 걸어 잠그고 禁兵을 성벽으로 올라가게 하니, 〈성안에 있던〉 홍선 또한 감히 움직이지 못하였다.注+⑩ 上(오르다)은 時掌의 切이다. ≪資治通鑑≫에 “궁문을 걸어 잠그고 禁兵을 성벽으로 올려보내고 張欣泰의 군대를 배치하지 않으니, 鴻選이 궁 안에 있으면서도 감히 발동하지 못하였다.” 하였다.
소보인이 杜姥宅에 이를 무렵에 날이 저물자 사람들이 모두 뿔뿔이 흩어졌고, 소보인 역시 도망갔다가 3일 만에 나타나니 소보권이 그의 작위를 복원시켜주었고, 장흔태와 호송은 모두 죽임을 당하였다.
【綱】 齊나라 蕭衍이 加湖에서 승리하니 魯山과 郢城이 항복하였다.
【目】 齊나라 蕭衍이 王茂와 曹仲宗 등에게 물이 불어난 틈을 타서 加湖를 습격하게 하니, 가호에 있던 적군이 궤멸되었다. 그리하여 이를 바라보고 있던 郢城과 魯山 두 성의 기세가 꺾였다.
노산에 양식이 떨어져 夏口로 달아나려 할 때 소연이 그 도주로를 차단하자, 孫樂祖가 성을 가지고 항복하고, 程茂와 薛元嗣도 영성을 가지고 항복하였다.
영성이 처음 포위됐을 때에 士民 男女가 십만에 가까웠는데, 2백여 일 동안 성문을 닫고 지내느라 전염병이 유행하고 浮腫에 걸려 죽은 자가 열에 일고여덟에 달하였다.注+① “流腫”은 독기가 퍼져 부어오른 것을 말한다.
정무와 설원사가 항복에 대해 논하며 張孜에게 글을 지어 소연에게 전하도록 하자, 張沖의 故吏인 房長瑜가 말하기를 “前任 使君(장충)의 충성이 하늘을 꿰뚫었으니 郎君(張孜)은 의당 한결같은 마음으로 굳게 지켜 아버지가 이룬 일을 이어야 하고,注+② 前 使君은 張沖을 말한다. “畫一”은 ≪漢書≫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니, 蕭何가 法을 시행할 때 마치 하나의 획을 그은 듯 명확하였는데, 曹參이 그의 뒤를 잇고서 그대로 지켜 실추시키지 않으니, 여기서는 그대로 지켜서 실추시키지 않은 의미를 취한 것이다. ≪春秋左氏傳≫ 昭公 7년에 “그의 아버지가 장작을 쪼개놓았는데, 그 아들이 능히 짐 지지 못한다.”라고 했으니 房長瑜의 뜻은, 張孜가 마땅히 아버지가 이루어놓은 일을 지켜, 쪼개 놓은 장작을 짊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天運이 도와주지 않는다면 〈관복을 벗어〉 백성의 의복을 입고 천명을 기다렸다가 使君의 뒤를 따라 죽어야 합니다.注+③ “下從”은 죽음을 말한다.
지금 여러 사람들의 계책을 따라 항복하게 되면 높은 산처럼 바라보는 郢州 백성들의 기대를 저버릴 뿐만 아니라 저들(蕭衍)도 받아들이지 않을까 우려됩니다.”라고 했지만 장자가 받아들이지 않았다.注+④ ≪詩經≫ 〈小雅 車舝〉에 “높은 산을 우러러본다.” 하고, 그 주석에 “고상한 덕이 있으면 사모하여 우러러본다.” 하였다. 彼는 蕭衍을 말한다.
소연이 韋叡를 行郢府事로 삼아 죽은 자를 수습하고 살아 있는 자를 어루만져주자 영주 사람들이 마침내 안정을 되찾았다. 諸將들이 夏口에 주둔하려 하자, 소연이 승세를 타서 곧장 建康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張弘策과 庾域 역시 그에 동의하였다.
소연이 군사들에게 곧장 출발할 것을 명령해서, 장강을 따라 건강을 향해 갔는데, 장홍책이 연도의 , 포구, 촌락과 행군 중에 야영을 할 곳과 잠시 머물 곳을 미리 그려놓았는데 마치 눈앞에 있는 것처럼 자세하였다.
【綱】 北魏 揚州刺史 安國侯 王肅이 卒하였다.注+① 安國縣은 漢나라 때에는 中山國에 속하였고, 晉나라와 北魏 때에는 搏陵郡에 속하였다.
【目】 예전에 王肅이 부친이 비명에 죽었다 하여 4년 동안 상복을 벗지 않자, 高祖(元宏)가 “삼년상은 현자도 감히 기간을 초과하지 않았다.”라고 하고, 왕숙에게 의 예로 상복을 벗으라고 명했으나, 왕숙은 여전히 소복을 입고 종신토록 음악을 듣지 않았다.
이때에 와서 壽陽에서 卒하니 시호를 宣簡이라 하였다.
【綱】 齊나라가 寧朔將軍 崔偃을 죽였다.
【目】 崔慧景이 죽을 적에 그의 어린 아들 崔偃이 달아나 숨어서 죽음을 모면했는데, 의 정권이 세워지자 최언을 寧朔將軍으로 삼았다.
최언이 글을 올리기를 “신은 생각건대 高宗의 효자 충신이면서 昏主(蕭寶卷)의 亂臣 賊子는 江夏王(蕭寶玄)과 폐하, 그리고 先君(崔慧景)과 鎭軍將軍(蕭穎冑)입니다.注+① 先臣은 崔偃의 아버지 崔慧景을 말한다. 鎭軍은 蕭穎冑를 가리킨다. 비록 성패의 결과는 달랐지만 추구한 목적은 같았습니다.
폐하께서 처음 지존의 자리에 오르셔서 하늘의 뜻에 부합하실 적에 천하 백성들의 억울함을 폐하께서 풀어주시리라 기대했습니다. 더구나 〈강하왕은〉 先帝의 아드님이고 폐하의 형이며, 그분이 지났던 길이 바로 폐하께서 그 길을 따름에 있어서이겠습니까.
어찌 백성들이 무식한 것을 다행으로 여겨 그들을 속일 수 있겠습니까.注+② 옳지 않은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것을 罔이라 이른다.
그들이 만일 그 정황을 소상히 알게 되어 서로 이끌고 도망간다면 폐하께서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라고 했지만 이 일을 덮어두고 답이 없었다.
최언이 또다시 상소하기를 “근래에 어리석음을 무릅쓰고 강하왕의 억울함을 말씀드린 것은 감히 아버지와 자식의 친함으로 지극히 공평한 대의를 손상하려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성스러운 조정에서 그렇게 한 뜻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미치광이 군주(蕭寶卷)가 아무리 미쳤다 해도 실제는 천자이고 강하왕이 아무리 어질다 해도 실제는 신하입니다.
先臣(최혜경)이 신하(강하왕)를 받들어 임금(소보권)을 거역한 것이 옳지 않다고 한다면 지금 정예 병사와 강한 군사들이 로 향하는 것은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습니다.
