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9)

자치통감강목(19)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9)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梁普通元年이요 魏正光元年이라
春正月 日食하다
◑ 梁 左將軍 馮道根하다
梁主 春祠二廟러니 旣出宮할새 有司 以道根訃聞注+① 梁主立太廟, 祀太祖文皇帝以上爲六親廟, 皆同一堂, 共庭而別室. 又有小廟, 太祖太夫人廟也. 非嫡, 故別立廟. 皇帝每祭太廟訖, 乃詣小廟, 亦以一太牢, 如太廟禮. 有二廟令, 掌廟事.커늘
梁主 問中書舍人朱异曰 吉凶 同日 可乎注+② 异, 音異.아한대 對曰 昔 衛獻公 聞柳莊死하고 不釋祭服하고 而往哭之注+③ 記檀弓曰 “衛太史柳莊寢疾, 公曰 ‘若疾革, 雖當祭必告.’ 公再拜稽首, 請於尸曰 ‘有臣柳莊也者, 非寡人之臣, 社稷之臣也. 聞之死, 請往.’ 不釋服而往, 遂以襚之.”하니
道根 有勞王室이어니 臨之 禮也니이다하니 梁主 即幸其宅하여 哭之慟하다
高麗入貢于梁하다
魏太傅侍中淸河王懌 美風儀 胡太后 逼而幸之러라 然素有才能하여 輔政多所匡益하고 好學禮士하여 時望 甚重이러니
侍中領軍將軍元叉 恃寵驕恣하여 每裁之以法하고 衛將軍劉騰 權傾内外하고 吏部用其弟爲郡이어늘 抑而不奏하니
叉騰 皆怨之하여 乃使主食胡定自列云 懌 貨定하여 使毒魏主注+① 主食, 主御食者也. 列, 陳也.라한대
魏主 時年十一이라 信之어늘 奉魏主하여 御顯陽殿하고 閉永巷門하니 太后 不得出이러라
커늘 厲聲止之한대 曰 汝欲反邪 曰 正欲縛反者耳라하고 命宗士執懌注+② 魏置宗師. 宗士, 其屬也.하고
稱詔集公卿議하여 論懌大逆하니하여 無敢異者로되 唯僕射新泰公游肇 抗言以爲不可라하고 終不下署注+③ 五代志 “新泰縣, 屬琅邪郡.” 不下署, 謂不下肇署名也.러라
叉騰 遂殺懌하고 詐爲太后詔호되 自稱有疾하여 還政魏主라하고 幽太后於北宮하니 魏主 亦不得省見하고 裁聽傳食而已注+④ 省, 悉景切. 見, 賢遍切.러라
太后 不免飢寒하여 乃歎曰 養虎得噬라하더니 我之謂矣라하다
遂與太師高陽王雍等으로 同輔政하니 謂叉爲姨父러라 叉與騰 表裏擅權하여 叉爲外禦하고 騰爲内防하여 常直禁省하여 威振内外러라
朝野 聞懌死하고 無不喪氣하며 胡夷 爲之剺面者數百人이요
游肇 憤邑而卒하니 諡曰文貞注+⑤ 爲, 去聲. 剺, 音黎, 劃也. 胡夷臨喪, , 而哭哀甚.이러라
江淮海溢하다
◑ 魏相州刺史中山王熙 起兵討元叉라가 不克而死하고 弟略 奔梁커늘 梁以爲中山王하다
魏相州刺史中山王熙 英之子也 與弟略纂으로 皆爲淸河王懌所厚러니 聞懌死하고 起兵於鄴하여 表請誅元叉劉騰이어늘 長史柳元章等 執之하고 元叉 遣使하여 斬之於鄴하다
好文學하고 有風儀하여 名士 多與之遊러라 將死 與故知書曰 太后見廢北宮하고 淸河横受屠酷하며 主上 幼年 獨在前殿이라 君親如此하여 無以自安이라
