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注
		                       		
		                       		
		                        		
			                            	21-2-나(안按)
[신안臣按] 모전毛傳에 이르기를 “유왕幽王이 신申나라 여인에게 장가들어 태자 의구宜臼를 낳았는데, 또 포사褒姒를 총애하여 아들 백복伯服을 낳자 그녀를 세워서 후后로 삼고 의구를 추방하여 죽이려고 하였다.
			                             
									
                        			
                        			
                        		
	                     		
			                       	
			                       	
	                     		
		                        
                        	
		                        
		                        
		                        
		                        
                        		
                        	
		                        
		                        
		                        
		                        
                        		
                        		
                        		
                        			
                        			
		                       		
		                       			
		                       		
		                       		
		                       		
		                       		
		                        		
			                            	이 때문에 태자의 사부가 이 시를 지어 유왕을 풍자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부자지간은 타고난 본성의 은혜이고 태자는 천하의 근본입니다. 
			                             
									
                        			
                        			
                        		
	                     		
			                       	
			                       	
	                     		
		                        
                        	
		                        
		                        
		                        
		                        
                        		
                        	
		                        
		                        
		                        
		                        
                        		
                        		
                        		
                        			
                        			
		                       		
		                       			
		                       		
		                       		
		                       		
		                       		
		                        		
			                            	그런데 유왕이 한번 포사의 참언을 듣자마자 마치 권하는 술잔을 받은 즉시 마시듯이 하여 조금도 참언을 막지 않았습니다. 
			                             
									
                        			
                        			
                        		
	                     		
			                       	
			                       	
	                     		
		                        
                        	
		                        
		                        
		                        
		                        
                        		
                        	
		                        
		                        
		                        
		                        
                        		
                        		
                        		
                        			
                        			
		                       		
		                       			
		                       		
		                       		
		                       		
		                       		
		                        		
			                            	참소하는 사람의 말은 얼핏 들으면 미혹될 수도 있지만 찬찬히 살펴보면 그 실상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오직 유왕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었기 때문에 참소하는 말을 듣자마자 더 이상 찬찬히 그 실상을 살펴보지 않고 대번에 태자를 추방해버렸습니다. 이것이 태자가 스스로 결백을 밝힐 수 없었던 이유입니다.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포사가 또한 어찌 스스로 직접 참소를 행할 수 있었겠습니까. 《국어國語》에 이르기를 “포사가 총애를 받아 이에 괵 석보虢 石父와 한패가 되어 의구를 쫓아냈다.”라고 하였습니다. 
			                             
									
                        			
                        			
                        		
	                     		
			                       	
			                       	
	                     		
		                        
                        	
		                        
		                        
		                        
		                        
                        		
                        	
		                        
		                        
		                        
		                        
                        		
                        		
                        		
                        			
                        			
		                       		
		                       			
		                       		
		                       		
		                       		
		                       		
		                        		
			                            	괵 석보는 참소하고 아첨하며 겉으로만 순종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유왕이 그를 발탁하여 경사卿士로 삼았으니 정실正室로 맞이한 왕후가 버려지고 내첩內妾이 왕후가 되며 서얼이 총애받고 적장자가 위태로워진 것은 모두 괵 석보가 실로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끝내 신후申侯가 분한 마음을 품고 견융犬戎을 불러들여 유왕이 죽고 포사가 사로잡혀 가고 의구가 즉위하기는 하였지만 주周나라가 동쪽으로 천도遷都하게 되었습니다. 참소하는 사람의 해악이 이와 같은 지경에까지 이르렀으니 살피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