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8)

자치통감강목(8)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8)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己未年(119)
六年이라 春二月 地震하다
◑夏四月 大風, 雨雹하다
◑旱하다
◑秋七月 鮮卑寇馬城塞이어늘 鄧遵 率南單于하여 擊破之注+馬城縣, 屬代郡.하다
◑冬十二月朔 日食旣하다
◑地震하다
◑豫章 芝草生하다
豫章 有芝草生이어늘 太守劉祗欲上之하여 以問郡人唐檀한대 檀曰 方今 外戚豪盛하고 君道微弱하니 斯豈嘉瑞乎아하니 祗乃止하다
益州夷降하다
益州刺史張喬 遣從事楊竦하여 將兵擊封離等하여 大破之하고 斬首三萬餘級한대 封離等 乞降이어늘
厚加慰納하니 其餘三十六種 皆來降附 因奏長吏姦猾侵犯蠻夷者九十人하여 皆減死論하다
西域諸國 旣絶於漢이라 北匈奴復以兵威 役屬之하여 與共爲邊寇注+役屬之, 謂役使而臣屬之也.어늘
敦煌太守曹宗 患之하여 乃上遣行長史索班하여 將千餘人하고 屯伊吾하여 以招撫之注+上遣者, 上奏而遣之也. 行長史者, 行長史事, 未爲眞也. 百官表 “郡守之下, 有丞․邊郡, 又有長史, 掌兵馬.” 索, 蘇各切, 姓也.하니 於是 車師前王及鄯善王 復來降하다


기미년己未年(119)
나라 효안황제 원초孝安皇帝 元初 6년이다. 봄 2월에 지진이 있었다.
】 여름 4월에 큰 바람이 불고 우박이 내렸다.
】 가뭄이 들었다.
】 가을 7월에 선비鮮卑마성馬城의 변경을 침략하자, 등준鄧遵남선우南單于를 거느리고 가서 격파하였다.注+마성현馬城縣대군代郡에 속하였다.
】 겨울 12월 초하루에 개기일식이 있었다.
】 지진이 있었다.
예장豫章지초芝草(영지靈芝)가 났다.
예장豫章지초芝草가 나자, 태수 유지太守 劉祗가 이것을 올리려 하여 의 사람인 당단唐檀에게 묻자, 당단이 말하기를 “지금 외척이 강성하며 군주의 가 미약하니, 어찌 이것이 아름다운 상서이겠는가.” 하니, 유지가 마침내 중지하였다.
익주益州이족夷族이 항복하였다.
익주자사 장교益州刺史 張喬종사 양송從事 楊竦(양송)을 보내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봉리封離 등을 공격하여 대파하고 3만여 명의 수급을 베자, 봉리 등이 항복을 청하였다.
양송이 이들을 후대하여 위로하고 받아들이니, 그 나머지 36개의 종족이 모두 와서 항복하여 귀속하였다. 양송이 인하여 장리長吏 중에 간사하고 교활하여 만이蠻夷를 침범한 자 90명을 아뢰어서 모두 로 논죄하였다.
돈황敦煌이 관리를 파견하여 이오伊吾에 주둔하니, 거사車師(거사)와 선선鄯善이 다시 항복하였다.
】 처음에 서역西域의 여러 나라가 이미 나라와 관계를 끊었다. 북흉노北匈奴가 다시 군대의 위엄으로 이들을 예속하여 부려서 함께 변경을 침략하니注+역속지役屬之”는 사역하여 신하로 예속시킴을 이른다.,
돈황태수 조종敦煌太守 曹宗이 이것을 걱정하여 마침내 상주上奏하고 행장사 삭반行長史 索班(삭반)을 보내어 천여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가서 이오伊吾에 주둔하여 이들을 불러서 어루만져 위로하였다.注+상견上遣”은 상주上奏하고서 보낸 것이다. 행장사行長史장사長史의 일을 임시로 대행하였을 뿐, 참으로 직책이 장사長史가 된 것은 아니다. ≪한서漢書≫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에 “군수郡守의 아래에 이 있고, 변군邊郡에 또 장사長史가 있어서 병마兵馬를 관장했다.” 하였다. 소각蘇各이니 이다. 이에 차사전왕車師前王선선왕鄯善王이 다시 와서 항복하였다.


역주
역주1 減死 : 死罪를 지은 사람에 대해 형벌의 등급을 감하여 死刑을 면해주는 것을 이른다.
역주2 敦煌遣吏屯伊吾 車師鄯善復降 : “伊吾盧를 이때에 모두 5번 썼다. 처음에는 ‘伊吾盧의 땅을 점령했다.’고 썼고, 다음에는 ‘이오로에 주둔했던 군대를 파했다.’고 쓰고는 뒤이어 ‘匈奴가 다시 이 지역을 차지했다.’고 썼으며, 세 번째에는 ‘竇憲이 다시 이오로의 땅을 점령했다.’고 쓰고는 뒤이어 ‘車師에서 아들을 들여보내 入侍하게 하였다.’고 썼고, 네 번째에는 ‘이오로의 屯田을 파하였다.’고 쓰고는 뒤이어 ‘西羌이 다시 배반했다.’고 썼으며, 여기에서는 ‘관리를 파견하여 伊吾에 주둔했다.’고 쓰고는 뒤이어 ‘車師와 鄯善이 다시 항복하였다.’고 썼으니, 합쳐서 살펴보면 이 지역이 중요한 곳이 됨이 분명하다.[伊吾盧於是凡五書矣 初書取伊吾盧地 次書罷伊吾盧屯兵 則繼書匈奴復守其地 三書竇憲復取伊吾盧地 則繼書車師遣子入侍 四書罷伊吾盧屯田 則繼書西羌復叛 此書遣吏屯伊吾 則繼書車師鄯善復降 合而觀之 其爲要地明矣]다” ≪書法≫

자치통감강목(8) 책은 2019.09.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