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呂大臨 曰 君子所以學者 爲能變化氣質而已 德勝氣質則愚者 可進於明이며 柔者 可進於强이요
不能勝之則雖有志於學이나 亦愚不能明하며 柔不能立而已矣 蓋均善而無惡者 性也 人所同也
昏‧明‧强‧弱之禀 不齊者 才也 人所異也 誠之者 所以反其同而變其異也
夫以不美之質 求變而美인댄 非百倍其功이면 不足以致之
今以鹵莽滅裂之學으로 或作或輟하여 欲變其不美之質이라가
及不能變則曰 天質 不美 非學 所能變이라하면 果於 其爲不仁 甚矣니라


原注
12-1-나2(呂)
呂大臨이 말하였다. “군자가 학문을 하는 이유는 단지 기질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덕이 기질을 이기면 어리석은 사람이 밝음에 나아갈 수 있고 유약한 사람이 강함에 나아갈 수 있으며,
덕이 기질을 이기지 못하면 비록 학문에 뜻을 둔다 하더라도 어리석은 사람이 밝게 되지 못하고 유약한 사람이 굳건히 서게 되지 못한다. 모두가 善이고 惡이 없는 것은 본성이니, 사람이면 똑같이 있는 것이다.
어두움‧밝음‧강함‧유약함과 같이 타고난 것이 똑같지 않은 것은 재질이니, 사람마다 다른 것이다. 성실함이 되고자 하는 것은 바로 그 똑같이 있는 본성으로 되돌아가고 그 다른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아름답지 않은 재질을 가지고서 변화시켜 아름답게 하고자 한다면 그 노력을 백 배로 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이제 거칠고 엉성한 학문을 가지고 하다 말다 하면서 그 아름답지 않은 재질을 변화시키려고 하다가,
변화되지 않으면 ‘타고난 재질이 아름답지 않으니 학문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한다면, 이것은 ‘스스로 포기하는 것[自棄]’에 과감한 것이니 그 不仁함이 심한 것이다.”


역주
역주1 12-1-나2(呂) : 《中庸章句》 제20장 朱熹의 주에 보인다.
역주2 自棄 : 《孟子》 〈離婁 上〉 제10장에 “스스로 해치는 자는 더불어 말할 수 없고, 스스로 버리는 자는 더불어 일할 수 없으니, 말할 때 禮義를 비방하는 것을 ‘自暴’라 이르고, 내 몸은 仁에 居하고 義를 따를 수 없다고 하는 것을 ‘自棄’라 이른다.[自暴者 不可與有言也 自棄者 不可與有爲也 言非禮義 謂之自暴也 吾身不能居仁由義 謂之自棄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