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朱熹 曰 誠者 眞實無妄之謂 天理之本然也 誠之者 未能眞實無妄而欲其眞實無妄이니 人事之當然也
聖人之德 渾然天理 眞實無妄하여 不待思勉而從容中道하나니 則亦天之道也
未至於聖則不能無人欲之私而其爲德 不能皆實이라 故未能不思而得則必擇善而後 可以明善이요
未能不勉而中則必固執而後 可以誠身이니 此則所謂人之道也
原注
博學‧審問‧思‧明辨‧篤行 誠之之目也
學‧問‧思‧辨 所以擇善而爲知 篤行 所以固執而爲仁이요 有弗學學之弗能弗措以下則勇之事也
君子之學 不爲則已어니와 爲之則必要其成이라 故常百倍其功하나니 至於愚而明則擇善之效 柔而强則固執之效也


原注
12-1-나1(朱)
朱熹가 말하였다. “‘성실함[誠]’은 眞實無妄(진실하여 거짓이 없다)하다는 말이니, 본래부터 그러한 天理의 모습이다. ‘성실함이 되고자 하는 것[誠之]’은 아직 진실무망하지 못하여 진실무망하고자 하는 것이니, 마땅히 그래야 하는 人事이다.
聖人의 덕은 혼연히 天理 자체여서 진실무망하여 애써 고찰하고 힘쓰지 않아도 절로 도에 맞으니, 또한 ‘하늘의 도[天之道]’이다.
그러나 聖人의 경지에 이르지 못하였다면 사사로운 人欲이 없을 수 없어 그 덕이 모두 진실할 수만은 없다. 그러므로 애써 고찰하지 않아도 터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반드시 善을 택한 뒤에야 善을 밝게 알 수 있으며,
굳이 힘쓰지 않아도 도에 맞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반드시 굳게 잡아 지킨 뒤에야 자신을 성실하게 할 수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사람의 도[人之道]’라는 것이다.
原注
‘애써 고찰하지 않아도 터득하는 것[不思而得]’은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것[生而知之]’이며, ‘굳이 힘쓰지 않아도 들어맞는 것[不勉而中]’은 ‘편안히 행하는 것[安而行之]’이다. ‘善을 택하는 것[擇善]’은 ‘배워서 아는 것[學而知之]’ 이하의 일이며, ‘굳게 잡아 지키는 것[固執]’은 ‘이롭게 여겨 행하는 것[利而行之]’ 이하의 일이다.
‘폭넓게 배우는 것[博學]’, ‘세심히 따져 묻는 것[審問]’, ‘신중하게 고찰하는 것[愼思]’, ‘명확하게 변별하는 것[明辨]’, ‘독실하게 행하는 것[篤行]’은 성실함이 되고자 하는 조목이다.
‘배우는 것[學]’, ‘따져 묻는 것[問]’, ‘고찰하는 것[思]’, ‘변별하는 것[辨]’은 선을 택하는 것이어서 智가 되고, ‘독실하게 행하는 것[篤行]’은 굳게 잡아 지키는 것이어서 仁이 되며, ‘배우지 않는 일이 있을지언정 배운다고 하면 능하지 않은 상태로는 그만두지 않는다.[弗學 學之 弗能 弗措]’ 이하는 勇의 일이다.
군자의 학문은 하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한다고 하면 반드시 그것을 이루고자 하기 때문에 항상 그 노력을 백 배로 하는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밝게 되는 것은 善을 택한 功效이며, 유약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강하게 되는 것은 굳게 잡아 지킨 공효이다.”


역주
역주1 12-1-나1(朱) : 《中庸章句》 제20장 朱熹의 주에 보인다.
역주2 不思……事也 : 《中庸》 제20장에 “혹은 이것을 태어나면서부터 알고, 혹은 배워서 알고, 혹은 애를 써서 알지만, 그 앎에 미쳐서는 똑같다. 혹은 이것을 편안히 행하고, 혹은 이롭게 여겨 행하고, 혹은 억지로 힘써 행하지만, 그 공을 이룸에 미쳐서는 똑같다.[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 一也 或安而行之 或利而行之 或勉强而行之 及其成功 一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3 : 대전본에는 ‘謹’으로 되어 있으나, 宋代의 피휘이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