故帥兵民하여 欲建大義於天下 但智力淺短하여 旋見囚執하니 上慙朝廷하고 下愧相知
本以名義干心이라 不得不爾 流腸碎首라도 復何言哉
凡百君子 各敬爾儀하여 爲國爲身하여 善勖名節하라하니 聞者 憐之러라
熙首 至洛陽하니 親故 莫敢視 前驍騎將軍刁整 獨收而藏之注+① 整, 雍之孫也.하다
略亡抵故人河内司馬始賓한대 始賓 與略轉依西河太守刁雙하여 匿之經年注+② 雙, 雍之族孫也.이러니
購略甚急하여어늘 雙曰 會有一死 所難遇者 爲知己死耳 願不以爲慮라하다
固求南奔한대 乃使從子昌으로 送略渡江하니 封爲中山王하다
注+① 五代志 “零陵郡零陵縣, 舊分置永昌縣.”하다
梁主 方崇釋氏하여 士民 無不從風而靡하되 獨叡 自以位居大臣으로 不欲與俗俯仰하고 所行 略如平日이러라 卒諡曰嚴이라하다
以高陽王雍으로 爲丞相하다
◯ 柔然 殺伏跋可汗하여 其弟阿那瓌이라가 尋出奔魏어늘 國人 立婆羅門爲可汗하다
柔然佗汗可汗 納伏名敦之妻候呂陵氏하여 生伏跋汗 及阿那瓌等六子注+① 伏名敦, 豆崙可汗之名.러니
伏跋旣立 忽亡其幼子祖惠어늘 有巫地萬 言祖惠 今在天上하니 我能呼之라하여 乃於大澤中 施帳幄하여 祀天神하니 祖惠 忽在帳中하여 自云 恒在天上이라하니
伏跋 大喜하여 號地萬爲聖女라하고 納爲可賀敦하고 信用其言하여 干亂國政注+② 可, 音榼. 柔然之主, 曰可汗, 其正室, 曰可賀敦.이러라
祖惠 浸長 語其母曰 我常在地萬家하니 上天者 地萬教我也라하여 其母 以告伏跋하되 不信이러니
旣而地萬 譛祖惠殺之어늘 候呂陵氏 遣其大臣具列等하여 殺地萬하다 伏跋 欲誅具列이나 阿至羅 入寇어늘 伏跋 擊之라가 敗還注+③ 阿至羅, 虜之別種, 居北河之東, 世附於魏, 一曰 “阿至羅, 高車種.”이어늘
候呂陵氏 與大臣으로 共殺伏跋하고 立其弟阿那瓌하여 爲可汗이러니 阿那瓌 立十日 其族兄示發 擊之하니 阿那瓌 戰敗奔魏어늘 示發 殺候呂陵氏하다


梁나라 高祖 武帝 蕭衍 普通 원년이고 北魏 肅宗 孝明帝 元詡 正光 원년이다.
【綱】 봄 정월에 일식이 있었다.
【綱】 梁나라 左將軍 馮道根이 卒하였다.
【目】 梁主(蕭衍)가 太廟와 小廟에서 봄 제사를 지내기 위해 궁중을 나섰는데 有司가 馮道根의 부고를 알렸다.注+① 梁나라 군주가 太廟를 세워 太祖 文皇帝 이상의 六親(부, 모, 형, 제, 처, 자)을 제사하는 廟로 삼았는데 모두 같은 堂 안에서 있으면서, 마당은 함께한 채 별도의 室을 가졌다. 그 밖에 또 小廟가 있는데 太祖太夫人의 廟이다. 正室이 아니므로 별도로 廟를 세운 것이다. 梁主가 매번 太廟에 제사를 지낸 다음엔 바로 小廟로 갔으며, 太廟의 의례와 같이 太牢를 준비한다. 太廟令과 小廟令을 두어서 廟의 일을 관장한다.
梁主가 中書舍人 朱异에게 묻기를 “길사와 흉사를 같은 날 행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하자,注+② 异는 음이 異이다. 대답하기를 “지난날 衛 獻公이 柳莊의 부고를 듣고 祭服을 벗지 않은 채 애도를 표했습니다.