신이 삼가 살펴보건대, 鎭軍將軍 臣 蕭穎冑와 中領軍 臣 夏侯詳은 모두 사직을 지키는 신하들로서, 그들 모두 先臣이 강하왕의 최측근이 되고서 왕실을 바로잡으려다 천명이 호응하지 않아 임금이 죽자 함께 죽은 것을 알고 있습니다만 폐하를 위해 잠시의 틈을 내어 말하지 않고 있었습니다.注+③ 爲(위하다)는 去聲이다. 瞥(잠시)은 普滅의 切이니, “瞥然”은 잠시 보는 것이다.
알고도 말하지 않은 것은 충성하지 않은 것이고 몰라서 말하지 못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입니다. 신의 말은 여기까지이니, 끓는 솥에 나아가 죽게 되기를 청합니다.
하지만 先臣의 충성은 식자들이 다 알고 있고 南史와 董狐 같은 史官의 직필은 천년을 기약할 수 있으니 어찌 폐하의 뜻을 기다려서 이들을 포폄할 것이 있겠습니까. 다만 소신의 간절한 마음은 폐하를 위해 고려한 것일 뿐입니다.”라고 하자,注+④ 南․董은 齊나라 南史와 晉나라 董狐를 말한다. 崔杼가 齊 莊公을 시해한 것을 두고 太史가 기술하기를 “崔杼가 자신의 군주를 시해하였다.”라고 기록하자 최저가 그를 죽였다. 그의 동생들이 이어서 기술하였다가 죽은 자가 2명이 되었고, 다른 동생이 또다시 기술하자 그제야 내버려두었다. 南史氏는 태사가 모두 죽었다는 말을 듣고 기술할 竹簡을 가지고 갔다가 사관이 이미 기술했다는 말을 듣고 이내 돌아갔다. 晉나라 趙盾(조돈)의 아우 趙穿이 晉나라 靈公을 시해했는데, 董狐는 조돈이 역적을 성토하지 않은 이유를 들어, “조돈이 임금을 시해하였다.”라고 적어 조정에 알렸다. 孔子가 말하기를 “동호는 옛날의 훌륭한 사관이며 그의 書法은 사실을 숨기는 법이 없었다.” 하였다.
齊主(蕭寶融)가 예우하는 조서로 답하였는데, 얼마 후 잡아들여 옥에 가둬 그를 죽였다.
【綱】 8월에 齊나라 蕭衍이 尋陽을 무찔렀다.
【目】 예전에 齊나라 涪陵王 蕭寶巻이 陳伯之를 파견하여 江州에 진주하게 해서 吳子陽 등의 응원으로 삼았는데,
오자양 등이 패한 뒤에 蕭衍이 말하기를 “用兵은 반드시 실력에만 의지할 것은 없고 따라야 할 것은 위세와 명성이다. 지금 陳虎牙가 낭패를 당한 채 尋陽으로 도망가서 심양 사람들이 정리상 두려움에 처해 있을 것이므로 檄文을 전하는 것으로도 평정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고,
이에 명하여 구속한 포로들을 수색해서 진백지의 蘇隆之를 찾아 그에게 후한 상을 주고, 그에게 진백지를 설득하게 하였는데, 그가 말을 들으면 사신을 보내 현지에서 江州刺史에 등용하겠다고 하였다.注+① 卽은 나아감이다.
소융지가 돌아와 復命하였는데, 그가 비록 歸附를 허락하였으나 “대군이 갑자기 동쪽으로 내려와선 안 된다.”라고 하였다 하니,
소연이 말하기를 “진백지가 갈팡질팡하고 있으니 그가 미적거리는 틈을 타서 급히 진격해 압박하면 형세상 항복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하고 마침내 병사를 이끌고 심양에 이르니, 진백지가 죄를 청하였다.
예전에 巴東에서 반란이 발생할 때 司馬 席恭祖가 동참하지 않음으로써 죽임을 당했는데,注+② 席恭祖는 앞의 28권 齊나라 永明 8년(490)에서 席恭穆으로 썼다. 이때에 와서 그의 아들 席謙이 新蔡太守가 돼서 진백지를 따라 심양을 지키고 있다가
소연이 동쪽으로 내려온다는 소식을 듣고 이르기를 “우리 집안은 대대로 충정을 지켰으니, 죽음을 당할지언정 배반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자, 진백지가 그를 죽였다.注+③ 蕭子顯의 ≪南齊書≫ 〈州群志〉에 “江州에는 南新蔡郡이 있고 豫州에는 北新蔡郡이 있다.” 하였다.
소연이 진백지를 江州刺史로 삼고 진호아를 徐州刺史로 삼았다.
【綱】 齊나라 巴東과 巴西의 군사가 上明에 도착하였다.
【目】 齊나라 魯休烈과 蕭璝가 峽口를 격파한 뒤 上明까지 진격하자 江陵이 공포에 떨었다.注+① 上明은 縣의 이름이다. 蕭穎冑가 두려워서 서둘러 蕭衍에게 고하고 명을 내려 楊公則을 보내서 〈군대를 거느리고〉 돌아와 근본(강릉)을 구원하게 하였는데,
소연이 말하기를 “양공칙이 장강을 거슬러 올라가야 하니 어떻게 사태에 미칠 수 있겠는가. 노휴열 등은 烏合之衆이어서 얼마 후 저절로 흩어질 것이니, 바로 잠시 동안 신중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정말 병력이 필요하다면 두 아우가 雍州에 있으니 위에서 지시하여 사람을 보내 군사를 징발하여 오게 하면 제때에 오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니,注+② 良은 진실로의 뜻이다. “兩弟在雍”은 蕭偉가 雍州의 일을 총괄하고 蕭憺이 壘城을 지키고 있는 것을 말한다. 指는 위에서 지시하는 것이다. 徵은 병사를 징발하는 것이다. 소영주가 蔡道恭을 보내 소괴를 막았다.
【綱】 9월에 齊나라 蕭衍이 병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내려갔다.
【目】 齊主 蕭寶融이 蕭衍에게 조칙을 내리되 만약 京邑을 평정하고 나면 편의에 따라 의사를 결정하라고 하였다.
소연이 鄭紹叔을 尋陽에 남아 지키게 하고, 병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내려가며 이르기를 “경은 나의 蕭何이고 寇恂이다.”라고 하였는데,注+① 漢나라 高祖가 蕭何에게 關中을 맡기고, 光武帝가 寇恂에게 河內를 맡겨 보급품을 공급하게 하였다. 建康을 함락시킬 즈음에 정소숙이 江州와 湘州에서 양식을 운반하는 것을 감독하여 단절된 적이 없었다.
【綱】 北魏가 洛陽에 들을 축조하였다.
【目】 北魏 司州牧 廣陽王 元嘉가 洛陽에 가로세로 3백 보인 坊 325개를 축조할 것을 요청하며 말하기를 “잠시의 수고로움이 있으나 간악한 도적들이 영원히 사라질 것입니다.”라고 하였는데, 조칙을 내려 畿內의 백성 5만 명을 징발하여 축조하게 하여 40여 일 만에 끝마쳤다.
【綱】 北魏가 于氏를 황후로 세웠다.
【目】 〈于氏는〉 于烈의 아우 于勁의 딸이다.
【綱】 겨울 10월에 齊나라 蕭衍이 建康을 포위하였다.
