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8 此以怨省而行脩矣 譖慝之言 無入하며
畢本譌于하니 今據道藏本正하다 王校同이라
畢云 玉篇 云 慝 他得切이니 惡也라하다 經典 多此字 古只作匿이라하다
王云 譖慝 卽讒慝이니 僖二十八年左傳 라하니 是也
讒與譖古字通이라 小雅巷伯篇 取彼譖人이라하고 緇衣注及後漢書馬援傳 竝引하여 作取彼讒人이라하다
無入之耳 言不聽讒慝之言也 下文 曰 雖有詆訐之民이라도 無所依矣라하다


자신을 반성하는 자이니, 이렇게 함으로써 남에게 원망을 사는 일은 줄고 자신의 행실은 닦여진다. 讒訴하는 말과 邪慝한 말을 귀담아듣지 않으며,
‘는 畢沅板本에는 ‘’로 잘못되어 있는데, 이제 道藏本에 의거하여 바로잡는다. 王念孫의 교정도 같다.
畢沅:≪玉篇≫에 “‘’은 ‘’와 ‘’의 반절이니, 邪惡하다는 뜻이다.”라 하였다. 經典에 이 글자가 많으니, 옛날에는 〈필획을 생략하여〉 ‘(특)’이라고만 썼다.
王念孫:‘譖慝’은 곧 ‘讒慝(참소하고 사악하다)’의 뜻이니, ≪春秋左氏傳僖公 28년 조에 “閒執讒慝之口(讒慝한 자의 입을 틀어막다)”라 한 것이 이것이다.
’과 ‘’은 옛날에는 글자를 통용하였다. 그러므로 ≪詩經≫ 〈小雅 巷伯〉에 “取彼譖人(저 모함하는 이 잡아다가)”라 하였고, ≪詩經≫ 〈鄭風 緇衣〉의 와 ≪後漢書≫ 〈馬援列傳〉에서 모두 이를 인용하면서 “取彼讒人”이라 하였다.
無入之耳”는 讒慝한 말을 듣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아래 글에 “비록 남의 허물을 들추어 비방하려는 사람들이 있더라도 꼬투리를 잡을 데가 없다.”라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君子察邇……而反之身者也 : 諸本에는 ‘君子察邇而邇脩者也 見不脩行見毁 而反之身者也’로 되어 있는데, 正德本에는 ‘君子察爾修身也 修身見毁 而反之身者也’로 되어 있다.
역주2 之耳 : 畢本에는 ‘于耳’로 되어 있는데, 舊本에는 모두 ‘之耳’로 되어 있다.
역주3 閒執讒慝之口 : ≪春秋左氏傳≫ 僖公 28년 조에 “子玉이 伯棼으로 하여금 楚子에게 出戰을 요청하게 하며 말하기를 ‘감히 기필코 공을 세우고자 해서가 아닙니다. 원컨대 저 참특한 자의 입을 틀어막고자 합니다.’라 하니, 楚王은 노하여 그에게 약간의 군대만 주었으니, 西廣‧東宮과 若敖의 六卒만이 실로 그를 따랐다.[子玉使伯棼請戰曰 非敢必有功也 願以間執讒慝之口 王怒 少與之師 唯西廣東宮 與若敖之六卒實從之]”라고 보인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