풍도근이 왕실을 위해 공로를 세웠으니 찾아가는 것이 예의입니다.”라고 하니, 梁主가 바로 그 집으로 가서 통곡하였다.注+③ ≪禮記≫ 〈檀弓〉에 “衛나라 太史 柳莊의 병이 깊자, 獻公이 ‘병세가 위중하다면 제사를 거행하는 상황이어도 반드시 보고하도록 하라.’ 하였다. 〈헌공이 제사하려던 차에 유장이 죽었다는 부고가 오자,〉 헌공이 再拜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尸童에게 청하기를 ‘유장이란 신하가 있는데 과인의 신하가 아니고 社稷의 신하입니다. 그가 죽었다 하니 찾아가보도록 해주소서.’ 하고 祭服을 벗지 않은 채 찾아가, 결국 자신의 祭服으로 襚衣를 삼게 하였다.” 하였다.
【綱】 高句麗가 梁나라에 朝貢을 바쳤다.
【綱】 가을 7월에 北魏 侍中 元叉가 太傅 淸河王 元懌을 살해하고 太后를 北宮에 유폐시켰다.
【目】 北魏 太傅 侍中 淸河王 元懌이 풍모가 근사해서 胡太后가 가까이하며 총애하였다. 그런데 원역이 본디 재능을 갖추어서 정사를 보좌하며 많은 도움을 주었고, 배우기를 좋아하고 식자들을 예우하여 당시 여망이 매우 두터웠다.
侍中 領軍將軍 元叉가 태후의 총애를 믿고 교만 방자하자 원역이 매번 그를 법으로 재단하였고, 衛將軍 劉騰의 권력이 내외를 압도하고, 吏部가 그의 아우를 郡太守로 임용하자 원역이 이를 막고 上奏하지 않았다.
이에 원차와 유등이 모두 그를 원망하여 마침내 에게 “원역이 자기에게 뇌물을 주어 魏主(元诩)를 독살시키려 하였다.”라고 자복하게 하였는데,注+① 主食은 임금의 음식을 주관하는 사람이다. 列은 진술함이다.
당시 열한 살이었던 魏主가 이를 그대로 믿거늘, 원차가 魏主를 받들어 顯陽殿으로 나가고, 유등이 永巷門을 폐쇄하니 호태후가 나올 수 없었다.
원역이 궁중으로 들어오려 하자 원차가 큰 목소리로 저지하였다.注+② 北魏가 宗師를 설치하였는데 宗士는 그 소속이다. 원역이 말하기를 “너가 반역을 꾀하려는 것이냐.”라고 하자, 원차가 말하기를 “마침 반역자를 잡아들이려는 참이다.”라고 하고, 宗士에게 명하여 원역을 붙잡아두도록 하였다.
유등이 詔命이라 칭하고 公卿을 모아 의논하도록 해서, 원역이 대역죄로 논죄하니, 뭇사람들이 두려움에 떨어 감히 이견을 내지 못하였는데 僕射 新泰公 游肇가 처분이 옳지 않다고 반박하며 끝내 서명하지 않았다.注+③ ≪五代志≫에 “新泰縣은 琅邪郡에 속한다.”고 하였다. “不下署”는 游肇가 서명을 하지 않은 것이다.
원차와 유등이 마침내 원역을 살해하고 호태후의 조서를 허위로 만들어 “병이 있어 魏主에게 권한을 돌려보낸다.”라고 하고 호태후를 北宮에 유폐시키니, 注+④ 省(안부 드리다)은 悉景의 切이다. 見(뵙다)은 賢遍의 切이다.
추위와 굶주림을 면치 못한 호태후가 탄식하며 말하기를 “호랑이를 키우다 잡아먹힌다더니 나를 두고 한 말이구나.”라고 하였다.
원차가 마침내 太師 高陽王 元雍 등과 함께 정사를 보좌하였고 황제는 원차를 이모부라 불렀다. 원차와 유등이 안팎에서 권력을 독차지해서 원차는 조정 밖의 공격을 방어하고 유등은 조정 내를 방비하며, 언제나 궁중에 숙직하여 그 위세가 안팎에 떨쳤다.
조야가 원역의 죽음을 듣고 상심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胡族과 夷族 중에 얼굴에 칼자국을 낸 사람이 수백 명이었다.
游肇가 비통에 젖어 卒하였는데 시호를 文貞이라 하였다.注+⑤ 爲(위하다)는 去聲이다. 剺는 음이 黎이며 그음이다. 胡族과 夷族은 상가에 조문할 때 얼굴에 칼자국을 내어 깊은 슬픔을 표하였다.