【目】 蕭衍이 江州와 郢州를 함락시킨 뒤에도 涪陵王 蕭寶巻이 예전처럼 말달리며 유희를 즐기고 있었는데, 소연의 군사가 가까이 다가왔다는 소식을 듣고 병사들을 모아 견고하게 지킬 계책을 세웠다.
소연이 曹景宗 등을 보내 江寧으로 나아가 주둔하게 하니,注+① 沈約이 말하기를 “晉나라 武帝 太康 원년(280)에 秣陵을 나누어 臨江縣을 설치하고, 2년(281)에 江寧으로 이름을 바꿨으니 治所가 강가에 임한 것이다.” 하였다. 李居士가 新亭에서 정예 기병을 선발해 압박해왔다.注+② 이해(501) 8월에 東昏侯가 太子 左率 李居士에게 摠督西討諸軍事로 삼아 新亭에 주둔하게 하였다. ≪金陵覽古≫에 “新亭은 江寧으로부터 10리 거리에 있다.” 하였다.
조경종이 힘껏 싸워 격파하고서 그대로 승세를 타고 전진하니 新亭城主 江道林이 병사를 이끌고 나와 싸우다가 생포당하였다.
소연이 新林에 도착하고서 呂僧珍을 보내 白板橋를 점거하였는데,注+③ 陶弘景의 글에 의하면, 板橋는 당시 江寧縣의 경계에 속하였다. 이거사가 정예병 만 명을 이끌고 곧장 쳐들어와서 陣壘를 압박하였다.
그러자 여승진이 말하기를 “우리는 숫자가 적어 맞이해 싸울 수 없으니 활을 멀리 쏘지 말고 참호 안으로 들어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힘을 합쳐 격파하자.”라고 하였다.
얼마 있다가 이거사의 군사들이 모두 참호를 뛰어넘고 목책을 뽑으며 쳐들어오자 여승진이 병사를 나누어 성 위로 올라가 화살과 돌을 함께 발사하게 하고 자신은 기마병과 보병 3백 명을 이끌고 적의 배후로 출격하였다.
이때 성 위의 병사들도 또한 성벽을 넘어 내려와 안팎에서 협공하자 이거사가 패하여 도망갔다.
소연의 아우들은 모두 建康에서 몸을 빼서 도망 나와 소연의 군대에 나아갔다.
【目】 10월에 蕭寶卷이 장군 王珍國과 胡虎牙를 보내 정병 10만을 이끌고 남쪽에 포진하고,注+① 王珍國은 王廣之의 아들이다. 王寶孫이 白虎幡을 들고 전쟁을 독려하여 주작항을 열고 물을 등진 채 포진해서 歸路를 차단하고 싸우니,注+② 王寶孫은 환관이다. 소연의 군사가 다소 퇴각하였는데,
王茂가 말에서 내려 칼 하나만 들고 곧장 전진하고 그의 사위 韋欣慶이 鐵纏矟를 들고 그를 호위하여 東軍(東昏侯의 군대)을 공격해 순식간에 무너뜨렸다.注+③ 鐵纏矟는 철선으로 창의 자루를 두른 것이다.
조경종이 그 틈을 타서 군대를 풀어 진격하고 여승진이 불을 질러 군영을 태워서 장수와 군사들이 모두 죽을힘을 다해 싸워 북소리와 함성이 천지에 진동하였다.注+④ “焚營”은 ≪資治通鑑≫에서 “焚其營(東軍의 군영을 태웠다.)”으로 썼다.
왕진국 등이 막아내지 못하고, 왕보손이 장수들을 통렬하게 꾸짖자 장군 席豪가 분발해 적진을 향해 돌격하다 죽으니 군대가 결국 크게 궤멸되었다.
소연의 군사가 여세를 몰아 宣陽門에 이르러 諸將들이 군영을 옮겨 점차 앞으로 나아가니, 소보권의 장군 徐元瑜가 東府城을 가지고 항복하고 이거사가 신정을 가지고 항복하였다.
소연이 石頭城에 鎭守할 적에 소보권이 성문을 굳게 닫고 지키자, 소연이 제군에게 명하여 포위망을 넓게 쌓아 지키고, 아우인 蕭秀를 보내 京口에 진수하게 하고 蕭恢를 보내 破墩에 진수하게 하고 從弟 蕭景을 보내 廣陵에 진수하게 하였다.注+⑤ 破墩은 곧 破岡이다. 蕭景의 본명은 昺인데 李延壽가 ≪南史≫를 쓸 때, 唐나라 高祖 李淵의 아버지 李昺의 諱를 피해 昺을 景으로 고쳤으며, ≪資治通鑑≫에서 이를 따른 것이다.
【綱】 11월에 北魏가 北海王 元詳을 司徒로 삼았다.
【目】 예전에 元詳이 彭城王 元勰의 司徒 자리를 빼앗으려고 하였기 때문에 그를 참소하여 축출하였고, 또 司空長史 于忠이 성격이 강직하다고 하며 분개하였는데,
우충이 말하기를 “사람은 저마다의 정해진 분수가 있으니 만일 팽성왕의 손에 죽어야 한다면 회피한다 해도 모면하지 못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팽성왕이 죽일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綱】 齊나라 尙書令 巴東公 蕭穎冑가 卒하였다.
【目】 蕭穎冑는 蕭璝와 蔡道恭이 서로 대치한 채 결판나지 않는다고 하여 걱정과 울분 속에 卒하였다.注+① 蕭穎冑는 蕭衍이 동쪽을 정벌하여 가는 곳마다 승리를 거두는데, 자신은 南康王(蕭寶融)을 도와 江陵에 머물며 가까이는 蕭璝를 제어하지 못한 채, 밖으로는 姦雄(소연)에게 굴복할 마음이 없고 안으로는 가까이 외적을 두고 있으니, 이것이 걱정과 울분을 낳아 병으로 발전한 이유이다. 夏侯詳이 이 사실을 비밀로 하고 雍州에서 병사를 징발하자 蕭憺이 병사를 이끌고 갔다.
蕭璝 등도 建康이 이미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을 듣고 무리들이 두려워 뿔뿔이 흩어지자 魯休烈과 함께 모두 투항하였다.
하우상이 소영주의 죽음을 공표한 뒤 丞相으로 追贈하고 獻武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에 뭇사람들의 기대가 모두 蕭衍에게 모아졌다.
하우상이 소담과 함께 국가의 주요 업무에 참여하게 해달라고 하자, 조칙을 내려 하우상을 尙書僕射 荆州刺史로, 소담을 行府州事로 삼았다.
【綱】 北魏가 任城王 元澄을 都督淮南軍事로 삼았다.
【目】 北魏 鎭南將軍 元英이 글을 올리기를 “蕭寶卷은 교만과 방종이 갈수록 심하여 무고한 사람들을 학대하거나 해치고, 그의 雍州刺史 蕭衍은 雍州의 모든 군사를 동원하여 물길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갔으니, 오직 텅 빈 襄陽城만 남아 있고 다시 많은 병사로 지킬 수 없습니다.注+① 이것은 襄陽이 텅 빈 것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바로 하늘이 우리에게 준 시기이자 천년에 한 번 올 기회이니 이 기회를 틈타지 않으면 장차 어느 때를 기다려야 하겠습니까.
