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帝王爲治之序
堯典注+虞書篇名. 典者, 常也. 曰若稽古帝堯注+曰若, 發語辭. 曰字, 與粤‧越通用. 稽, 考也. 言考古之帝堯, 其事云云也.혼대 曰放勳注+放, 至也, 亦廣大之意, 如之放. 勳, 功也.이시니
欽明文思 安安注+欽, 敬也. 思, 去聲.하시며 允恭克讓注+允, 信也. 克, 能也.
하사 光被四表하시며 格于上下注+被, 及也. 四表, 四外也. 格, 至也. 上, 天, 下, 地也.하시니라
克明俊德하사 以親九族注+明, 明之也. 俊, 大也. 以, 用也. 九族, 高祖至孫之親.하신대 九族 旣睦이어늘 平章百姓注+旣, 已也. 睦, 和輯也. 平, 均也. 章, 明也. 百姓, 畿內之民也.하신대
百姓 昭明하며 協和萬邦하신대
黎民 於變時雍注+昭, 亦明也. 協, 合也. 於, 美也. 變, 化也. 時, 是也. 雍, 和也.하니라


역대 성왕聖王이 치세를 이룩해갔던 단계
1-1-가
서경書經》 〈요전堯典注+요전堯典’은 《서경書經》 〈우서虞書〉의 편명이다. ‘’이란 ‘법도’라는 뜻이다. 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옛 임금을 살펴보건대注+왈약曰若’은 발어사이다. ‘’자는 ‘’‧‘’과 통용한다. ‘’는 ‘살펴보다’라는 뜻이다. 옛 임금을 살펴보면 그 사적事蹟이 이러이러하다는 것을 말한다. 공이 지극히 컸으니注+’은 ‘도달하다’라는 뜻이며, 또한 ‘넓고 크다’라는 뜻이다. 예컨대 ‘방호사해放乎四海(四海에 도달하다)’의 이다. ‘’은 ‘공’이라는 뜻이다. 공경함과 명철함과 문채남과 사려깊음이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이루어졌으며注+’은 ‘공경’이라는 뜻이다. ‘(생각)’는 거성去聲이다.,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하여注+’은 ‘진실로’라는 뜻이다. ‘’은 ‘능히’라는 뜻이다. 그 공덕의 빛이 사방 너머까지 뒤덮었으며 하늘과 땅까지 이르렀다注+’는 ‘미치다’라는 뜻이다. ‘사표四表’는 ‘사방四方 멀리까지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은 ‘이르다’라는 뜻이다. ‘’은 ‘하늘’이라는 뜻이고 ‘’는 ‘땅’이라는 뜻이다..
을 능히 밝혀 구족九族을 친밀하게 하였으며注+’은 ‘밝히다’라는 뜻이다. ‘’은 ‘크다’라는 뜻이다. ‘’는 ‘~으로’라는 뜻이다. ‘구족九族’은 고조에서 현손까지의 친족이다., 구족이 화목해지자注+’는 ‘이미’라는 뜻이다. ‘’은 ‘화목하다’라는 뜻이다. ‘’은 ‘고루’라는 뜻이다. ‘’은 ‘밝혀주다’라는 뜻이다. ‘백성百姓’은 기내畿內의 백성이다.기내畿內 백성의 덕을 고루 밝혀주었다.
기내 백성의 덕이 밝아지자 만방을 화합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온 백성이 변화하여 이에 화락하게 되었다.”注+’도 ‘밝다’라는 뜻이다. ‘’은 ‘화합하다’라는 뜻이다. ‘’는 찬미하는 말이다. ‘’은 ‘변화하다’라는 뜻이다. ‘’는 ‘이’라는 뜻이다. ‘’은 ‘화목하다’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1-1-가 : 《書經》 〈虞書 堯典〉에 보인다. 蔡沈의 《書集傳》에 따르면, 이 篇은 簡冊에 堯임금의 일을 기록한 것이라 하였다. 인용된 경문은 〈堯典〉의 맨 앞에 있다.
역주2 欽明……克讓 : 1750년(영조26) 사도세자가 대신들과 인견한 자리에서 영의정 趙顯命이 이 구절의 의미를 “‘欽明文思’와 ‘允恭克讓’ 여덟 글자를 첫 장에 둔 것은 치세의 법과 규모가 모두 心學 안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以欽明文思允恭克讓八字 弁之首章 則治法規模 皆從心學中出來]”라고 설명한 내용이 보인다. 《英祖實錄 26年 7月 25日》
역주3 放乎四海 : 《孟子》 〈離婁 下〉에 보이는데, 근원에서 나온 물이 쉬지 않고 흘러 결국은 사해에 도달하게 된다는 뜻이다.
역주4 : 대전본에는 ‘元’으로 되어 있으나, 宋代의 避諱이다. 이하도 동일하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