【綱】 江水와 淮水와 바닷물이 범람하였다.
【綱】 北魏 相州刺史 中山王 元熙가 병사를 일으켜 元叉를 토벌하다가 이기지 못하여 죽고, 그 아우 元略이 梁나라로 도망가자 양나라가 中山王으로 삼았다.
【目】 北魏 相州刺史 中山王 元熙는 元英의 아들이다. 아우 元略, 元纂과 함께 모두 淸河王 元懌의 후대를 받았는데 원역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鄴城에서 병사를 일으켜서 表文을 올려 元叉와 劉騰을 주벌할 것을 요청하자, 長史 柳元章 등이 그들을 붙잡았고, 원차가 사신을 보내 鄴城에서 그들을 참수하였다.
원희는 文學을 좋아하고 기풍이 있어서 名士들이 많이 그와 교류하였다. 죽음에 앞서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 “胡太后가 北宮에 유폐당하고, 淸河王(元懌)이 뜻밖에 도륙을 당하고 主上은 어린 나이에 홀로 正殿 위에 놓여 있다. 임금께서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어 스스로 편안히 있을 수 없었다.
그래서 군사와 백성을 이끌고 천하에 大義를 세우려 하였는데, 다만 지혜가 짧고 힘이 부족해 이내 구속되고 말았으니 위로는 조정에 부끄럽고 아래로는 벗들에게 무안하다.
본디 명분과 의리를 가지고 사람의 마음을 구한 것이어서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던 것이니, 비록 창자가 땅에 흘러내리고 머리가 부서진다 해도 무슨 말을 하겠는가.
모든 군자들은 저마다의 태도를 신중히 하여, 국가를 위하고 자신을 위해 명예와 절의를 힘쓰길 바란다.”라고 하였는데, 이 말을 들은 이들이 모두 가슴 아파하였다.
원희의 首給이 洛陽에 이르자 친구들이 감히 찾아보지 못하였으나, 前 驍騎將軍 刁整이 홀로 시신을 수습하였다.注+① 刁整은 刁雍의 손자이다.
元略이 도망하여 친구인 河内 사람 司馬始賓을 찾아갔는데, 사마시빈이 원략과 함께 西河太守 刁雙을 찾아가 1년 남짓 숨어 지냈다.注+② 刁雙은 刁雍의 族孫이다.
당시 조정에서 현상금을 걸고 매우 다급하게 원략을 찾아나서, 원략이 두려움에 떨자 조쌍이 말하기를 “반드시 한 번은 죽게 되어 있고, 얻기 어려운 것은 知己를 위해 죽는 일이니, 부디 염려하지 말라.”라고 하였다.
원략이 남쪽으로 도망가겠다는 태도를 견지하자, 조쌍이 從子 刁昌에게 원략을 전송해 長江을 건너보냈다. 그러자 梁나라가 원략을 중산왕에 책봉하였다.
【綱】 梁나라 車騎將軍 永昌侯 韋叡가 卒하다.注+① ≪五代志≫에 “零陵郡의 零陵縣은 예전에 永昌縣을 나누어 설치하였다.” 하였다.
【目】 당시 梁主(蕭衍)가 부처를 숭상하여 식자들과 평민들이 모두 휩쓸리듯 호응했지만, 韋叡만 홀로 大臣의 지위에 있으며 세속의 흐름에 동조하려 하지 않았고 그 행실이 대략 종전과 같았다. 卒하자, 세상을 떠나자, 嚴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綱】 北魏가 高陽王 元雍을 丞相으로 삼았다.
【綱】 柔然이 伏跋可汗을 살해하여, 그 아우 阿那瓌가 지위를 계승하였다가 얼마 뒤에 北魏로 도망가자, 나라 사람들이 婆羅門을 可汗으로 삼았다.
【目】 예전에 柔然의 佗汗可汗이 伏名敦의 아내 候呂陵氏를 아내로 맞아들여 伏跋可汗과 郁久閭阿那瓌 등 여섯 아들을 낳았다.注+① 伏名敦은 豆崙可汗의 이름이다.