신이 바라건대, 몸소 기병과 보병 3만을 이끌고 沔水 남쪽으로 곧장 쳐들어가 양양성을 점거하고 黑水의 길을 차단한 뒤 여세를 몰아 남쪽으로 가서 江陵을 공격해 함락시킨다면 三楚를 손에 넣을 수 있고 岷과 蜀의 길이 단절될 것입니다.注+② 襄陽은 沔水 남쪽에 있으니 물의 남쪽이 陰地가 된다. ≪水經注≫에서 “黑水는 南鄭의 北山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漢水에 유입한다.” 하였다. 元英의 말은, 襄陽을 얻으면 梁州의 길이 단절된다는 것이다. 太史公(司馬遷)이 이르기를 “楚는 세 곳이 있으니, 세속에서 淮ㆍ沛ㆍ陳ㆍ汝南ㆍ南郡은 西楚이고, 彭城 동쪽으로 東海ㆍ吳ㆍ廣陵은 東楚이며, 衡山ㆍ九江ㆍ江南ㆍ豫章ㆍ長沙는 南楚이다.” 하였다. 만약 荊州와 湘州를 탈취하면 岷과 蜀에서 建康으로 가는 길도 또한 단절된다.
또 揚州와 徐州에서 함께 거병할 것을 표명하면 建業이 궁지에 몰려 움츠러들어 천하가 통일될 수 있을 것이니 이 기회를 놓치면 倂呑의 기회가 없을 것입니다.”라고 했지만 답하지 않았다.注+③ 北魏 揚州는 壽陽을 치소로 삼았고 徐州는 彭城을 치소로 삼았다. “文軌可齊”는 천하를 통일할 수 있다는 말이니, ≪中庸≫에 이르기를 “지금 천하는 수레바퀴의 간격이 같고 글씨의 형태가 같다.” 하였다. 爽은 어긋남이다.
車騎大將軍 源懷 역시 말하기를 “廣陵과 淮陰이 〈소연과 소보권의〉 성패를 관망하고 있으니 의당 동쪽과 서쪽에서 함께 군사를 일으켜 席卷의 형세를 만들어야 합니다. 만약 소연이 성공하여 상하가 한마음이 되면 어찌 훗날을 도모하는 일만 어려워지겠습니까.
또한 揚州가 위태롭고 절박해질까 우려되니, 왜냐하면 壽春은 建康과의 거리가 겨우 700리에 지나지 않으니,注+④ 北魏가 壽春에 揚州를 설치하였다. 만약 저들이 내우외환이 없고 임금과 신하의 분수가 안정되어서 물길 따라 배를 타고 갑자기 쳐들어오면 감당하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魏主(元恪)는 任城王 元澄을 都督淮南諸軍事 揚州刺史로 삼아 〈江南 지역을〉 경략하게 하였는데, 얼마 뒤에 시행하지 못하였다.
원회는 源賀의 아들이다.
【綱】 北魏 東豫州刺史 田益宗이 齊나라를 침공하여 赤亭에서 싸웠는데, 齊나라 사람들이 대패하였다.注+① 宋 文帝 元嘉 25년(448)에 豫部의 蠻民을 28개 縣에 배치했는데 赤亭이 그 가운데 하나이다. ≪水經注≫에 “擧水는 湖陂城에서 남쪽으로 흘러 赤亭 아래를 경유하는데 이를 赤亭水라 한다.” 하였다. 西陽에 五水蠻이 있는데 赤亭蠻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目】 北魏 東豫州刺史 田益宗이 表文을 올리기를 “蕭氏의 임금과 신하가 서로 다투느라 변경의 州와 鎭을 돌볼 겨를이 없으니 荊州와 東荊州의 군사들로 하여금 서쪽으로 가서 隨郡과 雍(襄陽)을 공격하게 하고 揚州의 병사들로 하여금 建安에 주둔하게 하고 豫州와 東豫州의 군사로 하여금 곧장 진격해 南關을 점거하게 하면 백 일이 안 돼서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注+① “兩荊”은 北魏가 穰城에 설치한 荊州와 沘陽에 설치한 東荊州를 이른다. 隨와 雍은 隨郡과 襄陽을 말한다. “二豫”는 北魏가 汝南에 설치한 豫州와 新息에 설치한 東豫州를 말한다. 南關은 陰山關을 말한다.
元英 또한 상주하기를 “義陽이 고립되어 있고 또 우리의 국토와 가까이 있으니 만일 이 기회를 놓치고 탈취하지 않으면 큰 우환이 될까 두렵습니다.”라고 하였는데, 魏主(元恪)가 그 말을 따랐다.
전익종이 마침내 齊나라를 침략하니 제나라 建寧太守 黄天賜가 맞서 싸우다가 대패하였다.注+② 宋나라에 建寧左郡이 있었는데 宋 孝武帝 大明 8년(464)에 건녕좌군을 없애고 建寧縣으로 삼은 뒤에 西陽郡에 소속시켰다가 뒤에 다시 郡으로 만들었다. ≪隋書≫ 〈地理志〉에 의하면, “黃州 麻城縣에 지난날 建寧郡을 설치하였다.” 하였다.
【綱】 12월에 齊나라 사람이 涪陵王 蕭寶卷을 시해하였다.注+① 〈蕭寶卷은〉 향년이 19세였다. 蕭衍이 建康에 들어가 太后의 명으로 소보권을 追廢하여 東昬侯로 삼고 자신은 大司馬가 되어 하였다.
【目】 齊나라 崔慧景이 建康을 압박했을 때 涪陵王 蕭寶卷이 蔣子文神을 鍾山王으로 삼았었는데, 소연이 도착할 무렵에 다시 靈帝로 높인 뒤에 後堂으로 맞아들여 무당을 시켜서 기도하고 제사 지내게 하고 군사와 관련된 일을 모두 王珍國에게 맡겼다.
당시 성안의 무장한 병사들이 여전히 7만 명 정도였는데, 소보권이 언제나 궁전 안에서 말을 타고 출입하고, 금과 은으로 갑옷과 투구를 만들어 孔雀과 翡翠의 깃털로 장식하였으며, 낮에 자고 밤에 일어나기를 일상처럼 하였다.注+① 孔․翠는 孔雀과 翡翠이다.
적군의 포위망이 완성된 뒤, 여러 번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한 상황이었는데, 금전을 더욱 아껴 상을 주려 하지 않고 궁 안의 조각한 금은 장식과 갖가지 보물들을 일상보다 갑절이나 더 마련토록 재촉하니, 민심이 원망하고 나태해져 모두 빨리 도망가기를 바랐지만 누구도 감히 먼저 행하지 못하였다.
茹法珍과 梅蟲兒가 소보권에게 권유하기를 “대신들이 마음을 쓰지 않아 포위를 풀지 않게 하고 있으니 모두 처단하는 것이 마땅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진국과 그의 부장 張稷이 화가 미칠까 두려워하여 소보권을 시해할 것을 모의하였는데, 後閤舍人 錢彊에게 밤에 雲龍門을 열게 하고서注+② 張稷은 張瓌의 아우이다. 後閤舍人은 江左에서 설치한 관직으로, 宮殿의 後閤을 관장하도록 하였다. 왕진국과 장직이 병사를 이끌고 전각 안으로 들어가니, 御刀를 맡는 시종인 豐勇之가 안에서 호응하였다.注+③ 豊은 姓이다.
