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大學注+禮記篇名.
在明明德하며 在親民注+親, 當作新.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
知止而后 有定이니 定而后 能靜하며 靜而后 能安하며 安而后 能慮하며 慮而后 能得이니라
物有하고 事有하니 知所先後 則近道矣리라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注+治, 平聲.하고 欲治其國者 先齊其家하고 欲齊其家者 先修其身하고 欲修其身者 先正其心하고 欲正其心者 先誠其意하고 欲誠其意者 先致其知하니 致知 在格物하니라
物格而后 知至하고 知至而后 意誠하고 意誠而后 心正하고 心正而后 身修하고 身修而后 家齊하고 家齊而后 國治하고 國治而后 天下平이니라
至於庶人 壹是皆以修身爲本이니라
其本 亂而末治者 否矣 其所厚者이요所薄者하리 未之有也니라


1-6-가
대학大學注+대학大學’은 《예기禮記》의 편명이다.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대학大學는 타고난 밝은 덕을 밝힘에 있으며, 백성을 교화하여 새롭게 함에 있으며注+’은 ‘’이 되어야 한다., 지극한 에 그침에 있다.
그쳐야 할 데를 안 뒤에 방향이 정해지니, 방향이 정해진 뒤에 마음이 고요해질 수 있고, 마음이 고요해진 뒤에 처하는 곳마다 편안해질 수 있고, 처하는 곳마다 편안해진 뒤에 정밀하게 생각할 수 있고, 정밀하게 생각한 뒤에 그쳐야 할 데를 얻을 수 있다.
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으니, 먼저 할 것과 나중에 할 것을 알면 에 가까울 것이다.
옛날 천하에 타고난 밝은 덕을 밝히고자 한 사람은 먼저 자신의 나라를 잘 다스렸고注+(다스리다)’는 평성平聲이다., 자신의 나라를 잘 다스리고자 한 사람은 먼저 자신의 집안을 가지런히 하였고, 자신의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자 한 사람은 먼저 자신을 수양하였고, 자신을 수양하고자 한 사람은 먼저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였고,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고자 한 사람은 먼저 자신의 생각을 성실하게 하였고, 자신의 생각을 성실하게 하고자 한 사람은 먼저 자신의 앎을 지극히 하였으니, 자신의 앎을 지극히 하는 것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함에 있다.
사물의 이치가 궁구된 뒤에 앎이 지극해지고, 앎이 지극해진 뒤에 생각이 성실해지고, 생각이 성실해진 뒤에 마음이 바르게 되고,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 자신이 수양되고, 자신이 수양된 뒤에 집안이 가지런해지고, 집안이 가지런해진 뒤에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나라가 잘 다스려진 뒤에 천하가 평안해진다.
天子로부터 서인庶人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모두 자신을 수양함을 근본으로 삼는다.
그 근본이 어지럽고서 말단이 다스려지는 경우는 없으며, 후하게 할 것에게는 박하게 하고 박하게 할 것에 후하게 하는 경우는 있지 않다.”


역주
역주1 1-6-가 : 《大學》 經1章에 보인다. 朱熹의 《大學章句》에 따르면 이 글은 공자의 말을 曾子가 기록한 것이다.
역주2 大學之道 : 朱熹의 《大學章句》에 따르면 “大學은 大人의 학문이다.[大學者 大人之學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3 本末 : 朱熹의 《大學章句》에 따르면 ‘本’은 ‘明德’을, ‘末’은 ‘新民’을 가리킨다.
역주4 終始 : 朱熹의 《大學章句》에 따르면 ‘終’은 ‘能得(그쳐야 할 데를 얻을 수 있다)’을, ‘始’는 ‘知止(그쳐야 할 데를 아는 것)’를 가리킨다.
역주5 自天子 : 사고본‧통행본 《大學》에는 이 뒤에 ‘以’가 있다.
역주6 : 대전본에는 없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