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4-18 焉爲山川하고 別物上下하고
王云 焉字 下屬爲句 猶於是也 乃也 下文 湯焉敢奉率其衆 武王焉襲湯之緖 義竝與此同이라
又云 磨字 義不可通이라 當爲磿하니 與歷으로이라 周官遂師注 曰 磿者 適歷이라
中山經 歷石之山이라한대 郭注 或作磿이라하다 史記高祖功臣侯表 磿簡侯程黑이라한대
漢表 作歷이라 春申君傳 濮磿之北이라한대 善謀篇 作歷이라
樂毅傳 故鼎反乎磿室이라한대 燕策 作歷이라 歷之言離也 大戴五帝德篇 曰 歷離日月星辰이라하니 是歷與離同義
淮南精神篇 曰 別爲陰陽하고 離爲八極이라하니 然則磿爲山川 亦謂離爲山川也
離與磿 皆分別之義 曰 磿爲山川 別物上下 世人多見磨하고 少見磿이라 書傳中磿字 多譌作磨
史記及山海經注 磿字 今本 皆譌作磨 又逸周書世俘篇 作伐磿하고 楚策 遠自棄於磿山之中이라한대 今本 亦譌作磨
勉學篇 曰 太山羊肅 讀世本容成造磿하고爲碓磨之磨라하니 則以爲磨 自古已然矣


이에 山川을 구별하고, 上下의 사물을 분별하고,
王念孫:‘’자는 아래로 붙여 구를 떼어야 한다. ‘’은 ‘於是’와 같으니, ‘(이에)’이다. 아래 글에 “湯焉敢奉率其衆(이 이에 감히 그 무리를 받들어 거느리다.)”과 “武王焉襲湯之緖(武王이 이에 緖業를 계승하였다.)”라고 한 것이 그 뜻이 모두 이와 같다.
王念孫:‘’자는 뜻이 통하지 않는다. ‘’는 응당 ‘’이 되어야 하니, ‘’과 ‘’은 통한다. ≪周官≫ 〈遂師〉의 에 “‘’은 適歷이다.”라 하였다.
山海經≫ 〈中山經〉에 “歷石之山(歷石山)”이라 하였는데, 郭璞에 〈‘’은〉 혹 ‘’으로 되어 있다고 하였다. ≪史記≫ 〈高祖功臣侯表〉에 “磿簡侯程黑(磿簡侯 정흑)”이라 하였는데,
漢書≫ 〈王子侯表〉에는 〈‘’이〉 ‘’으로 되어 있다. ≪史記≫ 〈春申君傳〉에 “濮磿之北(濮磿의 북쪽)”이라 하였는데, ≪新序≫ 〈善謀〉에는 〈‘’이〉 ‘’으로 되어 있다.
史記≫ 〈樂毅傳〉에 “故鼎反乎磿室(故鼎磿室에 도로 가져왔다.)”이라 하였는데, ≪戰國策≫ 〈燕策〉에는 ‘’으로 되어 있다. ‘’은 ‘’를 말한다. ≪大戴禮記≫ 〈五帝德〉편에 “歷離日月星辰(일월성신을 분별하였다.)”이라 하였으니, 곧 ‘’과 ‘’가 뜻이 같은 것이다.
淮南子≫ 〈精神〉편에 “別爲陰陽 離爲八極(陰陽을 분별하고 八極를 분별한다.)”이라 하였으니, 그렇다면 ‘磿爲山川’ 또한 ‘離爲山川’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와 ‘’은 모두 분별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본문에 ‘磿爲山川 別物上下(山川을 구별하고 上下의 사물을 분별하였다.)’라 하였다. 世人은 ‘’를 본 경우는 많고, ‘’을 본 경우는 적기 때문에 典籍 중의 ‘’자가 대부분 ‘’자로 잘못되어 있다.
史記≫와 ≪山海經의 ‘’자가 今本에 모두 ‘’자로 잘못되어 있다. 또 ≪逸周書≫ 〈世俘〉에 ‘伐磿(磿山을 쳤다.)’이라 하였고, ≪戰國策≫ 〈楚策〉에 ‘遠自棄於磿山之中(멀리 磿山의 가운데 스스로 버렸다.)’이라 하였는데, 今本에 또한 〈‘’이〉 ‘’자로 잘못되어 있다.
顔氏家訓≫ 〈勉學〉에 “太山羊肅이 ≪世本≫의 ‘容成造磿(〈黃帝의 사관〉 容成이 역사를 서술하였다.)’이라는 구절을 읽고 ‘’을 ‘碓磨(디딜방아와 맷돌)’의 ‘’자로 여겼다.”라 하였으니, ‘’을 ‘’로 여긴 것은 예로부터 이미 그러하였다.


역주
역주1 (磨)[磿] : 저본에는 ‘磨’로 되어 있으나, 王念孫의 주에 의거하여 ‘磿’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新序 : 중국 前漢 말기에 劉向이 편집한 고사집이다. 雜事 5편, 刺奢, 節士, 義勇, 善謀 2편 등 총 1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주3 顔氏家訓 : 중국 南北朝 말기에 顔之推(531~591)가 자손을 위하여 저술한 교훈서이다. 가족도덕 및 대인관계, 경제‧풍속‧학문‧종교‧문자‧音韻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2권 20편이다.
역주4 : 저본 傍注에 “원문에는 ‘磨’로 잘못되어 있으니, ≪顔氏家訓≫에 의거하여 고친다.”라고 하였다.
역주5 : 저본 傍注에 “원문에는 ‘磨’로 잘못되어 있으니, ≪顔氏家訓≫에 의거하여 고친다.”라고 하였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