이때 소보권이 含德殿에 머물면서 생황으로 연주하는 노래를 짓고 있었는데 병사가 들어와 참수하였고, 장직이 尙書僕射 王亮 등을 불러 백관들에게 문서에 서명하게 하고 黄油布로 소보권의 머리를 감싼 뒤 國子博士 范雲 등을 시켜 石頭城으로 보냈다.注+④ 王亮은 王瑩의 從弟이다. 黃絹에 기름을 칠하면 빗물을 막을 수 있으니 이를 黃油라 한다. 황유로 물건을 감싸면 겉에서 속을 볼 수 있으니 이는 소연이 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右衛將軍 王志가 탄식하며 말하기를 라고 하고 마당의 나뭇잎을 따서 손으로 비벼 먹은 뒤 혼미함을 가장하여 서명하지 않으니注+⑤ 挼는 奴禾의 切이니 두 손으로 비비는 것이다. 소연이 서명한 종이에 왕지의 이름이 없는 것을 보고 마음속으로 가상하게 여겼다.
왕지는 王僧虔의 아들이다.
【目】 蕭衍이 范雲과 친분이 있으므로 바로 그를 머물려두어 막료로 삼았다. 王亮이 조정에 있을 때 애매모호함으로 〈蕭寶卷의〉 용납을 받았는데, 소연이 新林에 이르자 백관들이 사잇길로 사람을 보내 환영의 뜻을 보냈으나 왕량만 홀로 사람을 보내지 않았다.
성안에서 나오는 이들이 대부분 겁박을 당하였는데, 楊公則이 직접 부하들을 이끌고 나와 〈관료와 백성들을〉 친히 호송하였다.
소연이 張弘策을 시켜서 먼저 들어가 궁중을 정돈하고 府庫와 圖籍들을 봉인하게 하였다. 당시 성안에 갖가지 보물들이 쌓여 있었지만 장홍책이 부하들을 엄격히 다스려 털끝만큼도 침범하는 일이 없게 하고 潘妃와 茹法珍ㆍ梅蟲兒ㆍ王咺之 등 41명을 체포하여 모두 관리에게 넘겼다.
潘妃玉兒潘妃玉兒
그리고 宣德太后의 조칙으로 소보권을 追廢하여 東昏侯로 삼고 소연을 大司馬 錄尚書事로 삼고 晉나라 武陵王 司馬遵이 承制한 故事를 따라서, 백관들이 경하를 표했고 왕량을 長史로 삼았다.注+① 晉나라 安帝 元興 3년(404)에 桓玄이 패하자, 황제를 핍박해 서쪽으로 올라가게 한 뒤에 劉裕가 密詔를 받았다고 칭하고 武陵王 司馬遵의 예에 따라 承制하고 백관을 거느리고 일을 처리하였다.
소연이 閱武堂으로 들어와 주둔하고서 대사면령을 내리고 〈소보권이 제정한〉 혼란을 야기하는 제도와 어긋난 세금과 지나친 형벌과 과도한 徭役을 모두 폐지하도록 하였다.注+② 閱武堂은 建康子城 북쪽에 있다.
반비는 國色이어서 소연이 그를 남겨두려 하여 領軍將軍 王茂에게 자문을 구하자, 왕무가 말하기를 “齊나라를 멸망시킬 자는 이 사람이니 그대로 두면 바깥에서 말이 날까 우려됩니다.”라고 하니 여법진과 함께 죽이고 궁녀 2,000명은 장사들에게 나눠 주었다.
【綱】 齊나라 大司馬 蕭衍이 豫州刺史 馬仙琕(마선변)과 吳興太守 袁昂을 구속했다가 이윽고 석방하였다.
【目】 齊나라 蕭衍이 동쪽으로 내려갈 때 豫州刺史 馬仙琕이 병사들을 거느리고 귀의하지 않자注+① 琕은 浦眠의 切이다. 소연이 그의 친구 姚仲賓을 시켜서 그를 설득하게 하였다. 마선변은 먼저 주연을 베풀고서 그를 군문에서 참수하여 조리돌렸다.
소연이 宮城을 포위하자 州와 郡들이 모두 항복해왔지만 吳興太守 袁昻만 홀로 경내를 지키며 명을 받들어 귀순하지 않았다. 원앙은 袁覬의 아들이다.注+② 覬는 ≪資治通鑑≫에서는 顗로 썼다.
소연이 江革에게 글을 짓게 하여 원앙에게 보내어 말하기를 “혼미한 임금에게 힘을 다하는 것은 충성이 될 수 없고 가문이 도륙되는 것은 이른바 효도가 아니니 어찌 빨리 생각을 바꿔 많은 복을 불러들이는 것만 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원앙이 답서를 보내기를 “한 끼 음식의 작은 베풂도 목숨으로 보답할 일인데 하물며 다른 사람의 祿을 얻어먹으면서 하루아침에 그 은혜를 내팽개친다면 뭇사람들이 옳지 않다고 여길 뿐만 아니라 또한 明公께서도 비루하게 볼까 염려되니, 이 때문에 주저하며 璧玉을 바쳐 항복할 겨를이 없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注+③ 餐은 물만밥이다. 施(은혜, 은혜를 베풂)는 去聲이다. “投隕”은 목숨을 내던지고 몸을 죽임을 말한다. 薦은 올림이니 “薦璧”은 璧玉을 물고 항복하는 것을 말한다.
武康縣令 傅暎이 원앙에게 이르기를注+④ 吳나라가 烏程과 餘杭을 분리해서 永安縣을 설치하였는데 晉 武帝 太康 원년(280)에 武康으로 개명해서 吳興郡에 소속시켰다. “옛날 太尉(袁淑)가 元嘉의 재앙을 당한 일은 세상에 없던 것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목숨을 바쳐 결의를 밝혔고,注+⑤ 太尉는 袁昻의 叔祖 袁淑을 말한다. 원숙의 죽음은 宋 文帝 元嘉 30년(452)에 보인다.
司徒(袁粲)가 〈少帝(유욱)를〉 부탁받은 중임을 맡아서 의리상 목숨을 구차하게 온전할 수 없었기에 위험을 무릅쓰고 명분과 대의 앞에 목숨을 바쳤습니다.注+⑥ 司徒는 袁昻의 숙부 袁粲을 말한다. 일설에 “司徒는 원앙의 아버지 袁顗를 말한다.”고 하였다. 원의의 죽음은 宋 明帝 泰始 2년(465)에 보인다.
지금 帝位를 계승한 임금이 혼미하고 포악하며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지 않고, 荊州와 雍州가 협력하여 병사를 일으켰으니 하늘과 사람의 뜻을 또한 알 만합니다. 明府(원앙)께서는 부디 깊이 생각하여 후회하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라고 하였다.
【目】 建康이 평정된 뒤 蕭衍이 豫州刺史 李元履에게 동쪽 지역을 순시하고 위로하게 하고서 분부하기를 “袁昻은 도덕과 청렴을 갖춘 집안으로 대대로 충절한 사람이 배출되었다.