伏跋이 可汗의 지위에 오른 뒤 어린 아들 郁久閭祖惠를 갑자기 잃어버렸는데, 무당 地萬이, “조혜가 지금 하늘나라에 있으니, 내가 불러낼 수 있다.”라고 하며, 큰 호수 가에 장막을 설치한 뒤 天神에게 제사를 올렸는데, 조혜가 갑자기 장막에 나타나며 “언제나 하늘나라에 있었다.”라고 하였다.
복발이 크게 기뻐하여 지만을 聖女라 부르며 그녀를 아내로 받아들여 可賀敦으로 삼고, 그녀의 말을 믿었다. 그러자 그녀가 국정에 간여하여 어지러워졌다.注+② 可는 음이 榼이다. 柔然의 군주를 可汗이라 하고 그 正室을 可賀敦이라 한다.
조혜가 다소 장성하여 모친에게 말하기를 “나는 일찍이 지만의 집에 있으니 하늘나라라는 말은 지만이 나에게 시킨 것이다.”라고 하자, 조혜의 모친이 이 사실을 복발에게 알렸지만 믿지 않았다.
이윽고 지만이 조혜를 모함해서 죽이자, 후려릉씨가 大臣 具列 등을 보내 지만을 살해하였다. 복발이 구렬을 죽이려 했으나, 때마침 阿至羅가 침략해와서 복발이 그들을 공격했다가 패하고 돌아왔다.注+③ 阿至羅는 虜의 별종으로, 北河 동쪽에 살며 대대로 北魏에 더부살이하였다. 일설에 “阿至羅는 高車種이다.” 하였다.
후려릉씨가 대신들과 함께 복발을 살해한 뒤 그 아우 아나괴를 세워 可汗으로 삼았는데 아나괴가 왕위를 계승한 지 10일 되는 무렵 그의 族兄 郁久閭示發이 그를 공격하였다. 아나괴가 전투에 패하여 北魏로 도망가자 시발이 후려릉씨를 살해하였다.


역주
역주1 魏侍中元叉……幽太后于北宮 : “이때에 僕射 游肇가 서명하려 하지 않고 이윽고 우울함으로 卒하였는데 어찌하여 기록하지 않았는가. 생략한 것이다. 太后가 유폐를 당하였으니 大臣이 된 자들은 마땅히 역적을 토벌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삼아야 하거늘 우울할 겨를이 어디 있는가. 반드시 〈역적 토벌을〉 中山王 元熙처럼 하였다면 ≪資治通鑑綱目≫에서 대서특필했을 것이다. ≪자치통감강목≫이 마칠 때까지 太后를 유폐한 것은 2번인데(北魏 胡氏, 北齊 胡氏) 木葉山에 유폐된 이는 거기에 들지 않았다(兀欲이 祖母를 유폐하였다.).[於是僕射游肇 不肯下署 旣乃憤邑而卒 則何以不書 略之也 太后見幽 爲大臣者 宜以討逆爲己任 憤邑何及哉 必若中山王熙 則綱目大書之矣 終綱目書幽太后二(魏胡氏 齊胡氏) 幽木葉山者不與焉(兀欲幽其祖母)]” ≪書法≫
역주2 主食인 胡定 : ≪資治通鑑≫에 보면 胡定은 中黃門으로, 즉 환관이다.
역주3 魏主 역시……뿐이었다 : ≪資治通鑑≫에는 이 앞에 劉騰이 北宮 문의 열쇠를 가지고 있다 하였다.
역주4 剺面 : 칼로 얼굴에 자국을 낸다는 뜻이다. 고대에 匈奴나 위구르 등지의 종족들은 큰 우환이나 초상을 당하면 칼로 얼굴에 자국을 내어 그 비통함을 표시하였다고 한다.
역주5 梁車騎將軍永昌侯韋叡卒 : “‘韋叡가 卒하다.[叡卒]’라고 기록하고 그의 관직을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위예는 부처에게 아첨하는 시대에 벼슬하면서 우뚝 서서 임금의 좋아하는 것에 아첨하지 않았으니 이 점이 인정해줄 만한 것이다.[書叡卒而書其官 何 叡仕佞佛之時 能特立而不阿世主之好 此其可予者也]” ≪書法≫

자치통감강목(19) 책은 2022.11.0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