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滕文公 爲世子注+滕, 國名. 文公者, 定公之世子也. 將之楚할새 過宋而見孟子하신대
孟子 道性善注+道, 言也.하사대 言必稱堯舜이러시다
世子 自楚反注+反, 還也.하여 復見孟子하신대
孟子
世子 疑吾言乎잇가
夫道 一而已矣니이다
成覸 謂齊景公曰注+成覸, 齊人. 景公, 齊君. 彼丈夫也 我丈夫也 吾何畏彼哉리오하며 顔淵 曰 舜何人也 予何人也
有爲者 亦若是注+顔淵, 孔子弟子, 名回.라하며 公明儀注+曾子弟子. 曰 文王 我師也라하시니 周公 豈欺我哉시리오하니이다
今滕 絶長補短이면 將五十里也 猶可以爲善國이니
注+書說命之辭. 瞑眩, 猶昏憒也. 以毒藥攻疾故, 昏憒而後愈. 瘳, 愈也.라하니이다


5-7-가
문공文公이 세자로 있을 때注+’은 나라 이름이다. ‘문공文公’은 정공定公의 세자이다. 장차 나라로 가려고 할 적에 나라를 지나다가 맹자孟子를 만났다.
맹자가 본성本性함을 말하면서注+’는 ‘말하다’라는 뜻이다. 말할 때마다 반드시 임금과 임금을 일컬었다.
세자가 초나라에서 돌아오다가注+’은 ‘돌아오다’라는 뜻이다. 다시 맹자를 만났다.
맹자가 말하였다.
“세자는 제 말을 의심하십니까?
는 하나일 뿐입니다.
성간成覸 경공景公에게 말하기를注+성간成覸’은 나라 사람이다. ‘경공景公’은 나라 임금이다. ‘저 성현들도 장부이며 나도 장부이니, 내가 어찌 저 성현들을 두려워하겠는가.’라고 하였으며, 안연顔淵이 말하기를 ‘순임금은 어떤 사람이며 나는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일을 하는 자는 또한 이분과 같다.’注+안연顔淵’은 공자孔子의 제자이니 이름이 이다.라고 하였으며, 공명의公明儀注+공명의公明儀’는 증자曾子의 제자이다.가 말하기를 ‘주공周公께서 「文王은 나의 스승이다.」라고 하셨으니 주공이 어찌 나를 속였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나라는 긴 곳을 떼어 짧은 곳을 보충하면 거의 사방 50리 정도의 나라이지만, 오히려 을 행하는 나라가 될 수 있습니다.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만약 이 어지러울 정도로 독하지 않으면 그 병이 낫지 않는다.’라고 하였습니다.”注+서경書經》 〈열명說命〉의 말이다. ‘명현瞑眩’은 ‘혼궤昏憒(어지러움)’와 같다. 독한 약으로 병을 치료하기 때문에 의식이 혼미해진 뒤에야 낫는 것이다. ‘’는 ‘낫다’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5-7-가 : 《孟子》 〈滕文公 上〉 제1장에 보인다. 맹자가 滕 文公에게 사람의 본성이 본래 善함을 말하고 堯임금과 舜임금 등의 사례를 들어 증명한 일에 대해 기술하였다. 滕나라는 山東省 滕州에 있던 小國으로 魯나라의 附庸國이다. 姓은 姬이며, 시조는 周公 旦의 열넷째 아들인 錯叔 繡이다. 등 문공은 이름이 宏으로, 定公의 아들이다. 趙岐의 《孟子注》에 따르면, 본래 시호는 元公인데 후세에 피휘하여 고친 것이라고 한다. 세자로 있을 때 宋나라를 지나다가 두 차례에 걸쳐 맹자를 뵙고 治國의 道에 대해 가르침을 받았으며, 즉위한 후에 맹자의 의견을 받아들여 仁政을 베풀어 賢君으로 일컬어졌다.
역주2 若藥……不瘳 : 《書經》 〈說命 上〉에 보인다. 본래 《書經諺解》에는 “藥이 瞑眩티 아니ᄒᆞ면 그 疾이 瘳티 아니홈 ᄀᆞᆮᄐᆞ며”로 풀이하였으나, 여기서는 《孟子》의 문맥에 따라 번역하였다.
역주3 : 대전본에는 ‘弗’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