천하 사람들이 반드시 모두 그를 용납해야 할 것이니 군대의 위세로 능욕하지 말라.”라고 하였다.注+① “道素”는 道義가 있으면서 결백한 것이다. 이원리가 도착하여 소연의 뜻을 알렸으나 원앙이 또한 항복을 청하지 않고 문을 연 채 수비군을 철수시켰다.
馬仙琕이 臺城을 지키지 못했다는 소식을 듣고 울면서 장수와 군사들에게 이르기를 “나는 다른 사람의 부탁을 받았기에 의리상 항복할 수 없지만 그대들은 모두 부모가 있으니 나는 충신이 되고 그대들은 효자가 되는 것이 또한 좋지 않겠는가.”라고 하고 병사들을 모두 보내 항복하게 했지만 나머지 군사 수십 명이 남아 문을 걸어 잠근 채 굳게 지켰다.
이윽고 적병이 쳐들어오자 마선변이 사졸들에게 활시위를 가득 당겨 대응하게 하니 적병들이 감히 가까이 오지 못하였다.
해가 저물 무렵에 마선변이 활을 내던지며 말하기를 “여러 군사들은 다만 와서 나를 체포해가라. 난 의리상 항복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군사들이 그를 체포한 뒤〉 檻車에 태워 石頭城으로 보내니 소연이 그를 풀어주고, 원앙이 도착하기를 기다려서 함께 들어오게 한 뒤 이르기를 “세상 사람들에게 두 義士를 보인다.”라고 하고서 그들을 후하게 대접하였다.
【綱】 齊나라 大司馬 蕭衍이 궁중에 들어와 鎭守하였다.
【綱】 齊나라 始興内史 王僧粲이 湘州를 습격했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目】 王僧粲이 湘州刺史라 자칭하고 병사들을 이끌고 長沙를 습격하여 長沙城으로부터 1백여 리쯤 떨어진 곳에 이르렀을 때 長沙 사람들이 모두 도망가려 하자 行事 劉坦이 배들을 모두 모아 불사르고 군사들을 보내 왕승찬을 막았으나 여러 번의 싸움에서 불리함에 처하였다.
前 湘州鎭軍 鍾玄紹가 날짜를 정해 성곽을 넘어 왕승찬에게 호응하려 하였는데, 유탄이 그 계책을 미리 듣고 일부러 모른 채 하며 밤늦게까지 송사 일을 보고 성문도 닫지 않음으로써 의혹하게 만들자 종현소가 움직이지 못하였다.
이튿날 새벽 종현소가 찾아오자 유탄이 그 까닭을 물었다. 유탄이 오랫동안 머물게 하면서 그와 이야기를 나누고 비밀리에 친위병사를 보내 그의 집 안에 있는 서신을 압수하여 일의 전말을 밝혀낸 뒤 그 자리에서 참수하고 문서를 불태웠다. 나머지 사람들에 대해서는 추궁하지 않으니 州와 郡들이 마침내 안정을 찾았다.
建康이 평정되고 楊公則이 湘州로 돌아오자 왕승찬 등이 흩어져 달아났다. 양공칙이 몸가짐을 반듯하게 하고 청렴하고 신중하며 형벌을 가볍게 하고 세금을 적게 부과하자 얼마 뒤에 상주의 인구가 거의 그 예전으로 회복되었다.


역주
역주1 齊南康王……蕭衍發襄陽 : “相國은 蕭寶融의 自稱한 것인데, ‘自稱’이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소보융을 인정해준 것이다. 어째서 인정해주었는가. 蕭寶卷이 어리석고 광포하여 마땅히 대신할 자가 소보융뿐이기 때문이다.[相國 寶融自稱也 不書自稱 何 予寶融也 曷爲予之 寶卷昏狂 宜代之者 寶融而已]” ≪書法≫
역주2 齊相國……爲涪陵王而自立 : “이때에 蕭寶融이 江陵에서 스스로 즉위하고 멀리서 蕭寶卷을 폐위시킨 것인데, 어찌하여 일상적인 말로 기록한 것인가. 〈소보권을〉 마땅히 폐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로부터 ‘寶卷’에 모두 ‘齊涪陵王’이라고 기록하였으니 이것은 ≪資治通鑑綱目≫의 새로운 예이다. ≪자치통감강목≫을 마칠 때까지 1번 보일 뿐이다.[於是寶融自立於江陵 遙廢寶卷耳 曷爲書之如恒辭 宜廢也 故自是寶卷皆書齊涪陵王 此綱目之新例也 終綱目一見而已矣]” ≪書法≫
“이때 蕭寶融은 江陵에 있었고 蕭寶卷은 여전히 황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비록 황제를 폐위하고 새로운 임금을 세우는 글로 썼으나 실상 소보권은 소보융에게 폐위된 적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 ≪資治通鑑綱目≫에서 이와 같이 기록한 것은 소보권이 함부로 사람을 죽여서 죄가 폐출당해야 했기 때문에 따라서 인정해주어 마치 정말 임금을 폐하고 새로운 임금을 세운 것처럼 했을 뿐이다. 소보융을 인정해준 것은 바로 소보권을 미워한 것이니 그 뜻이 엄격하다.[是時寶融在江陵 寶卷猶據尊位 雖有廢立之詞 其實寶卷初未嘗爲寶融所廢也 而綱目已如此書之者 寶卷肆虐 罪當廢黜 故從而予之 若眞廢立然者爾 蓋予寶融 正所以惡寶卷也 其旨嚴矣]” ≪發明≫
역주3 黄鉞 : 황금빛 도끼로 天子의 儀仗이다. 魏晉南北朝 때 大臣이 출정할 때 주던 것으로, 황제를 대신해 직접 정벌한다는 뜻을 갖는다.
역주4 齊巴東巴西郡 遣兵擊荆州 : “蕭寶融이 임금을 폐위하고 스스로 황제에 등극하자 魯休烈과 蕭惠訓이 병사를 보내 토벌하였으니 의로운 것이다. 이름을 쓰지 않고 ‘공격[擊]’이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蕭寶卷을 미워한 것이다. 蕭寶卷은 마땅히 폐위되어야 했으므로 비록 正道를 지킴이 두 사람처럼 했을지라도 생략하고 기록하지 않았으니 無道함을 경계한 것이다.[寶融廢君自立 休烈惠訓遣兵討之 則義也 不名之而書擊 何 惡寶卷也 寶卷宜廢 故雖守正如二子者 略而不書 所以戒無道也]” ≪書法≫
역주5 齊涪陵王……屯加湖 : “구원할 적에 머무름[次]을 기록한 것은 나무란 것이다. 여기서는 머무르는 것인데 주둔함[屯]이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임금의 일을 시급해하지 않은 吳子陽을 책망하지 않은 것이다. 오자양의 경우에게 어찌하여 임금의 일을 시급해하지 않은 것을 책망하지 않은 것인가. 蕭寶卷을 미워한 것이다. 소보권은 마땅히 폐위되어야 하였으므로 비록 임금의 일을 시급해하지 않은 오자양과 같은 사람일지라도 이름을 기록하지 않고 ‘軍’이라고 기록하였으며, ‘次’라고 기록하지 않고 ‘屯’이라고 기록하였으니 그 뜻이 깊다. ≪資治通鑑綱目≫이 마칠 때까지 구원할 적에 머무름[次]을 기록한 것은 5번이고, 屯을 기록한 것은 1번뿐이다(周 赧王 57년(B.C. 258)에 자세하다.).[救書次 譏也 此次也 書屯 何 不以不急君病子陽也 子陽則曷爲不以不急君病之 惡寶卷也 寶卷宜廢 故雖不急君如子陽 不書名 書軍 不書次 書屯 其旨深矣 終綱目救書次五 書屯者一而已(詳周赧王五十七年)]” ≪書法≫
역주6 齊雍州刺史……不克而死 : “蕭竇融이 황제에 즉위하고 나서도 蕭寶卷이 여전히 존재하였는데, 張欣泰가 또 蕭寶寅을 황제에 옹립시키려고 도모하였으니, 어찌 한 나라에 3명의 천자가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資治通鑑綱目≫에서는 또한 반란[反]이라고 기록하지 않았으니 소보권을 미워한 것이 더욱 심한 것이다.[竇融旣立 而寶卷猶在 張欣泰又謀立寶寅 烏有一國三天子哉 然而綱目亦不以反書 則其惡寶卷也 益甚矣]” ≪發明≫
역주7 市令 : 관직명으로, 시장을 총 관리한다.
역주8 錄事 : 관직명으로, 문건 작성의 임무를 맡는다.
역주9 菰는……부른다 : 菰는 볏과의 풀인 줄을 가리킨 것으로 雕胡․蔣․茭草는 모두 줄을 의미한다.
역주10 : 물가에 돌출된 바위나 돌여울이다.
역주11 (新)[薪] : 저본에는 ‘新’으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薪’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 祥禫 : 大祥과 禫祭이다. 대상은 죽은 지 두 해 만에 지내는 제사이고, 담제는 상복을 벗는 제사로, 대상을 지낸 다음다음 달에 지낸다.
역주13 西臺 : 蕭寶融이 江陵에서 정권을 설립했으며, 江陵이 서쪽에 있어 西臺라 부른 것이다.
역주14 이런데도……있겠습니까 : 永元 2년(500)에 崔慧景이 江夏王 蕭寶玄을 황제로 받들어 황제인 蕭寶卷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하여 둘 다 죽임을 당하였다. 崔偃은 이 상소를 통해 최혜경과 소보현의 신원을 회복시키고 나아가 소보현이 황제에 등극했던 일을 인정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15 象魏 : 天子나 諸侯의 성문의 높은 건축물을 지칭하며, 전하여 궁궐이나 조정을 가리킨다.
역주16 幢主 : 南北朝時代의 무관으로 宿衛나 군사 통솔을 맡았다. 幢은 깃털이나 여러 가지 채색으로 장식한 깃발이다.
역주17 갑옷을 묶고 : 원문은 ‘束甲’으로 갑옷을 묶어서 항복함을 나타낸 것이다.
역주18 卽 就也 : ‘卽用’이 ‘就用’과 같다는 말이다. ‘卽拜’는 사람을 보내 현지에서 그 관직에 임명한다는 뜻인데 ‘就拜’도 같은 말이다. ≪漢書≫ 顔師古의 注에 “卽은 就의 뜻인, 그 郡에 나아가 임명하는 것이다.[卽 就也 就其郡而拜之]”라 하였다.
역주19 : 주택 구역[住宅區]을 말한다.(≪資治通鑑新注≫, 陝西人民出版社, 1998)
역주20 朱雀航 : 建康城 남쪽 秦淮河에 설치한 배다리이다. 배다리를 열어 배를 지나가게 할 수 있게 하였다.
역주21 원상이……하였다 : ≪資治通鑑≫에 보면 于忠이 元禧를 토벌한 공로로 散騎常侍로 진급하여 황제의 近臣이 되자 元詳이 이를 꺼려 그를 列卿의 자리로 승진시켜 황제의 좌우에서 떨어지게 한 것이다.
역주22 齊尙書令巴東公蕭穎冑卒 : “蕭穎冑의 官爵은 蕭寶融이 준 것이다. 소보융을 인정해주었기 때문에 소영주가 卒할 적에 일반적인 칭호처럼 관직을 갖추어 기록한 것이다.[穎冑官爵 寶融所命也 予寶融 故穎冑卒 具官如恒稱]” ≪書法≫
역주23 (沛)[陽] : 저본에는 ‘沛’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에 의거하여 ‘陽’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4 (陽)[沛] : 저본에는 ‘陽’으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에 의거하여 ‘沛’로 바로잡았다.
역주25 魏東豫州刺史……齊人敗績 : “北魏가 齊나라를 정벌한 것을 3번 기록했는데 여기서 ‘侵’이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蕭竇融의 지위가 올바르기 때문이니, 梁나라 초기에 이르러서는 ‘伐’이라고 기록하였다.[魏三書伐齊矣 此其書侵 何 竇融正也 至梁初則書伐矣]” ≪書法≫
역주26 (王)[五]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에 의거하여 ‘五’로 바로잡았다.
역주27 承制 : 制詔를 받들어 행한다는 뜻인데 후대에, 황제의 명령을 받들어 편의대로 일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역주28 齊人弑涪陵王寶巻……自爲大司馬承制 : “시해한 사람은 王珍國 등인데 그들을 기록하지 않고 齊나라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임금이 無道하였기 때문이다. 蕭寶卷을 追廢하였는데도 어찌하여 太后의 令을 받들었다고 기록하지 않았는가. 태후가 宣德宮에 있었으므로 ‘以’라고 기록하였다. ‘以’는 의탁한 것이다. ≪資治通鑑綱目≫이 끝날 때까지 시해에 國이라고 일컬은 것은 8번이다(周 安王 6년(B.C. 396)에 자세하다.).[弑者 王珍國等也 不書 書國 何 君無道也 追廢寶巻 曷爲不書奉太后令 太后在宣德也 故書以 以也者 託也 終綱目弑稱國者八(詳周安王六年)]” ≪書法≫
“세상에서 선행을 쌓는 것을 논의하는 자들이 혹 ‘堯를 아버지로 삼아도 丹朱 같은 못난 아들이 있고 舜을 아버지로 삼아도 商均 같은 못난 아들이 있으니 마침내 天道는 기필할 수가 없고 善惡의 보응도 옳지 않은 때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말을 하는 사람은 天道의 변화만을 논한 것이지 天道의 항상됨을 논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唐虞(堯舜)가 비록 착하지 않은 아들을 두었어도 두 임금은 그것을 알아차리고 현명한 이에게 자리를 물려주었으므로 그 제사를 전한 것이 마침내 百代가 내려가도록 끊어지지 않았으니, 天道가 또 어찌 조금이나마 어긴 적이 있었던가. 江左의 여러 나라들은 계승자들이 어리석고 광포하였으니 예컨대 劉宋의 劉義符ㆍ劉子業ㆍ劉昱과 齊나라의 蕭昭業ㆍ蕭寶巻은 그 죄악이 다시 사람의 도리가 없으니 어찌 萬物의 영장이 되어 五常의 性을 갖추었는데도 그 광패한 짓이 한결같이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인가. 비록 皐陶ㆍ䕫ㆍ稷ㆍ契ㆍ伊尹ㆍ傅說ㆍ周公ㆍ召公과 같은 이가 수십 백 명 그 옆에 늘어서 있더라도 또한 보좌하여 오래도록 보존하게 할 수 없었을 것이니, 이 어찌 변변치 못하고 미련한 자들이 모두 나라를 소유한 집안에 태어난 것이 이와 같단 말인가. 아, 어찌 그 처음으로 돌아가서 구하지 않는 것인가. 劉裕가 晉나라 왕실의 사람을 모두 죽이고 武陵王(劉駿)은 욕심을 부려 살육을 자행하였고 湘東王(劉彧)은 자신 형제들을 절멸시켜서 蕭道成 父子가 劉氏(劉宋)를 도륙하고 宣城王(蕭鸞)이 高帝(蕭道成)ㆍ武帝(蕭賾)의 후손을 남김없이 죽이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그 不善한 적폐가 앞뒤로 마치 동일한 궤도에서 나온 듯이 하였으므로 天理의 보응이 저와 같이 분명했던 것이다. 어찌 조금이라도 어긋남이 있겠는가. ≪資治通鑑綱目≫에서 蕭寶卷을 시해한 이를 齊人이라고 기록한 것은 齊나라 사람들이 그 暴虐에 괴로워하여 모두 그를 해치려 했음을 밝힌 것이다. 主라고 기록하거나 君이라고 기록하지 않고 涪陵王이라고 기록한 것은 齊人이 廢黜한 것을 인정하여 그를 임금으로 여기지 않은 것이다. 이미 시해되고 나서도 여전히 追廢라고 기록한 것은 그 부도덕함을 미워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폐출을 인정해주어 그 죄를 무겁게 한 것이다. 소보권은 바로 소란의 아들인데 소란이 소보권을 위해 고려한 것이 자세하여 향불을 구해 울면서 눈물을 흘릴 때에는 고제ㆍ무제의 자손이 다 죽이지 못하고 한 명이라도 남아 후환이 될까 두려워하였으나 후환이 된 것은 고제ㆍ무제의 자손이 아닌 것을 알지 못하였다. 또 남의 자손을 멸망시키고서 자기 자손을 편안케 하려는 것은 너에게서 나온 것이 반드시 너에게로 되돌아가는 법이니 天道가 어찌 용서하려 하겠는가. 臣이 그러므로 蕭寶卷의 일로 인하여 자세하게 논의하여 天下와 後世의 거울로 삼는 것이다.[世之論積善者 或謂以堯爲父而有丹朱 以舜爲父而有商均 遂以爲天道不可必 而善惡之報 亦有時不然 爲是説者 是特論天道之變 而未論天道之常也 然唐虞雖有不令之子 二帝能知而與賢 故其傳祀 遂至百世不絶 天道又曷嘗少僭哉 江左列國 嗣子昏狂 如宋之義符子業及昱 齊之昭業寶巻 其罪其惡 無復人理 烏有爲萬物之靈 具五常之性 而其所爲狂悖 一至於此 雖有皐䕫稷契伊傅周召 數十百輩 環列於其側 亦不能輔之使久存 是何不肖頑蠢之物 率生於有國之家如此哉 嗚呼 曷不反諸其初而求之乎 劉裕戕滅晉室 武陵縱慾殺戮 湘東絶滅支庶 至於道成父子之屠戮劉氏 而宣城之所以剿滅高武無遺育者 其不善之積 先後如出一轍 故天理之報 昭昭如彼 夫豈有毫釐之爽哉 綱目於寶卷之弑 以齊人書者 明齊國之人 苦其暴虐 皆欲賊之爾 其不書主書君 而書涪陵王者 予齊人之廢黜 不以之爲君也 旣已弑矣 而猶書追廢之者 惡其不道 故予其廢放 以重其罪也 夫寶巻乃蕭鸞之子 鸞之所以爲寶巻慮者悉矣 當其索香火嗚咽流涕之時 惟恐高武子孫 有一之不盡 以爲後患 而不知爲後患者 非高武之子孫也 且夫滅人之子孫 而欲安吾之子孫 出乎爾者 必反乎爾 天道其肯容之哉 臣故因寶卷之事 詳而論之 以爲天下後世之鑑云]” ≪發明≫
역주29 冠이……있겠는가 : 冠은 蕭寶卷을 비유하니, 비록 소보권이 혼암한 군주이나 그의 신하였으므로 이렇게 대할 수 없다는 말이다.
역주30 蔣子文神 : 三國時代 蔣歆을 말한다. 子文은 字이다. 漢나라 말기에 秣陵尉를 지냈다. 強盜를 추격하여 鍾山(紫金山) 기슭에 이르렀고, 戰死한 뒤에 鍾山 기슭 아래에 장사 지냈다. 民間 傳說에 陰間 十殿閻羅의 第一殿 秦廣王이 되었다고 하고, 南朝 齊나라 永明 연간에 皇帝로 봉하고 南唐에서는 莊武帝로 追諡하였다.
역주31 齊大司馬衍……旣而釋之 : “잡았다[執]는 말은 잘했다는 말이다. 執이라고 기록한 것은 두 사람(마선비ㆍ원앙)의 지킴을 가상하게 여긴 것이고, ‘이윽고 석방했다[旣而釋之]’고 기록한 것은 蕭衍의 도량을 가상히 여긴 것이다.[執 善辭也 書執 以嘉二子之守 書旣而釋之 以嘉蕭衍之量]” ≪書法≫
“蕭寶卷은 음탕하며 부도덕하였으나 馬僊琕ㆍ袁昻이 그를 위해 죽을힘으로 지켰으니 이는 또한 天理를 알지 못하는 자이다. 마선병ㆍ원앙은 자신들이 외방에 있었으니 또한 직무를 지킬 줄만 알았을 뿐이니 다른 것이 어찌 관여하겠는가. 죽음을 바쳐 떠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책무이다. ≪資治通鑑綱目≫에서 ‘執’이라고 기록하고 관직을 기록해준 것은 두 사람이 항복하지 않은 뜻을 보인 것이고 ‘旣而釋之’라고 기록한 것은 蕭衍이 義士를 죽이지 않은 뜻을 보인 것이니 이는 모두 인정해준 말이다. 書法이 이와 같으니 이 세상을 위하여 권면하는 것이 많다.[寶卷荒淫不道 而僊琕昻爲之死守 是亦不知天理者也 然僊琕昻身居外服 則亦惟知守職而已 他何預焉 効死勿去 乃其責也 綱目書執書官 則見二人不降之意 書旣而釋之 則見蕭衍不殺義士之意 是皆予之之詞也 書法如此 其爲斯世勸多矣]” ≪發明≫
역주32 齊大司馬衍 入鎭殿中 : “특별히 기록한 것이다. 궁중에 들어와 鎭守하였으니, 그러고서 그 황제가 되지 않은 경우는 거의 드물다.[特筆也 入鎭殿中 其不爲帝也幾希矣]” ≪書法≫

자치통감강목(19) 책은 2022.11.0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